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가 안성천 공도 도시성장 유역의 수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mpact on hydrologic behavior in Anseong-cheon Gongdo urban-growing watersh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1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uture hydrologic behavior affected by th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n upstream of Anseong-cheon watershed (366.5 km2) using SWAT. The HadGEM3-RA RCP 4.5 and 8.5 scenarios were used for 2030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uture hydrologic behavior affected by the potential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in upstream of Anseong-cheon watershed (366.5 km2) using SWAT. The HadGEM3-RA RCP 4.5 and 8.5 scenarios were used for 2030s (2020-2039) and 2050s (2040-2059) periods as the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 It was shown that maximum changes of precipitation ranged from -5.7% in 2030s to +18.5% in 2050s for RCP 4.5 scenarios and the temperature increased up to 1.8°C and 2.6°C in 2030s RCP 4.5 and 2050s 8.5 scenarios respectively based on baseline (1976-2005) period. The future land uses were predicted using the CLUE-s model by establishing logistic regression equation. The 2050 urban area were predicted to increase of 58.6% (29.0 to 46.0 km2). The SWAT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14 years (2002-2015) of daily streamflow with 0.86 and 0.76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NSE) for stream flow (Q) and low flow 1/Q respectively focusing on 2 drought years (2014-2015) calibration. For future climate change only, the stream discharge showed maximum decrease of 24.2% in 2030s RCP 4.5 and turned to maximum increase of 10.9% in 2050s RCP 4.5 scenario compared with the baseline period stream discharge of 601.0 mm by the precipitation variation and gradual temperature increase. While considering both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the stream discharge showed maximum decrease of 14.9% in 2030s RCP 4.5 and maximum increase of 19.5% in 2050s RCP 4.5 scenario by the urban growth and the related land use changes. The results supported that the future land use factor might be considered especially for having high potential urban growth within a watershed in the future climate change assess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안성천 상류 공도유역(366.5km2)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평가에 있어,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동시에 고려하면 수문학적 거동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

      본 연구의 목적은 안성천 상류 공도유역(366.5km2)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평가에 있어,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동시에 고려하면 수문학적 거동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는 HadGEM3-RA의 RCP 4.5와 8.5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2030s (2020-2039)과 2050s (2040-2059) 기간으로 나누어 적용하였으며, 토지이용변화는 도시성장 시나리오에 따른 회귀모형 기반의 CLUE-s 모델을 이용하였다. 기준년(1976-2005) 대비 미래 강수량은 RCP 4.5에서 2030s에 최대 5.7%의 감소, 2050s에는 최대 18.5% 증가하였고, 미래 기온은 2030s RCP 4.5에서 최대 1.8°C, 2050s RCP 8.5에서 최대 2.6°C 증가하였다. 미래 토지이용은 2050년 도시지역이 58.6% (29.0 km2에서 46.0 km2)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SWAT 수문 검보정은 14년(2002-2015) 동안의 공도관측소 일유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저유량 모델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2014-2015년 연속 가뭄년을 대상으로 보정을 실시한 결과, 하천유량(Q)과 1/Q을 대상으로Nash-Sutcliffe 모델효율은 각각 0.86과 0.76이었다.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만을 적용한 결과, 하천유출량이 2030s RCP 4.5에서 최대 24.2% 감소하다가 2050s RCP 4.5에서 최대 10.9% 증가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한편, 기후변화와 더불어 미래의 토지이용변화를 함께 고려한 경우는 하천유출량이 2030s RCP 4.5에서 최대 14.9% 감소, 2050s RCP 4.5에서 최대 19.5% 증가하는 변화를 보여주어,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수문평가 시, 도시성장이 기대되는 유역 등 미래의 토지이용변화가 클 가능성이 있는 유역에 대해서는 토지이용변화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호, "지역기후모형별 일 강수자료의 정략적 특성과 공간분포 경향" 한국방재학회 15 (15): 59-70, 2015

      2 김다래, "장기 가뭄기간의 유출량을 고려한 SWAT 보정 매개변수 추정 연구" 한국농공학회 59 (59): 19-27, 2017

      3 류지철, "오염총량관리제의 시공간적 미래 토지이용 변화분석을 위한 CLUE-S 모델의 적용 및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30 (30): 418-428, 2014

      4 김정호, "미래기후예측모형에 따른 가뭄전망 결과 비교" 한국방재학회 16 (16): 463-472, 2016

      5 조명래, "도시화의 흐름과 전망 -한국 도시의 과거, 현재, 미래-" 비판사회학회 60 : 10-39, 2003

      6 이용관,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토지이용 변화 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 19 (19): 75-88, 2016

      7 안소라, "기후변화와 토지이용 변화가 도시화 진행 유역수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대한토목학회 35 (35): 567-577, 2015

      8 박종윤,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 42 (42): 877-889, 2009

      9 Neitsch, S. L.,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2001

      10 Arnold, J. G., "SWAT Manual"

      1 김정호, "지역기후모형별 일 강수자료의 정략적 특성과 공간분포 경향" 한국방재학회 15 (15): 59-70, 2015

      2 김다래, "장기 가뭄기간의 유출량을 고려한 SWAT 보정 매개변수 추정 연구" 한국농공학회 59 (59): 19-27, 2017

      3 류지철, "오염총량관리제의 시공간적 미래 토지이용 변화분석을 위한 CLUE-S 모델의 적용 및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30 (30): 418-428, 2014

      4 김정호, "미래기후예측모형에 따른 가뭄전망 결과 비교" 한국방재학회 16 (16): 463-472, 2016

      5 조명래, "도시화의 흐름과 전망 -한국 도시의 과거, 현재, 미래-" 비판사회학회 60 : 10-39, 2003

      6 이용관,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토지이용 변화 예측" 한국지리정보학회 19 (19): 75-88, 2016

      7 안소라, "기후변화와 토지이용 변화가 도시화 진행 유역수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대한토목학회 35 (35): 567-577, 2015

      8 박종윤,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 42 (42): 877-889, 2009

      9 Neitsch, S. L.,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2001

      10 Arnold, J. G., "SWAT Manual"

      11 USDA-SCS,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Hydrology"

      12 Zhang, P., "Land use pattern optimization based on CLUE-S and SWAT models for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58 (58): 588-595, 2013

      13 Kim, M. H., "KREI outlook of the agricultural economy"

      14 Li, Z., "Impacts of land use change and climate variability on hydrology in an agricultural catchment on the Loess Plateau of China" 377 (377): 35-42, 2009

      15 Legesse, D., "Hydrological response of a catchment to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n Tropical Africa: case study South Central Ethiopia" 275 (275): 67-85, 2003

      16 한우석, "Dyna-CLUE를 이용한 기후 및 토지이용변화를 고려한 미래 홍수 유출 분석 방법" 한국방재학회 15 (15): 361-371, 2015

      17 NIMR, "Climate change scenario report 2011 to respond to the IPCC 5th Assessment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1

      18 김우선, "CLUE-S 모델과 시계열 Landsat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 대한공간정보학회 16 (16): 33-42, 2008

      19 Park, J. Y., "Assessment of MIROC3.2 HiRes climate and CLUE-s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hydrology using SWAT" 54 (54): 1713-1724,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