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 별 수자원 취약성 지수의 산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9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수자원 취약성에 대한 논의 및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에 적합한 지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바탕으로 현재 또는 미래의 수자원 취약성을 판단하고 진단하고 있...

      최근 수자원 취약성에 대한 논의 및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에 적합한 지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바탕으로 현재 또는 미래의 수자원 취약성을 판단하고 진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World Bank, 취약성-탄력성지수(Vulnerability Resilience Indicator, VRI), 환경지속가능성지수(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ESI)에서 사용된 수자원 평가 관련 지표들을 활용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152개 국가의 수자원 취약성 순위를 도출했다. 이러한 지표를 바탕으로 수자원 취약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TOPSIS(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기법을 적용하여 국가 별 수자원 취약성을 지수화하고 취약성 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152개국 중 88위로 나타났고, 대륙 별 비교 시 오세아니아가 취약성이 낮았고, 아프리카는 취약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 비교 시, 미국, 일본, 우리나라, 중국 순으로 취약성의 정도가 심각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 별 수자원 취약성 순위를 통해 우리나라의 상황을 파악하고 국가의 수자원 계획 수립 및 대책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cussions for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and index development with sustainable concept are actively being made in recent years. Based on such index,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of present and future is determined and diagnosed. This study calc...

      Discussions for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and index development with sustainable concept are actively being made in recent years. Based on such index,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of present and future is determined and diagnosed. This study calculated the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rankings by 152 nations, using indicator related to water resources assessment that can be obtained from World Bank, VRI(Vulnerability Resilience Indicator), ESI(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In order to quanti-tatively assess of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based on this indicator, TOPSIS(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index water vulnerability and to determine the rankings by nations. As a results, South Korea was ranked as the 88th among the 152 nations including Korea. Among the continents, Oceania was the least vulnerable and Afirica was the most vulnerable in continents. WUnited State, Japan, Korea and China were vulnerable in order among the major countries. Therefore,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rankings by nations in this study help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situation of South Korea and provide the data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eas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민구,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39 (39): 59-68, 2006

      2 "World Bank"

      3 Moss, R. H.,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 quantitative approach"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Operated by Batelle for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2001

      4 Dalkey, N., "Use of self-rating to improve group estimates: experimental evaluation of Delphi procedures" 1 : 283-291, 1970

      5 Calow, R. C., "The struggle for water: drought, water security and rural livelihoods" British Geological Survey 2002

      6 Sullivan, C. A, "The potential for caculating a maeaningful water poverty index" 26 (26): 471-480, 2001

      7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and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The national survey on water issues" 2003

      8 Yoon, K. P., "Sage University Paper Series on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age 1995

      9 Kim, Y., "Reviewing the national-level indices to climate change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ith focusing on South Korea’s current stat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10 Hwang, C. L., "Multiple attributes decision making methods and applications" Springer 1981

      1 강민구,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39 (39): 59-68, 2006

      2 "World Bank"

      3 Moss, R. H.,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 quantitative approach"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Operated by Batelle for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2001

      4 Dalkey, N., "Use of self-rating to improve group estimates: experimental evaluation of Delphi procedures" 1 : 283-291, 1970

      5 Calow, R. C., "The struggle for water: drought, water security and rural livelihoods" British Geological Survey 2002

      6 Sullivan, C. A, "The potential for caculating a maeaningful water poverty index" 26 (26): 471-480, 2001

      7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and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The national survey on water issues" 2003

      8 Yoon, K. P., "Sage University Paper Series on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age 1995

      9 Kim, Y., "Reviewing the national-level indices to climate change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ith focusing on South Korea’s current stat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10 Hwang, C. L., "Multiple attributes decision making methods and applications" Springer 1981

      11 Korea Research Institute of Human Settlements, "Indicator of sustainable national territorial development"

      12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dex of watershed indicators: An overview"

      13 Vörösmarty, C. J., "Global threats to human water security and river biodiversity" 467 : 555-561, 2010

      14 Vörösmarty, C. J., "Geospatial indicators of emerging water stress: an application to Africa" 34 : 230-236, 2005

      15 World Economic Forum,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16 Ohlsson, L., "Environment, Scarcity and Conflict : A study of malthusian concerns" University Goteborg 1999

      17 Song, S. J., "A study on the prospection of long term care facilities by Delphi technique" 8 (8): 85-93,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