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 세대를 위한 기독교 시민교육의 과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국의 청년 세대는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오직 생존을 위한 삶의 방식을 익 히고, 연이은 재난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불확실성의 시대를 견디며 살고 있다. 저성장 시대의 장기실업에서 오는 절망뿐 아니라 불공정한 기회와 조건으로 인해 분 노한다. 기독 청년들은 예수의 참된 제자가 되는 길을 통해 사회에서의 고통과 좌절 을 극복하려고 하지만, 그들이 처한 사회적 현실에 무관심한 채 그들을 훈련이나 봉 사대상으로 삼고 순종을 강요하며 사회와 소통하지 못하는 교회에 실망하여 떠난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성숙한 삶과 예수의 제자로서의 참된 삶을 살고자 하는 청년들을 위해 교회는 민주적 시민성과 급진적 제자직의 의미를 진지하 게 고민하면서 기독교 시민교육의 과제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주의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시민들의 의식, 역량, 덕성, 가치관, 활동 등을 의 미하는 민주적 시민성은 민주적 주체성과 비판적 사고능력, 일상에서 시민다움을 실 천하고 공공의 사건에 참여하는 태도와 역량, 공적 합당성을 기반으로 공공선을 추구 하는 덕성을 요구한다. 역사적 예수 연구를 토대로 이해한 급진적 제자직의 역할은 탈인습적 삶으로의 이행, 지역공동체의 갱신과 대안적인 공동체의 형성, 절망이 지배 하는 시대에 희망을 선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기독 청년들을 위 한 기독교 시민교육의 과제를 몇가지 제시하면, 첫째, 일상의 문제들에 대해 스스로 사유하고 성찰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기독교적 진리의 현재적 의 미를 해석하는 능력과 비기독교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언어를 개발하여 상호적 의사 소통의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민주적 시민성과 급진적 제자직을 구체 적인 일상의 일터, 삶터, 배움터에서 구현하도록 돕는 것이다. 넷째, 사회적 약자들과 연대하면서 하나님 나라의 희망을 일구어가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디아코니아의 차원에서 마을공동체의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현재 한국의 청년 세대는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오직 생존을 위한 삶의 방식을 익 히고, 연이은 재난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불확실성의 시대를 견디며 살고 있다. 저성장 시대의 장기실...

      현재 한국의 청년 세대는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오직 생존을 위한 삶의 방식을 익 히고, 연이은 재난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불확실성의 시대를 견디며 살고 있다. 저성장 시대의 장기실업에서 오는 절망뿐 아니라 불공정한 기회와 조건으로 인해 분 노한다. 기독 청년들은 예수의 참된 제자가 되는 길을 통해 사회에서의 고통과 좌절 을 극복하려고 하지만, 그들이 처한 사회적 현실에 무관심한 채 그들을 훈련이나 봉 사대상으로 삼고 순종을 강요하며 사회와 소통하지 못하는 교회에 실망하여 떠난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성숙한 삶과 예수의 제자로서의 참된 삶을 살고자 하는 청년들을 위해 교회는 민주적 시민성과 급진적 제자직의 의미를 진지하 게 고민하면서 기독교 시민교육의 과제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주주의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시민들의 의식, 역량, 덕성, 가치관, 활동 등을 의 미하는 민주적 시민성은 민주적 주체성과 비판적 사고능력, 일상에서 시민다움을 실 천하고 공공의 사건에 참여하는 태도와 역량, 공적 합당성을 기반으로 공공선을 추구 하는 덕성을 요구한다. 역사적 예수 연구를 토대로 이해한 급진적 제자직의 역할은 탈인습적 삶으로의 이행, 지역공동체의 갱신과 대안적인 공동체의 형성, 절망이 지배 하는 시대에 희망을 선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기독 청년들을 위 한 기독교 시민교육의 과제를 몇가지 제시하면, 첫째, 일상의 문제들에 대해 스스로 사유하고 성찰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기독교적 진리의 현재적 의 미를 해석하는 능력과 비기독교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언어를 개발하여 상호적 의사 소통의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민주적 시민성과 급진적 제자직을 구체 적인 일상의 일터, 삶터, 배움터에서 구현하도록 돕는 것이다. 넷째, 사회적 약자들과 연대하면서 하나님 나라의 희망을 일구어가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디아코니아의 차원에서 마을공동체의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ounger generation in Korea is currently learning how to survive against fierce competition and endure different disasters in the era of uncertainty caused by the coronavirus. Young adults are angered by unequal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and in despair due to long-term unemployment during a period of low economic growth. Young Christian adults try to overcome their pains and frustrations by trying to become true disciples of Jesus, but they often leave their churches in disappointment. These churches are indifferent to the social realities young adults face and are unable to communicate messages relevant to current society. Instead, they often see young adults as targets to train and force obedience on. The church need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ristian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help young adults who are taking the first step in society to live mature lives as democratic citizens and true disciples of Jesus. Democratic citizenship refers to the consciousness, capacity, virtue, values and activities of citizens that are needed for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It requires people to have a certain level of democratic subjectiv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ttitude to participate in public events in everyday life, as well as the capacity to pursue public good based on public reasonableness. Radical discipleship, based on historical study of Jesus, is understood to entail the transition to post-conventional life, the renewal of local communities, the formation of alternative communities, and the proclamation of hope during times when despair is more prevalent. Based on these, I would like to present some tasks that Christian citizenship education needs to complete to help young Christian adults. First task is to allow young adults to think, reflect and judge daily events, while having religious questions. Second task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present meanings of Christian truth and to develop words to communicate with non-Christians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Third task is to help young adults realize democratic citizenship and radical discipleship in concrete daily life. Fourth task is to teach them how to actualize the hope of the Kingdom of God, by making solidarity with social minorities and marginalized groups. Last task is to teach young adul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f the village community at the level of social diaconia.
      번역하기

      The younger generation in Korea is currently learning how to survive against fierce competition and endure different disasters in the era of uncertainty caused by the coronavirus. Young adults are angered by unequal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and i...

      The younger generation in Korea is currently learning how to survive against fierce competition and endure different disasters in the era of uncertainty caused by the coronavirus. Young adults are angered by unequal opportunities and conditions, and in despair due to long-term unemployment during a period of low economic growth. Young Christian adults try to overcome their pains and frustrations by trying to become true disciples of Jesus, but they often leave their churches in disappointment. These churches are indifferent to the social realities young adults face and are unable to communicate messages relevant to current society. Instead, they often see young adults as targets to train and force obedience on. The church need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ristian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help young adults who are taking the first step in society to live mature lives as democratic citizens and true disciples of Jesus. Democratic citizenship refers to the consciousness, capacity, virtue, values and activities of citizens that are needed for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It requires people to have a certain level of democratic subjectiv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ttitude to participate in public events in everyday life, as well as the capacity to pursue public good based on public reasonableness. Radical discipleship, based on historical study of Jesus, is understood to entail the transition to post-conventional life, the renewal of local communities, the formation of alternative communities, and the proclamation of hope during times when despair is more prevalent. Based on these, I would like to present some tasks that Christian citizenship education needs to complete to help young Christian adults. First task is to allow young adults to think, reflect and judge daily events, while having religious questions. Second task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present meanings of Christian truth and to develop words to communicate with non-Christians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Third task is to help young adults realize democratic citizenship and radical discipleship in concrete daily life. Fourth task is to teach them how to actualize the hope of the Kingdom of God, by making solidarity with social minorities and marginalized groups. Last task is to teach young adul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f the village community at the level of social diacon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청년들의 위기와 탈교회 현상
      • III. 민주적 시민성
      • 1. 민주적 주체성과 숙의 능력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청년들의 위기와 탈교회 현상
      • III. 민주적 시민성
      • 1. 민주적 주체성과 숙의 능력
      • 2. 일상적이고 참여적인 시민
      • 3. 공적 합당성과 공공선 추구
      • IV. 급진적 제자직
      • 1. 탈인습적 삶으로의 이행
      • 2. 지역공동체의 갱신과 대안적인 공동체를 형성하는 제자직
      • 3. 절망이 지배하는 시대에 희망을 선포하는 제자직
      • V. 민주적 시민성과 급진적 제자직을 위한 기독교 시민교육의 과제
      • 1. 사유하는 제자이자 시민으로 양성하는 교육
      • 2. 소통의 언어를 개발하고 소통능력을 함양하는 교육
      • 3. 일상적 시민성과 제자직의 일상성을 형성하도록 돕는 교육
      • 4. 사회적 약자들의 희망인 하나님 나라를 이루도록 돕는 교육
      • 5. 마을공동체에서 사회적 디아코니아를 실천하도록 돕는 교육
      • VI.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여성신학회, "혐오와 여성신학" 동연 2018

      2 Kymlicka, Will,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16

      3 한국갤럽리포트, "한국인의 종교 1984-2021, 종교 현황"

      4 심승환, "한국의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에 관한 교육철학적 고찰: 자율성과 공공성의 조화" 한국교육사상학회 33 (33): 47-84, 2019

      5 장은주,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 참여연대 (34) : 99-134, 2019

      6 홍윤기,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 기반구축의 가능성과 그 제약" 한국학연구원 (67) : 157-194, 2017

      7 성석환, "한국사회의 청년문제와 한국교회의 과제–‘후기세속사회’의 공공신학적 관점에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95-121, 2016

      8 유영권, "한국교회의 소통과 공감 능력에 대한 분석과 방향"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2) : 47-71, 2015

      9 이수인, "한국교회의 공공성 회복의 과제와 신학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실천신학회 (61) : 535-561, 2018

      10 김은혜, "한국교회 청년문제를 통해 본 한국교회의 위기와 기독교윤리적 대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30) : 7-36, 2014

      1 한국여성신학회, "혐오와 여성신학" 동연 2018

      2 Kymlicka, Will,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16

      3 한국갤럽리포트, "한국인의 종교 1984-2021, 종교 현황"

      4 심승환, "한국의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에 관한 교육철학적 고찰: 자율성과 공공성의 조화" 한국교육사상학회 33 (33): 47-84, 2019

      5 장은주,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 참여연대 (34) : 99-134, 2019

      6 홍윤기,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 기반구축의 가능성과 그 제약" 한국학연구원 (67) : 157-194, 2017

      7 성석환, "한국사회의 청년문제와 한국교회의 과제–‘후기세속사회’의 공공신학적 관점에서"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95-121, 2016

      8 유영권, "한국교회의 소통과 공감 능력에 대한 분석과 방향"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2) : 47-71, 2015

      9 이수인, "한국교회의 공공성 회복의 과제와 신학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실천신학회 (61) : 535-561, 2018

      10 김은혜, "한국교회 청년문제를 통해 본 한국교회의 위기와 기독교윤리적 대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30) : 7-36, 2014

      11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12 권진욱,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흐름과 방향" 한국사회적질학회 2 (2): 25-46, 2018

      13 정재영,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교회의 변화와 공공성" 한국실천신학회 (73) : 857-886, 2021

      14 박선영, "청소년 시민교육과 기독교교육의 융합 방안"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0) : 255-285, 2012

      15 Arendt, Hannah, "책임과 판단" 필로소픽 2019

      16 정재영, "지역공동체 세우기를 통한 교회의 시민사회 참여" 한국실천신학회 (22) : 107-136, 2010

      17 정원옥, "재난 시대, 청년 세대의 문화정치" 88 : 157-175, 2016

      18 Nussbaum, Martha C, "인간성 수업" 문학동네 2018

      19 오찬호,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개마고원 2013

      20 유시주, "우리는 더 많은 민주주의를 원한다" 창비 2007

      21 Horsley Richard, "예수와 제국" 한국기독교연구소 2004

      22 Borg, Marcus, "예수 새로 보기" 한국신학연구소 2013

      23 강원택, "시민이 만드는 민주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시민교육" 박영사 2018

      24 정수복, "시민의식과 시민참여" 아르케 2002

      25 우기동, "시민교육과 대학" 인간사랑 2013

      26 김진호, "시민K, 교회를 나가다" 현암사 2012

      27 김선욱, "소통의 관점에서 본 종교와 정치-기독교 개신교의 정치적 소통구조 연구-"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1) : 1-34, 2006

      28 김홍중,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마음의 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회 49 (49): 179-212, 2015

      29 Crossan, John Dominic, "비유의 위력" 한국기독교연구소 2012

      30 Bonhoeffer, Dietrich, "나를 따르라: 그리스도의 제자직" 대한기독교서회 2018

      31 이혁배, "기독시민과 교회시민에 대한 시민신학적 성찰" 한국실천신학회 (32) : 725-754, 2012

      32 장신근, "교회의 민주시민교육 -공교회와 공적 신앙의 관점에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1) : 109-152, 2009

      33 이은성, "교회 청소년 신앙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 방안" 한국실천신학회 (64) : 227-251, 2019

      34 성석환, "공공신학적 ‘청년신학’의 필요성과 방법론" 세계선교연구원 (46) : 13-40, 2018

      35 Horsley Richard, "갈릴리: 예수와 랍비들의 사회적 맥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7

      36 양희송, "가나안 성도, 교회 밖 신앙" 포이에마 2014

      37 장은주, "‘형성적 기획’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방향과 초점" 한국학연구원 (67) : 7-36, 2017

      38 Merton, Thomas, "Thoughts in Solitude" Farrar, Straus and Giroux 1999

      39 Fowler, James W., "Stages of Faith: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HarperSanFrancisco 1981

      40 Fiorenza, Elisabeth S., "Sharing Her Word: Feminist Biblical Interpretation in Context" Beacon Press 1998

      41 Groome, Thomas, "Sharing Faith: A Comprehensive Approach to Religious Education and Pastoral Ministry" HarperSanFrancisco 1991

      42 Hadenius, Axel, "Institutions and Democratic Citizenship. eBook" OUP Oxford 2001

      43 Rosenblum, Nancy L., "Good Neighbors: the Democracy of Everyday Life in America. eBook"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44 Hiley, David R., "Doubt and the Demands of Democratic Citizenship. e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5 Foster, Richard, "Celebration of Discipline: the Path to Spiritual Growth" HarperSanFrancisco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