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디어 폭력에 관한 이론과 연구방법의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05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폭력적인 영화, 비디오, 게임을 접할 수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나, 이들이 청소년에게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얼마나 되...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폭력적인 영화, 비디오, 게임을 접할 수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나, 이들이 청소년에게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얼마나 되는지에 관한 국내의 과학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양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폭력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증거들은 폭력적 사고 및 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으며, 특히 폭력적인 기질이 있는 개인들에게는 그 영향력이 더 강력하고 일관성이 있다는 점이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미디어 폭력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의 새로운 변화들을 검토하고, 미디어 폭력을 연구하는 전통적인 세 가지 연구방법 - 실험실 실험, 현장 실험, 상관관계 연구 - 에 대한 타당도 차원에서의 장점과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이와 함께 미디어 폭력에 대한 사회 정책적 차원의 고려에서의 문제점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fluences of media violence has not been much researched scientifically in Korea, even though the social concerns about it is growing as the youth can more easily access them than before. In spite of the criticism on the methodologies of the medi...

      The influences of media violence has not been much researched scientifically in Korea, even though the social concerns about it is growing as the youth can more easily access them than before. In spite of the criticism on the methodologies of the media violence researches, the evidences that watching violent movies increase the audiences' violent thoughts and behavior were consistently supported, specially more for those who have violent disposition. First, in this paper, the changes of the psychological theories on the media violence were reviewed. Second, the validity issues of the three traditional methods to deploy the researches were considered. The issues in terms of social policy on the media violence were also propo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이론적 발전 = 26
      • Ⅱ. 방법론적 논쟁 = 28
      • 1. 실험실 실험 = 28
      • 2. 현장 실험 = 30
      • 목차
      • Ⅰ. 이론적 발전 = 26
      • Ⅱ. 방법론적 논쟁 = 28
      • 1. 실험실 실험 = 28
      • 2. 현장 실험 = 30
      • 3. 상관관계 연구 = 31
      • Ⅲ. 결론 = 32
      • 참고문헌 = 3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