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1차 세계대전과 우치무라 간조 = 第一次世界大戰と內村鑑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36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서 형성된 우치무라 간조의 전쟁개념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거쳐 형성된 우치무라의 전쟁개념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새롭게 변...

      본고는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서 형성된 우치무라 간조의 전쟁개념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거쳐 형성된 우치무라의 전쟁개념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새롭게 변화되었는지를 제1차 세계대전이라고 하는 인류사의 중대한 사건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우선 우치무라는 제1차 세계대전이 신의형벌로써 주어진 것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였다. 신을 배역하고 인간중심 문명의 바벨탑을 쌓아올린 것에 대한 대가로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음을 지적한다. 이후 제1차 세계대전 중 참여한 미국이라고 하는 나라에 대해 실망하고 종말론적세계관과 이에 기초한 전쟁개념을 형성하였다고 하는 점도 살펴보았다. 제1차세계대전 후 전쟁의 종식을 위해 인류가 만들어 낸 기구인 국제연맹의 존재에 대해서도 우치무라는 회의적이었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노력과 국가 간의 어떠한 외교적 노력도 전쟁을 그치게 할 수 없음을 그는 말하고 있다. 인류는 국제연맹을 통해서 전쟁을 종식시키고자 하지만 인간의 관점에서 시작하는 전쟁폐지론은 가능하지 않음을 그는 말한다. 그리고 그는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선포된 발포어선언에 주목하여 이스라엘의 건국이 성경에 예언된 종말론적 사건임을 받아들인다. 이스라엘의 건국이라고 하는 놀라운 사건은 성경의 종말론적 가치관을 받아들이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는데, 이는 종말론적 관점에 입각한 전쟁폐지론과 평화에 대한 개념을 수용하는 것과 연관이 된다. 제1차 세계대전은 인류사의 관점에서 보면 근대문명이 초래한 재앙이었고 또 전쟁과 평화에 대한 의지와 경각심을 새롭게 하는 사건이었지만, 우치무라는 이를 통해 인간의 노력과 관점을 철저히 배제하고 종말론적 관점에 입각하여 전쟁개념을 새롭게 형성시키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稿は第一次世界大戰を前後して形成された內村鑑三の戰爭槪念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日淸戰爭と日露戰爭を經て形成された內村鑑三の戰爭槪念がどのような過程を經て新しく...

      本稿は第一次世界大戰を前後して形成された內村鑑三の戰爭槪念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日淸戰爭と日露戰爭を經て形成された內村鑑三の戰爭槪念がどのような過程を經て新しくされたかを第一次世界大戰という人類史の重大な事件を中心に考察した。まず、內村は第一次世界大戰が神からの刑罰として與えられたものとして認識し、受け入れた。神に逆らい、人間中心の文明というバベルの塔を積み上げた代價として第一次世界大戰が勃發したことを指摘する。以後、第一次世界大戰中、參戰したアメリカに失望し、終末論的世界觀とこれに基づいた戰爭槪念を形成したという点についても考察した。第一次世界大戰後、戰爭の終息のために人類が作った機構である國際連盟の存在についても內村は懷疑的であった。究極的に人間の努力と國家間のどういう外交的努力も戰爭をとめることはできないと彼は語る。人類は國際連盟を通じて戰爭を終息させようとするが、人間の觀点からはじまった戰爭廢止論は不可能であることを彼は語る。そして彼は第一次世界大戰中、宣布されたバルフオア宣言に注目し、イスラエルの建國が聖書に予言された終末論的事件であることを受け入れる。イスラエルの建國という驚くべき事件は、聖書の終末論的價値觀を受け入れさせる重要なきっかけになるが、これは終末論的觀点に基づいた戰爭廢止論と平和に對する槪念を受け入れることと關連がある。第一次世界大戰は人類史の觀点からみると近代文明が招いた災いであり、戰爭と平和に對する警鐘を鳴らす事件であったが、內村はこの事件を通して、人間の努力と觀点を徹底して排除し、終末論的な觀点に基づいて戰爭槪念を新しく形成したのである。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스키 아키라, "세계사 속 팔레스타인 문제" 글항아리 2015

      2 정동수, "성경전서" 그리스도 예수안에 2008

      3 富岡幸一郎, "非戦論" NTT出版 2004

      4 박상도, "内村鑑三의 再臨思想에 관한 고찰 -비전론(非戦論)과의 관계와 본질적 의미 조명-" 한국일어일문학회 70 (70): 361-381, 2009

      5 박상도, "内村鑑三의 再臨思想批評 - 海老名弾正와 富永徳麿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52) : 151-168, 2011

      6 内村鑑三, "内村鑑三選集2非戦論" 岩波書店 1990

      7 内村鑑三, "内村鑑三日記書簡全集(1,7卷)" 教文館 1965

      8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11,21,22,24卷)" 岩波書店 1981

      9 政池仁, "内村鑑三伝" 三一書店 1953

      10 山本泰次郎訳補, "内村鑑三ベルにおくつた自叙傳的書翰" 新教出版社 1949

      1 우스키 아키라, "세계사 속 팔레스타인 문제" 글항아리 2015

      2 정동수, "성경전서" 그리스도 예수안에 2008

      3 富岡幸一郎, "非戦論" NTT出版 2004

      4 박상도, "内村鑑三의 再臨思想에 관한 고찰 -비전론(非戦論)과의 관계와 본질적 의미 조명-" 한국일어일문학회 70 (70): 361-381, 2009

      5 박상도, "内村鑑三의 再臨思想批評 - 海老名弾正와 富永徳麿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회 (52) : 151-168, 2011

      6 内村鑑三, "内村鑑三選集2非戦論" 岩波書店 1990

      7 内村鑑三, "内村鑑三日記書簡全集(1,7卷)" 教文館 1965

      8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11,21,22,24卷)" 岩波書店 1981

      9 政池仁, "内村鑑三伝" 三一書店 1953

      10 山本泰次郎訳補, "内村鑑三ベルにおくつた自叙傳的書翰" 新教出版社 1949

      11 田畑忍, "内村鑑三の戦争と平和にかんする政治思想" 同志社大学人文科学研究所 (5) : 19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9 0.5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