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기 어린이운동의 성립과 교육적 의의 = The Orini(childrens) Movement and Its Educational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34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Orini(childrens)movement which started from the first Orini day ceremony in May 1,1923 and continued until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prohibited it in 1937. Although this Orin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Orini(childrens)movement which started from the first Orini day ceremony in May 1,1923 and continued until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prohibited it in 1937.
      Although this Orini movement has been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culture, music and nationalism movement, it has never been studied in the view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following things: brought about finally the educational movement in Korea. Based on this fact, the findings in this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rini movement stressed on the child-centered education and inspired the importance of the children. There is siginificance in the fact that these thoughts did not came from western education but arised spontaneously in Korea.
      (2) The Korean Declaration of Children in May 1,1923 emphasized upon childrens individuality and rights. This declaration is one year earlier than the UN Childrens Declaration which was declared at Jeneva in 1924.
      (3) The Orini movement raised up the enlightment in Korean society and family.
      (4) The Orini movement protect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xcluded from teaching in the school by the Japanese reg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Ⅰ. 어린이 운동의 흐름
      • 1. 「어린이」의 용어 사용
      • 2. 첫번 어린이날과 어린이운동의 양식
      • 3. 어린이운동의 분열과 통합
      • 머리말
      • Ⅰ. 어린이 운동의 흐름
      • 1. 「어린이」의 용어 사용
      • 2. 첫번 어린이날과 어린이운동의 양식
      • 3. 어린이운동의 분열과 통합
      • 4. 어린이운동의 탄압
      • 5. 乳幼兒愛護운동
      • Ⅱ. 어린이 운동의 선언, 구호, 표어, 포스터
      • Ⅲ. 어린이 운동의 교육적 의의
      • 1. 아동존중사상의 고취
      • 2. 아동의 인격과 권리
      • 3. 자녀교육의 계몽
      • 4. 민족교육의 역할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