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대 서아시아 지혜문학의 분류법: <주인과 종의 대화>를 중심으로 = Taxonomy of Wisdom Literature from the ancient West Asia: The Case of the ‘Dialogue of a Master and his Sla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51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악카드어로 쓴 <주인과 종의 대화>라는 작품에 대해 학자들은 심각한 회의주의적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또는 풍자나 희가극이라고 서로 다르게 평가하였다. 그 이유는 작품의 구조나 내...

      악카드어로 쓴 <주인과 종의 대화>라는 작품에 대해 학자들은 심각한 회의주의적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또는 풍자나 희가극이라고 서로 다르게 평가하였다. 그 이유는 작품의 구조나 내용이 특이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관례적으로 사용해 온 지혜문학이라는 문학양식을 분류하는 기준이 불분명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지금까지 학자들이 고대 서아시아의 지혜문학 작품을 모아서 출판한 모음집들 그리고 관련 논문을 조사하여 분류기준을 조사하였다. 학자들은 내용이나 구조에 따라 작품들을 분류하는 경향이 일반적이었지만, 구체적인 분류결과는 서로 달랐고 일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새로운 분류법을 도출하기 위해 문학작품과 저자들이 당시 사회 안에서 차지하는 지위와 기능에 주목하는 방법이 있음에 주목하였고, 지식 사회학의 연구결과를 참조할 때 지식의 수집과 분류 및 확산 과정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자고 제안한다. 이와 함께 각 단계의 기본 목적에 충실한 기초 작품들과 이를 응용한 변형 작품들도 있음을 고려에 넣기로 한다. 새로운 분류법을 통해 <주인과 종의 대화>를 분석해 보면 수집과 분류 단계에 속한 변형작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양한 속담과 교훈들을 모아서 열거하는 것이 기초적인 목적이고 한 가지 주제에 천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간단한 이야기를 틀로 삼아 대화라는 형식을 도입했고, 그 틀에 따라 목록이 최소한의 줄거리를 따르는 모습을 보여준다. 대화 중에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가 등장하지만 이 주제를 깊이 파고드는 논의로 발전하지는 않았으며, 관련된 속담과 교훈을 나열하는데 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uneiform literary work, called ‘The Dialogue of a Master and a Servant’, has been evaluated discordantly by scholars either as dealing with serious skeptical themes or as a satire or comedy. This is partly due to the unusual structure and conte...

      A cuneiform literary work, called ‘The Dialogue of a Master and a Servant’, has been evaluated discordantly by scholars either as dealing with serious skeptical themes or as a satire or comedy. This is partly due to the unusual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work, but it is also due to the unclear criteria used to categorize wisdom literature.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by examining the collections and research papers that scholars have published on wisdom literature in ancient West Asia. Scholars have generally categorized works according to content or structure, but the specific classification results have been conflicting and inconsistent. In order to derive a new classification, this paper notes that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literary works and their authors in ancient West Asian society. Furthermore, this paper proposes to use the concept of the process of collecting, categorizing, and spreading knowledge, referring to the findings of the sociology of knowledge.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basic works that are faithful to the fundamental purpose of each stage and variations that utilize the basic works but created works in different forms. If we analyze ‘The Dialogue of a Master and a Servant’ through this new taxonomy, we can define it as a variant work that belongs to th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stage. This is because its basic purpose is to collect and enumerate various proverbs and lessons, and it does not stick to a single theme. However, a simple story is introduced and adopts the format of a dialog, and the list becomes a minimal plot. Critical discussions about reality emerge during the dialogues, but they do not develop into deep discussions on the topic, and the list is limited to registering related proverbs and less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