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서지역 농산물 유통구조의 합리화 방안 - 경남 욕지도 고구마를 중심으로 - = Rationalization Plan for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s on Islands - Focusing on Sweet Potatoes on Yokjido, Gyeongna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7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서(섬)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 유통구조를 경남 욕지도의 고구마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대내·외적 환경변화를 바탕으로 농산물 유통경로상의 문제점을 2차 자료,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서(섬)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 유통구조를 경남 욕지도의 고구마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대내·외적 환경변화를 바탕으로 농산물 유통경로상의 문제점을 2차 자료, 정성조사 및 SWOT방법으로 분석하여 농산물 유통체계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욕지도산 고구마를 포함한 도서지역 농산물 유통구조의 효과적인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생산측면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인한 재배구조의 한계와 많은 노동력 투입에 의한 생산비 증가 등으로 안정적인 생산기반 조성이 부족하여 도서지역 농산물의 산지 생산조직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농촌 환경 보존과 국민건강에 대한 의식교육과 영농 기술 지도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안전하고 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지역 농협의 역할 강화로 지역 내 농산물의 산지 수집기구로서의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 농가 경작자는 연로하나 기계화 율이 낮아 보다 안정적인 재배환경의 조성이 요구된다.
      유통단계에서 도서지역에 입지한 농협이 적극적으로 농산물 판매장을 늘리고 농협 중심의 명품 브랜드화가 필요하다. 도서지역 농산물의 지속적인 생산 확대를 위해서 농산물 가공사업의 발전과 가공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도서지역 농산물에 대한 유통비용 절감을 위해서 도서지역 농업단체에 정부자금을 지원하여 ‘농산물 공동물류센터’를 설치· 운영토록 함으로써 물량 배송을 대도시 개별 매장으로 일괄 운송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농산물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서지역 농산물 정보센터’를 개설하여 이곳에서 모든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전자상거래가 가능하도록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비자의 신뢰확보를 위해서 생산과정을 지도·점검하는 생산이력관리 및 사후관리와 인증제도의 관리 철저, 정부 주도로 매년 도서지역 농산물 품평회 및 특판 행사를 실시하여 우수친환경 농산물을 선발 시상하는 등 농산물 홍보 및 판촉활동에 지속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농산물 유통구조에 대한 생산자와 유통업자의 자발적인 개선의지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등을 통한 변화가 필요하며, 이들의 공통된 노력을 통해 도서지역 농산물 유통의 합리화는 달성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d in the islands of Korea, focusing on sweet potatoes on Yokjido, Gyeongnam. Based on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channel...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d in the islands of Korea, focusing on sweet potatoes on Yokjido, Gyeongnam. Based on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channels of agricultural products were analyzed through secondary data, qualitative survey, and the SWOT method, a rational improvement plan for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was hence sought.
      In terms of production,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production organ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n islands. Consciousness education for r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ublic health, and farming technology guidance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to induce safe and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to be produced and supplied to consumers.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role of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it is necessary to play a role as an organization for collecting local agricultural products. Farmers grow older, but the mechanization rate is low, so a more stable cultivation environment is required.
      In the distribution stage, it is necessary for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located on islands, to actively increase their agricultural product sales sites, and to make niche luxury brands centered o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order to continuously expand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on islan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gricultural processing businesses and in turn processed products. In order to reduce the distribution costs for agricultural products on islands, government funding is provided to agricultural organizations on islands to establish and operate a 'joint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cent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formation system so that all data can be obtained and e-commerce is possible by opening an 'island agricultural product information center' so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it.
      In order to secure consumer confid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support for production history management, follow-up administr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management, as well as enhance the publicity and promo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Changes are required through the voluntary will of producers and distributors to improve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s alongsid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Rational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tructure on islands can be achieved through their common effor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길, "한반도의 자원순환형 친환경농업 발전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1 (31): 1-30, 2008

      2 박대근, "통영시 농업기술과 주무관의 증언"

      3 "통영시 농업기술과"

      4 허무열, "친환경농산물 구매자의 브랜드 선호 유형 및 라이프스타일 분석"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2 (32): 227-248, 2005

      5 황수철, "친환경농산물 가공업체 운영실태 분석" 한국식품유통학회 24 (24): 59-88, 2007

      6 고범석,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 특성 및 소비자의 구입 의도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1 (11): 214-227, 2005

      7 강창용,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행태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2 (22): 61-74, 1999

      8 권기대, "친환경 농산물 브랜드 유형 및 고객가치가 고객만족에의 영향과 마케팅전략" 성곡언론문화재단 35 (35): 395-456, 2004

      9 최수환,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2 (2): 70-83, 2011

      10 "욕지면사무소 산업팀"

      1 김창길, "한반도의 자원순환형 친환경농업 발전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1 (31): 1-30, 2008

      2 박대근, "통영시 농업기술과 주무관의 증언"

      3 "통영시 농업기술과"

      4 허무열, "친환경농산물 구매자의 브랜드 선호 유형 및 라이프스타일 분석"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2 (32): 227-248, 2005

      5 황수철, "친환경농산물 가공업체 운영실태 분석" 한국식품유통학회 24 (24): 59-88, 2007

      6 고범석, "친환경 농산물의 유통 특성 및 소비자의 구입 의도에 관한 연구" (사)한국조리학회 11 (11): 214-227, 2005

      7 강창용,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과 소비행태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2 (22): 61-74, 1999

      8 권기대, "친환경 농산물 브랜드 유형 및 고객가치가 고객만족에의 영향과 마케팅전략" 성곡언론문화재단 35 (35): 395-456, 2004

      9 최수환,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2 (2): 70-83, 2011

      10 "욕지면사무소 산업팀"

      11 하문수, "욕지면 고구마 작목반 회장의 증언"

      12 주재창, "온라인 농산물 거래소 추진방향과 과제" 한국식품유통학회 193-204, 2020

      13 김동환, "소매업 구조변화와 농산물 유통경로" 한국유통학회 67-85, 2000

      14 임충규, "산지농협의 친환경농산물 공급확대 방안" 한국협동조합학회 20 (20): 137-160, 2002

      15 노채영,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친환경농산물의 만족도 비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8 (28): 57-68, 2005

      16 장덕기, "농식품의 안전성중시에 따른 소비자의 식품구매 행태분석"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3 (33): 563-582, 2006

      17 신윤숙, "농산물의 전략 유통구조에 관한 연구" 제대학교 대학원 2013

      18 강희정, "농산물 품목별 유통비용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유통경로체계의 확립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19 박승환, "농산물 전자상거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2006

      20 김준화, "농산물 유통산업의 문제점 및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6

      21 김호, "농산물 생산자조직과 대형 유통업체간 직거래의 발전과제" 한국식품유통학회 17 (17): 111-126, 2000

      22 김재승, "고구마의 조선 전래" 한국동서사학회 8 : 97-112, 2001

      23 권기대, "고객가치, 마케팅역량, 고객만족 그리고 전략-친환경농산물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유통학회 24 (24): 21-6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