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이용자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s Inves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30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elephone surveys for the participants of the various programs i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s Investment(CSSI) in Incheon. It made a comparison of consumer satisf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of various programs of the CSSI...

      This study examined the telephone surveys for the participants of the various programs i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s Investment(CSSI) in Incheon. It made a comparison of consumer satisf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of various programs of the CSSI. The participants of the health-care-related programs (vs.
      non health-care-related programs) and those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s (vs.
      of the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had higher levels of customer satisfaction in statistical approach. Next the study analyzed f actors affecting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two participants groups of the health-care-related programs and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s. Af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ge (especially, under 19 years old) and the old-aged were found as the decisive affecting factors for the degree of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s Investment(CSSI) in Inche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바우처방식의 사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기존 연구들은 연구대상이 제한적이거나, 프로그램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지 않았거나, 또는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세분화...

      바우처방식의 사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기존 연구들은 연구대상이 제한적이거나, 프로그램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지 않았거나, 또는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세분화된 분석이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활용하여 비(非)보건의료 관련 프로그램과 보건의료 관련 프로그램의 이용자 만족도 및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 중 상담심리프로그램과 신체활동프로그램 이용자의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4년 7월 인천광역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이용자 7,156명 중26.9%인 1,925명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제공자 친절성, 제공자 제공능력, 서비스 내용, 전반적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자의 인구사화학적 특성을 기준으로 집단간 비교분석을 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비(非)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 중 신체활동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상담심리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에서 이용자를 구분할 경우노인>아동청소년>장애인>일반인의 순서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의 이용자 중 19세 미만 경우 미취학아동(0~5세)>초등학생(6~11세)>중·고등학생(12~18세)의순서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보건의료관련 프로그램의 경우 이용자의 특성(노인)과 연령이 제공자의 친절성과 제공능력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신체활동프로그램의 경우 이용자의 특성(노인)이 4가지 만족도 전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창환, "한국의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공급구조와 바우처 작동기제에 관한 연구 -ADHD 아동 조기개입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99-420, 2010

      2 조성숙,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재이용의사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대구지역 아동정서발달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3 (13): 127-148, 2012

      3 국토해양부, "주택바우처 제도 도입방안 연구 Ⅱ" 주택도시연구원 2008

      4 민은희, "정신보건영역에 사회서비스 도입과 적용" 13-26, 2009

      5 조구현, "저소득 노인층을 위한 여행 바우처 제도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6 (16): 183-200, 2007

      6 정세희, "이용자중심 사회서비스 품질 측정 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재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 (16): 1-32, 2014

      7 고영미, "우리나라 유아교육, 보육 바우처 제도의 현황 및 발전방향" 333-347, 2008

      8 이연택, "여행바우처정책의 경로의존단계적 변화 분석" 관광연구소 25 (25): 57-79, 2013

      9 김현주, "여행바우처 시범사업 평가와 운영체계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2007

      10 박경효, "시민만족도평가제도의 조사모형과 방법론의 발전방안" 197-212, 2001

      1 신창환, "한국의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공급구조와 바우처 작동기제에 관한 연구 -ADHD 아동 조기개입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99-420, 2010

      2 조성숙,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재이용의사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대구지역 아동정서발달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3 (13): 127-148, 2012

      3 국토해양부, "주택바우처 제도 도입방안 연구 Ⅱ" 주택도시연구원 2008

      4 민은희, "정신보건영역에 사회서비스 도입과 적용" 13-26, 2009

      5 조구현, "저소득 노인층을 위한 여행 바우처 제도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6 (16): 183-200, 2007

      6 정세희, "이용자중심 사회서비스 품질 측정 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재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 (16): 1-32, 2014

      7 고영미, "우리나라 유아교육, 보육 바우처 제도의 현황 및 발전방향" 333-347, 2008

      8 이연택, "여행바우처정책의 경로의존단계적 변화 분석" 관광연구소 25 (25): 57-79, 2013

      9 김현주, "여행바우처 시범사업 평가와 운영체계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2007

      10 박경효, "시민만족도평가제도의 조사모형과 방법론의 발전방안" 197-212, 2001

      11 박은철, "서울형 주택바우처 운영개선 및 발전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1

      12 신창환, "서비스 만족도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지역개발형 바우처 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151-177, 2011

      13 김윤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 발전을 위한 제도개선 방향연구" 한국복지정보개발원 2014

      14 이재원,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대영문화사 2008

      15 박경돈, "사회서비스 성과관리 현안과 개선방안" 2009 (2009): 1-30, 2009

      16 이제복, "사회서비스 사업의 비영리조직 진입에 관한 연구: 산모신생아도우미 바우처 시장을 중심으로" 1464-1480, 2013

      17 김인, "사회서비스 바우처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고객만족도 영향요인 : 산모신생아도우미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3 (13): 127-151, 2010

      18 이정은, "사회서비스 바우처사업의 정책효과 분석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9 이제복, "사회서비스 공급 기관의 거리와 영리성이 바우처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산모신생아도우미 바우처 시장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0 (20): 371-400, 2011

      20 Gilbert N., "사회복지정책론 - 분석 틀과 선택의 차원" 나눔의 집 2007

      21 김보영, "복지국가를 향한 짧은 안내서: 국제적 관점으로 쉽게 쓴 사회정책입문" 나눔의집 2010

      22 문창진, "보건복지정책론" 나남 2008

      23 김홍원, "방과후학교 바우처 제도 도입 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24 신창환, "바우처를 활용한 사회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37-161, 2012

      25 김인숙, "바우처 도입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3-58, 2010

      26 박미선, "미국의 주택바우처" 106 : 87-106, 2014

      27 정광호, "미국 교육바우처의 효과 분석: 무작위실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8 (48): 25-64, 2010

      28 양난주, "노인돌보미바우처 정책집행분석 -선택과 경쟁은 실현되는가?-"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77-101, 2009

      29 김민영, "기관경쟁과 이용자선택이 사회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중 아동대상 대인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53-176, 2012

      30 보건복지부, "2014년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 안내"

      31 인천광역시, "2014년 인천광역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안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