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진시기 봉불사대부의 유불일치론과 그 의의 − 孫綽을 중심으로 − = Convergence Theor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its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scholar-officials in the Eastern Jin Period – Focusing on Sun Chu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13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Yü-Tao-Lun (喩道論 A Clarification of the Way), Sun Chuo(孫綽) advocated the harmony between the retribution theory (應報思想) and the Mandate of Heaven ideology (天命思想), which were at the crux of the Conflict between Confucianism ...

      In Yü-Tao-Lun (喩道論 A Clarification of the Way), Sun Chuo(孫綽) advocated the harmony between the retribution theory (應報思想) and the Mandate of Heaven ideology (天命思想), which were at the crux of the Conflict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儒佛論爭) and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over Confucianism. This paper focuses on Sun Chuo's religious interest in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truth and essence are pursued, lest they impinge on real world issues. Well-versed in the Lao-Zhuang thought (老莊思想), he brought Confucianism into his Buddhism-centered philosophy. He simultaneously longed for the ultimate enlightenment (as described in Buddhism) and stayed focused on practicality. Sun Chuo's Convergence Theor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儒佛一致論) presupposes the sameness in essence and reality, and prioritizes the teachings in which he places his faith. Sun Chuo's philosophical move (with which he not only stopped at the abstract theory that found Confucianism and Buddhism essentially identical, but also explored truth while clinging to real-world concreteness of historical thoughts and ideas),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m following the Eastern Ji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孫綽은 「喩道論」에서 당시 유불논쟁의 핵심이자 유가의 論難에서 중심이었던 應報사상과 天命사상의 조화를 주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진리와 본질을 추구하는 가운데 현실문제에 모순되...

      孫綽은 「喩道論」에서 당시 유불논쟁의 핵심이자 유가의 論難에서 중심이었던 應報사상과 天命사상의 조화를 주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진리와 본질을 추구하는 가운데 현실문제에 모순되지 않게 대처하는 과정을 손작의 종교적 관심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노장사상에 정통하였던 그는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경지에 대해 강한 동경을 품으면서 동시에 실무적인 면을 중시하며 유가사상을 그의 불교중심 사상 속에 도입하였다. 손작의 유불일치론은 본질에 있어서 동일성을 전제로 하며, 현실면에서는 자신이 신앙하는 가르침을 우선에 두고 있다. 유가와 불교의 본질에 있어서 동일성을 인정하는 인식에 대해서는 추상적인 이론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상과 사고 등 현실의 구체성을 중시하면서 진리를 탐구하고자 하는 손작의 사상적 움직임은 동진시대 이후 중국불교의 전개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손진, "치초(郗超)의 {봉법요(奉法要)}를 통해 본 사대부의 불교 수용" 한국불교연구원 (51) : 271-299, 2019

      3 "高僧傳 T50"

      4 "隋書"

      5 "通典"

      6 皇侃撰, "論語義疏" 中華書局 2014

      7 "莊子"

      8 "晉書" 中華書局 1998

      9 "弘明集 T52"

      10 승우, "弘明集" 동국역경원 2008

      1 "論語"

      2 손진, "치초(郗超)의 {봉법요(奉法要)}를 통해 본 사대부의 불교 수용" 한국불교연구원 (51) : 271-299, 2019

      3 "高僧傳 T50"

      4 "隋書"

      5 "通典"

      6 皇侃撰, "論語義疏" 中華書局 2014

      7 "莊子"

      8 "晉書" 中華書局 1998

      9 "弘明集 T52"

      10 승우, "弘明集" 동국역경원 2008

      11 遠藤祐介, "孫綽撰『遊天台山賊』と般若経世界" 智山勧学会 52 : 2003

      12 長谷川滋成, "孫綽の研究: 理想の「道」に憧れる詩人" 汲古書院 1999

      13 蜂屋邦夫, "孫綽の生涯と思想"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57 : 1977

      14 福永光司, "孫綽の思想-東晋における三教交渉の一形態" 愛知学芸大学 1961

      15 "孟子"

      16 "四部叢刊" 商務印書館 1921

      17 "周易"

      18 滋賀秀三, "中國法制史: 基本資料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93

      19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20 張萬起, "世說新語譯注" 中華書局 1998

      21 "T : 大正新修大藏經"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철학연구(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 동양철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39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