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번역과 조선시형의 창안 -김억을 중심으로- = Translation and creation of Choson poetic 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14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20년을 전후로 한 시기에 진행된 외국문학의 수용과정은 한국근대문학의 방향과 양상을 구체화하는 핵심 동인이었다. 이전의 번역자들이 편내용중심(偏內容中心)의 번역을 수행하였던 데 ...

      1920년을 전후로 한 시기에 진행된 외국문학의 수용과정은 한국근대문학의 방향과 양상을 구체화하는 핵심 동인이었다. 이전의 번역자들이 편내용중심(偏內容中心)의 번역을 수행하였던 데 반해, 김억의 번역 활동은 내용과 형식을 함께 존중함으로써 시문학 장르의 실체에 본격적으로 육박해 들어간 최초의 작업이었다는 점에서 혜성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김억은 당대 번역자들이나 문학인들과 달리 원본(출발어 텍스트)에 대한 강박이 거의 없었으며, 아울러 시란 기표(記標)와 기의(記意)로 분리할 수 없는 문학 장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시는 번역이 불가능하며, 시의 번역은 새로운 시와 시형을 창안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으로 발전해 간다. 김억은 번역을 통해 새로운 조선의 시를 모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개진된 것이 ``情調``와 ``格調詩``였다. 그는 시의 형식을 정형의 틀로 인식하지 않고 ``인간 내면 운동의 표현``으로 보았으며, 시의 모든 음성적 자질을 시의 내용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주요 요소로 의식하였다. ``情調의 시학``은 시의 음성적 요소를 중시하고 궁극적으로 의미지상주의에 반대하는 김억의 詩觀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이후 원시적 감정 표현의 도야를 강조하는 ``格調詩``로 전환된다. 정조에서 격조로의 변화는 언어의 음성적 자질을 언어 내용의 비물질적 영혼으로 인식하고 시어의 음성적 자질의 가능성을 온전히 개방하려는 태도의 부분적 회수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정형시(定型詩)와 자유시 사이에서 정형성(整形性)을 지향하는 김억의 리듬 의식의 산물이자 시의 음성적 자질을 중시했던 시의식의 결과였다. 시의 번역불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김억은 ``창작적 번역``을 시도하였고, 이러한 일련의 이해와 작업을 통해 그는 번역 과정에 내재된 상호주체성과 시적 언어의 고유한 자질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었다. 정조의 시학에서 격조시형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보여준 시의 음악성에 대한 그의 이해와 심미적 한계는 한국근대시사의 성취/실패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그의 번역 작업은 한국근대시사의 내적 변화 과정을 해명할 수 있는 유력한 기지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cess of accepting foreign literature proceeded in around the year 1920 was a core motive to embody the direction and aspect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Existing translators totally focused on contents of text in translation while Kim Eok resp...

      The process of accepting foreign literature proceeded in around the year 1920 was a core motive to embody the direction and aspect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Existing translators totally focused on contents of text in translation while Kim Eok respected not only contents but also form. His translation activity has the character of sudden prominence in that the work was the first one to really approach the real entity of genre of poetry. Differently from other literary persons, Kim Eok was not nearly obsessed by original text(source language text) and he clearly recognized that poetry is a literary genre where signifiant and signified cannot be separated. This thinking develops to the recognition that translation of poetry is impossible and is a work to create new poetry and poetic form. Kim Eok explored new poetry of Choson through translation and ``sentiment and refined poem`` was disclosed in this process. He did not recognize form of poem as a frame of fixed form but recognized as ``expression of human inner movement.`` He was aware of all phonetic qualities of poetry as main factor closely related to contents of poem. ``Poetics of sentiment`` was originated from Kim Eok`s viewpoint of poem that phonetic factor of poem is important and eventually the meaning-for meaning principle is refused. Later, ``Poetics of sentiment`` was transformed to ``refined poem`` that emphasizes practice of primitive emotional expression. The change from sentiment to refinement meant partial collection of attitude to recognize phonetic quality of language as non-material soul of language contents and to completely open the possibility of phonetic quality of poetic language. This is a product of Kim Eok`s consciousness for rhythm and at the same time, a result of poetic consciousness emphasizing phonetic quality of poem -he pursued refined form between Poems of fixed form and free verse. Kim Eok tried ``creative translation`` through recognition about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of poem and based on such a series of understanding and work, he could reach the deep recognition about mutual subjectivity inherent i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peculiar quality of poetic language. His understanding and aesthetic limit about poetic musicality shown in the process where poetics of sentiment was transformed to refined form, was close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and failure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Such his work in translation may be strong base to explain the process of inner change in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인모, "金億의 格調詩形論에 對하여" 한국문학연구소 (29) : 263-294, 2005

      2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3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한국문학과 계몽담론" 새미 25-26, 1999

      4 김은전, "프랑스 상징주의 수용과 문제점, in 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외시학사 1992

      5 김용직, "태서문예신보연구" 1 : 1967

      6 한계전, "자유시에 대한 인식의 발전"

      7 조재룡, "앙리 메쇼닉과 현대비평" 길 280-288, 2007

      8 앙리 메쇼닉, "시학을 위하여" 새물결 2004

      9 구인모, "시,혹은 조선시란 무엇인가" 25 : 2003

      10 염무웅, "서구문학수용과 우리의 대응" 42 : 2010

      1 구인모, "金億의 格調詩形論에 對하여" 한국문학연구소 (29) : 263-294, 2005

      2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3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한국문학과 계몽담론" 새미 25-26, 1999

      4 김은전, "프랑스 상징주의 수용과 문제점, in 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외시학사 1992

      5 김용직, "태서문예신보연구" 1 : 1967

      6 한계전, "자유시에 대한 인식의 발전"

      7 조재룡, "앙리 메쇼닉과 현대비평" 길 280-288, 2007

      8 앙리 메쇼닉, "시학을 위하여" 새물결 2004

      9 구인모, "시,혹은 조선시란 무엇인가" 25 : 2003

      10 염무웅, "서구문학수용과 우리의 대응" 42 : 2010

      11 이재성, "번역이론: 드라이든에서 데리다까지의 논선" 도서출판 동인 254-, 2009

      12 윤성우, "번역론" 철학과현실사 88-156, 2006

      13 김용규, "번역과 정체성" 동인 83-, 2010

      14 로만 알루아레즈 및 카르멘 아프리카 비달, "번역, 권력, 전복" 동인 31-32, 2008

      15 발터 벤야민,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16 앙리 메쇼닉, "모데르니테 모데르니테" 동문선 1999

      17 황종연, "데카당티즘과 詩의 音樂" 9 : 2007

      18 김지영, "김억의 창작적 번역과 창작시 연구" 서울대 1996

      19 박슬기, "김억의 번역론, 조선적 운율의 정초 가능성" 한국현대문학회 (30) : 103-132, 2010

      20 곽명숙, "김억의 ‘조선적 시형’에 대한 고찰" 인문과학연구소 (55) : 263-290, 2008

      21 김학동, "김안서 연구" 새문사 1996

      22 노춘기, "근대시 형성기의 창작주체와 장르의식" 민족어문학회 0 (0): 225-248, 2006

      23 沈善玉, "근대시 형성과 번역의 상관성―金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2) : 321-351, 2008

      24 박승희, "근대 초기 시의 ‘격조’와 ‘정형성’ 연구" 우리말글학회 39 : 339-362, 2007

      25 김진희, "근대 문학의 場과 김억의 상징주의 수용"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8 (8): 334-357, 2004

      26 김병철, "韓國近代飜譯文學史硏究" 乙酉文化社 1975

      27 구인모, "韓國近代詩와 ‘國民文學’의 論理" 동국대 2005

      28 양주동, "開闢 4월호의 金星 評을 보고-金岸曙君에게" (3) : 1924

      29 김소월, "詩魂" 開闢 1925

      30 이광수, "文學이란 何오"

      31 김동인, "擡頭된 飜譯運動"

      32 김 억, "岸曙金億全集" 한국문화사 1987

      33 김권동, "岸曙 詩形에 관한 小考" 반교어문학회 (19) : 157-181, 2005

      34 양주동, "‘해외문학’을 읽고"

      35 차혜영, "1920년대 초반 동인지 문단 형성 과정" 7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