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핵심역량 중심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 개발 = Development of history textbooks and history education focused on core competen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67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지적된 역량 개념의 모호성이나 총론 주도의 일방하향식 개발에도 불구하고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은 세계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이다. 따라서 ...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지적된 역량 개념의 모호성이나 총론 주도의 일방하향식 개발에도 불구하고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은 세계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이다. 따라서 ‘역량’이라는 개념이 기능적이고 실용적이라는 비판을 받지만 이제는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한 역사교과서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무엇보다도 역사교육의 목표인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키우고 ‘학생 스스로가 역사를 해볼 수 있도록(doing history)’하기 위해서는 역사교과서의 획기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는 ‘역사사실이해’, ‘역사자료분석과 해석’, ‘역사정보활용탐구능력 및 의사소통’, ‘역사적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 ‘정체성과 상호존중 역량’ 등 5가지를 핵심역량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기존의 역사적 사고력과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의 관계를 밝히고, 이러한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해서 역사교과서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외국 역사교과서의 사례를 참고하여 핵심역량을 역사교과서에 반영할 수 있는 예시 6가지를 제시하였다. 이제는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역사교과서 개발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따라서 기존 역사교과서에 대한 ‘땜질식 처방’에서 벗어나 핵심역량에 기초한 새로운 역사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능동적이고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and the one-sided top-down development of the general theory, which are pointed out in the 2015 Revised Historical Curriculum, the transition to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is a worldwide trend. Th...

      Despit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and the one-sided top-down development of the general theory, which are pointed out in the 2015 Revised Historical Curriculum, the transition to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is a worldwide trend. Therefore, although the concept of `competence` is criticized as functional and practical, it is now necessary to hasten the development of history textbooks based on core competencies. above all, there must be a revolutionary change in history textbooks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to `doing history`. The revised historical curriculum of 2015 including `Understanding of history fact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data`, `Ability to inquire and utilize histor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istorical judg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dentity and mutual respect ability` are set as five core competen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historical thinking and the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revised historical curriculum of 2015, in order to develop these core competenc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historical textbooks should be linked organically. to illustrate this, we presented six examples that can be applied to history textbooks by referring to examples of foreign history textbooks. now, we can not delay the development of history textbooks that can develop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round their core competencies. therefore, active and full discussion is needed to develop a new history textbook based on core competencies, rather than `tinkering prescriptions` for existing history textboo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핵심역량과 역사교육
      • Ⅲ. 역량중심 역사교과서의 개발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핵심역량과 역사교육
      • Ⅲ. 역량중심 역사교과서의 개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미, "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55-180, 2014

      2 박범희, "한국사교과서의 집필과 교육과정" 20 : 2012

      3 이지현, "한국과 일본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3 (53): 629-641, 2014

      4 김민수, "학교 역사지식의 구성 :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5 정미경, "초·중등교육체제 개선 방안 연구 교육내용 - 방법 및 평가 체제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6 서준석,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탐구활동 비교 연구 : 한국 근현대사 단원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방지원, "이야기체(narrative)를 활용한 역사 교과서 서술 방안" 호서사학회 (47) : 167-214, 2007

      8 윤종필, "역사적 사고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의 역사교육적 함의" 고려대학교대학원 2018

      9 윤종필, "역사적 사고에 대한 메타 인지적 접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4 (24): 87-103, 2017

      10 김한종,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와 역사 수업의 발문" 29 : 1996

      1 이미미, "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55-180, 2014

      2 박범희, "한국사교과서의 집필과 교육과정" 20 : 2012

      3 이지현, "한국과 일본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3 (53): 629-641, 2014

      4 김민수, "학교 역사지식의 구성 :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5 정미경, "초·중등교육체제 개선 방안 연구 교육내용 - 방법 및 평가 체제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6 서준석,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탐구활동 비교 연구 : 한국 근현대사 단원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방지원, "이야기체(narrative)를 활용한 역사 교과서 서술 방안" 호서사학회 (47) : 167-214, 2007

      8 윤종필, "역사적 사고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의 역사교육적 함의" 고려대학교대학원 2018

      9 윤종필, "역사적 사고에 대한 메타 인지적 접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4 (24): 87-103, 2017

      10 김한종,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와 역사 수업의 발문" 29 : 1996

      11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2007

      12 김한종,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7

      13 김민정, "역사교과서 체제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과 개발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29-53, 2013

      14 이종경, "역사과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인성 교육 수업 모델 개발: 추체험을 통한 의사소통형" 역사교육연구회 (128) : 37-67, 2013

      15 이미미, "역사가의 사고과정이 드러나는 서술의 특징과 교재개발 방향" 73 : 2000

      16 강현욱, "역사 교과서 탐구활동 분석․평가 연구 - 중학교 『역사(상) 』고려 단원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학회 (49) : 197-229, 2012

      17 박민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71-94, 2009

      18 문중선, "에밀리(고종 황제의 그림자 연인)" 지식의 숲 2013

      19 허은철, "실업계 고등학교 국사 교육과정 및 국정교과서 검토" 역사교과서연구소 (21) : 643-678, 2015

      20 이상하, "미래사회 핵심역량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교육평가 정책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1 진재관,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역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2 고유경, "독일의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역사교육의 변화" 한국독일사학회 (35) : 53-87, 2017

      23 양정현, "국사 교과서 국정 체제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살아있는 한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44) : 77-98, 2002

      24 김한종, "교육과정 구성 논리로 본 2015개정역사교육과정의 쟁점" 한국역사교육학회 (23) : 7-49, 2015

      25 양미경, "교과서 구성의 문제와 발전과제" 16 (16): 1998

      26 김종수,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 2013

      27 왕현종, "고등학교 한국사" 두산동아 2013

      28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컬쳐 2011

      29 한철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컬쳐 2013

      30 지모선,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및 대안 모색 -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16) : 103-150, 2012

      31 이혜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탐구활동> 발문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2 손보미,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탐구활동> 분석을 통한 학습 모형 개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3 Stuart Clayton, "History in progress" Heinemann 2015

      34 Sophie Le Callennec, "Histoire-Geographie CM2" Hatier 2011

      35 Antti Kohi, "Forum 8 hisroria" otava 2014

      36 Stina Andersson, "Boken om Historia 3" Liber 2013

      37 Nicholas Tate, "A History of the Modern World 1917-1952" Federal Publications 2001

      38 양정현,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구성" 역사문제연구소 (113) : 262-287, 2015

      39 이광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각론간 연계 양상에 대한 반성적 논의: 국가교육과정 각론조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59-80, 2017

      40 김성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사과 핵심역량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제언" 역사교과서연구소 (22) : 347-381, 2016

      41 백은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역사연구소 (86) : 245-274, 2015

      42 이해영, "'친절한 텍스트'를 지향하는 국사 교과서 서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