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화재발생과 부산소방조의 활동-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 Fire That Broke Out in Busan and Activity of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 on 1920s and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ports were open in 1876, Busan grew to be one of the best trade ports and the second best city in Korea. The population of Busan increased and the town expanded, which caused a number of fires to break out. Japanese people who resided in Busan had ...

      As ports were open in 1876, Busan grew to be one of the best trade ports and the second best city in Korea. The population of Busan increased and the town expanded, which caused a number of fires to break out. Japanese people who resided in Busan had much more financial damages due to fires in 1920s than Korean. They were engaged in diverse manufacturing business areas including rice polishing and food industry. Therefore, their damages due to fire also increased.
      As damages caused by fire increased,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were active to deal with it. First, its organization was reorganized.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expanded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nd reorganized the organization into five departments under the headquarter. Standing fire fighters were arranged for each of departments. However, the executive officers accumulated wealth by illegal mean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fire fighting equipment with fees Busan people donated to celebrate its beginning ceremony. It led to resignation and arrest of the officers of the fire fighting service and provided a chance to change the personnel system of the service.
      Second, fire prevention drills to respond to fire was reinforced. The prevention activity was designed to control fire. The beginning ceremony was an important event of the service that was held in the beginning of a new year. The fire fighting service pledged to be positively engaged in its activity through the beginning ceremony. The fire fighters exercised drills using motor pumps on spring and fall fire drills. On the Fire-fighting day that was exercised every winter, fire precaution campaign was exercised.
      When a fire broke out,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quickly controlled it. The Busan Fire Fighting Service detected fire using watchtower supervision system, public telephones and fire alarms. When a fire was found, standing fire fighters turned out to control it on the motor pump. Then, its activity was usually made in residence of Japanese people and updated equipment was arranged the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876년 개항이 이루어지면서 부산은 한국 최고의 무역항이며 경성 다음의 도시로 성장하였다, 부산의 인구가 늘어나고 시가지가 팽창해지면서 부산에도 화재가 다발하였다. 1920년대 들어 부...

      1876년 개항이 이루어지면서 부산은 한국 최고의 무역항이며 경성 다음의 도시로 성장하였다, 부산의 인구가 늘어나고 시가지가 팽창해지면서 부산에도 화재가 다발하였다. 1920년대 들어 부산지역의 화재로 인한 소실피해는 일본인들이 한국인들 보다 월등이 많았다. 부산 거주 일본인들은 미곡관련 정미업, 식료품 등 다양한 제조업에 종사하였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피해 또한 증가하였다화재로 인한 소실피해가 늘어가면서 빈발하는 화재에 대하여 부산소방조는 적극적인 대처를 하였다. 첫째로는 소방조의 조직정비였다. 부산소방조는 1920년대 들어서 소방장비를 확충하고 조직을 본부체제 아래 5부로 정비하였다. 상비소방수도 각 部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부민들이 기부한 출초식 축의금으로 소방장비를 확충하는 과정에서 소방조 간부들의 부정축재가 있었다. 이는 소방조 간부들의 퇴진과 구속으로 이어졌다. 소방조 간부들의 축의금 횡령사건은 부산소방조 인적 쇄신의 계기가 되었다.
      두 번째, 화재예방 훈련 및 화재발생에 대비한 대응훈련을 강화하였다. 예방활동은 화재발생을 억제하는 활동이었다. 출초식은 연초에 실시되는 소방조의 중요한 행사였다. 출초식을 통하여 소방조는 그해 활동의지를 다짐하였다. 봄․가을 실시되는 춘․추계 소방훈련에는 소방조원들은 자동차펌프를 활용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매년 겨울철에는 시행되는 ‘방화데이’에는 불조심 캠페인 등을 실시하였다.
      화재가 발생하면 부산소방조는 신속한 현장대응활동도 전개하였다. 부산소방조는 망루감시와 공중전화, 화재보지기를 통하여 화재를 탐지하였다. 화재발견시 상비소방수들은 신속하게 자동차 펌프에 탑승하여 출동하였다. 그러나 부산소방조의 화재대응활동은 본정을 중심으로 한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최신장비도 일본인 거주지에 배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욱, "한말·일제강점기(1899~1929) 목포소방조의 결성과 활동" 호남사학회 (34) : 121-148, 2008

      2 원영금, "한말·일제 강점기 군산소방조의 조직과 활동"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최덕수, "조약으로 본 한국근대사" 열린책들 2010

      4 "조선중앙일보"

      5 강경구, "일제하 경성소방서의 설치와 운영"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7

      6 김봉삼, "일제시대 군산의 화재발생과 소방활동 : 일본인 거주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4

      7 홍순권, "일제시기 재부산일본인사회 사회단체 조서보고" 선인 2005

      8 홍순권, "일제시기 부산지역 일본인사회의 인구와 사회계층구조" 부산경남사학회 (51) : 43-73, 2004

      9 김상욱, "일제강점기(1910~1939년) 대전소방조의 결성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6) : 113-157, 2018

      10 김상욱, "일제강점기(1910-1939) 공설군산소방조의 결성과 활동" 전북사학회 (50) : 215-244, 2017

      1 김상욱, "한말·일제강점기(1899~1929) 목포소방조의 결성과 활동" 호남사학회 (34) : 121-148, 2008

      2 원영금, "한말·일제 강점기 군산소방조의 조직과 활동"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최덕수, "조약으로 본 한국근대사" 열린책들 2010

      4 "조선중앙일보"

      5 강경구, "일제하 경성소방서의 설치와 운영"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7

      6 김봉삼, "일제시대 군산의 화재발생과 소방활동 : 일본인 거주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4

      7 홍순권, "일제시기 재부산일본인사회 사회단체 조서보고" 선인 2005

      8 홍순권, "일제시기 부산지역 일본인사회의 인구와 사회계층구조" 부산경남사학회 (51) : 43-73, 2004

      9 김상욱, "일제강점기(1910~1939년) 대전소방조의 결성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6) : 113-157, 2018

      10 김상욱, "일제강점기(1910-1939) 공설군산소방조의 결성과 활동" 전북사학회 (50) : 215-244, 2017

      11 김상욱, "일제강점기 소방기구의 변천과 역할" 한국행정사학회 (43) : 185-212, 2018

      12 차철욱, "일제강점기 부산도시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23 : 2007

      13 이재선, "일제 강점 전반기(1910∼1925) 消防運營體系의 변화와 消防署의 설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4 박봉선, "인구문제와 인구정책" 한얼문고 1972

      15 전성현, "식민자와 조선 - 일제시기 大池忠助의 지역성과 ‘식민자’로서의 위상"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271-316, 2013

      16 "소방청 훈령,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제2조. 2018. 4. 3"

      17 "소방청 훈령 제45호, 「화재조사보고규정」"

      18 오영섭, "서울災害史"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3

      19 "부산일보"

      20 박철규, "부산의 도시형성과 일본인들" 선인 2008

      21 홍순권, "부산의 도시형성과 일본인들" 선인 2008

      22 김인호, "부산근현대사산책" 국학자료원 2017

      23 "동아일보"

      24 김인호, "고종 순종 시기 은사(恩賜) 제도의 운영 실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96) : 5-57, 2018

      25 김의환, "개항후 부산일본전관거류지 설정에 관한 연구-부산시 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일문제연구소 2 : 1973

      26 김철권, "開港期 ․ 日帝强占期의 釜山 市街地 變遷에 관한 硏究"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27 釜山市, "釜山의 商工業" 1965

      28 釜山市, "釜山의 商工業" 1965

      29 釜山府, "釜山開港五十年紀念號" 1926

      30 釜山商業會議所, "釜山要覽" 1912

      31 金容旭, "釜山築港誌" 2 : 1963

      32 相澤仁助, "釜山港勢一斑" 日韓昌文社 1905

      33 釜山府, "釜山府勢要覽" 1921

      34 釜山市史編纂委員會, "釜山市史 1권" 1989

      35 釜山府, "釜山商工案內" 1932

      36 釜山府, "釜山商工案內" 1932

      37 釜山商工會議所, "釜山商工會議所年報" 1932

      38 秋山忠三郞, "群山消防組發達誌" 群山消防組 1927

      39 木浦消防組, "木浦消防沿革史" 1929

      40 東亞經濟時報社,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1921

      41 "朝鮮總督府統計年報"

      42 朝鮮總督府 內務府土木局, "朝鮮港灣要覽" 1931

      43 朝鮮消防協會, "朝鮮消防, 第8卷 9月號"

      44 釜山甲寅會, "日鮮交通史" 1916

      45 金容旭, "日帝强占期 釜山의 行政組織과 日帝의 統治機構" 15 : 18-, 1998

      46 염복규, "日帝下 京城 지역 소방 기구의 변화 과정과 활동 양상" 서울학연구소 (49) : 31-65, 2012

      47 李如星, "數字朝鮮硏究 제5집" 1935

      48 田邊無聲, "大田消防の沿革" 1933

      49 田邊無聲, "大田消防の沿革" 1933

      50 加藤機三朗, "光州消防二十年史" 1933

      51 장선화, "1920~1930년대 부산의 공업발전과 도시구조의 변화" 동아대학교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44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