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한국 양명학 연구 경향에 대한 반성적 고찰 = A Reflective Consideration on the Viewpoints and Trends in the Study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6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까지 한국 양명학 연구는 한국 양명학의 존재양태와 그 사상사적 역할에 대한 공통된 시각 아래서 진행되어왔다. 그것은 1)양명학 전래 이후 전 시기를 통틀어 양명학적 사유를 적극 개...

      최근까지 한국 양명학 연구는 한국 양명학의 존재양태와 그 사상사적 역할에 대한 공통된 시각 아래서 진행되어왔다. 그것은 1)양명학 전래 이후 전 시기를 통틀어 양명학적 사유를 적극 개진하지는 못했을지라도 기본 정신은 양명학이었던 학자가 많았다는 것과 2) 사상적 배척에도 불구하고 한국 양명학의 명맥이 꾸준히 유지되어 실학, 개화사상 등 근대적 사유의 저변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이런 기조에서 성립된 연구 성과들은 한국 양명학을 사상사의 수면위에 올려놓고 한국유학사를 더욱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었지만, 한국 양명학 연구사에 대한 본질적인 성찰과 검증없이 동일하게 유지되어온 연구관점에 기반하고, 한국 사상사 안에서 양명학적 사유와 계통을 밝히는 부분에만 편중되는 연구 경향을 만들어냈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논고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논점 별로 재정리하는 방법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를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것이다. 연구사에 대한 성찰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가장 대표적인 현상은 선대 학자가 양명학자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연구 경향이 한국 양명학 연구의 주를 이루는데도 불구하고 양명학자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분명한 검토가 없었다는 점이다. 본 논자가 주장하는 바는 기존의 연구 관점에 대한 메타적인 성찰과 함께 한국 사상안에서 한국 “양명학파”를 새롭게 조망하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것은 왕양명으로부터 형성된 양명학이 한국에서 수용·이해되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을 넘어서, 양명학을 수용한 학자군의 한국 사상적 기반과 철학적 문제의식 및 해결방안을 기준으로 사상 운용 양상을 검토하고 그것이 당대 다른 사유와 어떻게 소통되는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recently, the study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was carried out from a common perspective of the existential mode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and its rol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perspective suggested 1) that there were many sc...

      Until recently, the study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was carried out from a common perspective of the existential mode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and its rol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perspective suggested 1) that there were many scholars who took the Yang-ming Studies as their foundational idea throughout the period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Yang-ming Studies though they did not positively presented Yang-Ming philosophical thoughts, and 2) that the Korean Yang-ming Studies formed the ground for early modern thoughts including Silhak, thoughts of enlightenment etc. as the vein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had been continuously maintained despite its ideological exclusion. Though the achievements of the work established on this basis put the Korean Yang-ming Studies on the surface and provided some foundations for more richly interpreting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they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research perspective that has been maintained identical without essential reflection and verification, and they have given rise to the trend in which research leans too much on the explication of the thoughts and lineage of the Yang-ming Studies.
      This thesis was designed to examine such problems in a method in which the achievements of the existing studies are rearranged based on each issue, and come up with a new alternative. One of the representative phenomena occurring due to lack of reflection on research history is that there have been no clear reviews of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one is a Yang-Ming philosopher or not despite the fact that the research tendency in which researchers try to determine whether foregoing scholars were Yang-Ming philosophers has constituted the main stream of the study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What the current author claims is that a shift to the perspective from which we take a novel look at Korean “Yang-Ming schools” within Korean philosophies is necessary as well as meta-reflection on the existing research perspectives. Beyond the examination of the course in which the Yang-ming Studies, which had been formed by Wang Yang Ming, was accommodated and understood in Korea, it is to review the aspects of addressing ideas on the basis of the Korean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the group of scholars who accommodated the Yang-ming Studies and their philosophical awareness and solutions, and to generally examine how they communicated with other contemporary though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국내 한국 양명학 연구관에 대한 문제제기
      • Ⅱ. 국내 한국 양명학 연구관의 형성과정
      • Ⅲ. 국내 한국 양명학 연구의 경향 및 쟁점분석
      • Ⅳ. 향후 연구 과제와 새로운 연구 관점의 제안
      • 【요약문】
      • Ⅰ. 국내 한국 양명학 연구관에 대한 문제제기
      • Ⅱ. 국내 한국 양명학 연구관의 형성과정
      • Ⅲ. 국내 한국 양명학 연구의 경향 및 쟁점분석
      • Ⅳ. 향후 연구 과제와 새로운 연구 관점의 제안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학목, "「초원담로」의 생명 사상 -왕필의 『노자주』와 비교를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21 : 135-163, 2011

      2 민홍석, "李忠翊의 『椒園談老』에 나타난 老子觀 一考 - 유·무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22) : 285-311, 2009

      3 천병돈, "李匡臣은 朱王 절충론자인가 - 「빙탄록」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4) : 127-166, 2008

      4 김동준, "李匡師 문학의 사상적 배경과 陽明學의 흔적"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0) : 43-70, 2008

      5 김학목, "李匡呂의 「讀老子五則」 分析" 인천학연구원 1 (1): 233-267, 2011

      6 이희목, "寧齋李建昌의 陽明學과 文學" 대동한문학회 14 : 2001

      7 신향림, "盧守愼의 人心道心說에 내포된 陸王學의 심성수양론" 한국한문학회 (34) : 277-315, 2004

      8 심경호, "항재이광신론" 진단학회 84 : 1997

      9 서경숙, "항재 이광신의 이기론" 한국양명학회 6 : 2001

      10 천병돈, "항재 이광신의 『先藁』 연구" 한국양명학회 (22) : 255-283, 2009

      1 김학목, "「초원담로」의 생명 사상 -왕필의 『노자주』와 비교를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21 : 135-163, 2011

      2 민홍석, "李忠翊의 『椒園談老』에 나타난 老子觀 一考 - 유·무의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22) : 285-311, 2009

      3 천병돈, "李匡臣은 朱王 절충론자인가 - 「빙탄록」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4) : 127-166, 2008

      4 김동준, "李匡師 문학의 사상적 배경과 陽明學의 흔적"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0) : 43-70, 2008

      5 김학목, "李匡呂의 「讀老子五則」 分析" 인천학연구원 1 (1): 233-267, 2011

      6 이희목, "寧齋李建昌의 陽明學과 文學" 대동한문학회 14 : 2001

      7 신향림, "盧守愼의 人心道心說에 내포된 陸王學의 심성수양론" 한국한문학회 (34) : 277-315, 2004

      8 심경호, "항재이광신론" 진단학회 84 : 1997

      9 서경숙, "항재 이광신의 이기론" 한국양명학회 6 : 2001

      10 천병돈, "항재 이광신의 『先藁』 연구" 한국양명학회 (22) : 255-283, 2009

      11 송석준, "한말 양명학의 전개와 연구현황" 한국양명학회 (13) : 345-368, 2005

      12 김길락, "한국의 상산학과 양명학" 청계출판사 2004

      13 김세정, "한국에서의 상산학과 양명학 관련 연구목록"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5 : 2007

      14 금장태, "한국양명학의 쟁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15 김용재, "한국양명학 연구현황과 새로운 모색 - 강화학 연구의 필요성과 접근방법을 중심 논제로 -" 한국양명학회 (14) : 138-173, 2005

      16 김윤경, "하곡학파의『老子』독법 - ‘善惡論’을 중심으로 -" 한국도교문화학회 (33) : 209-235, 2010

      17 김윤경, "하곡학파 『노자』 해석에 관한 연구 : '유무론'과 '선악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8 천병돈, "하곡학 연구 현황 분석" 한국양명학회 (19) : 143-182, 2007

      19 예문사상연구원, "하곡 정제두" 예문서원 2005

      20 이종우, "하곡 정제두의 良知설에서 感覺知와 德性知의 관계 및 그 철학적 의의" 한국유교학회 (33) : 91-108, 2008

      21 박연수, "하곡 정제두의 사상" 한국학술정보(주) 2007

      22 민혜진, "하곡 사유에서 주체의 의미와 근대성" 한국양명학회 (25) : 159-191, 2010

      23 김교빈, "하곡 鄭齊斗의 주체성과 창조정신"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4) : 2006

      24 김윤경, "초원담노" 예문서원 2013

      25 서경숙, "초기 강화학파의 양명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26 서경숙, "초기 강화학파 항재 이광신의 심성론" 한국철학사연구회 13 : 2003

      27 송석준, "조선조 양명학의 수용과 연구현황" 한국양명학회 (12) : 5-44, 2004

      28 장지연, "조선유교연원" 삼성미술문화재단 1975

      29 지두환, "조선시대 사상사의 재조명" 역사문화 1998

      30 김용재, "조선시대 反양명학 문헌 조사 및 추출을 통한 양명학 비판 내용의 성향 분석과 反양명학 사조의 흐름에 나타난 특징 연구 [1]" 한국양명학회 (31) : 105-142, 2012

      31 김윤경,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한국철학사연구회 (31) : 241-262, 2011

      32 황갑연, "조선성리학자의 양명학 비판 논거에 대한 비판적 고찰" 韓國陽明學會 2006

      33 김교빈, "조선 후기 주자학과 양명학의 논쟁"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0) : 1999

      34 황준연, "조선 性理學의 人心道心說에 대한 분석" 원광대학교 1981

      35 민혜진, "정제두의 성 사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36 김윤경, "정제두의 心卽理說에 관한 연구" 한국양명학회 (31) : 71-104, 2012

      37 이상호, "정인보 實心論의 양명좌파적 특징" 한국양명학회 (15) : 199-228, 2005

      38 우남숙, "자강, 독립, 사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3

      39 이상호, "일제강점기 정인보 실심론의 주체성과 창조적 정신" 대한철학회 100 : 385-414, 2006

      40 김윤경, "이충익의『椒園談老』에 드러난 有無觀- 왕필 『老子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도교문화학회 (28) : 243-266, 2008

      41 김형석, "이충익의 『초원담로』에 나타난 형이상학 구조에 관한 연구 - 송명대 노자학의 맥락을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30) : 189-218, 2011

      42 민홍석, "이충익 『초원담로』의 복귀사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43 김윤경, "이광려의 「독노자오칙(讀老子五則)」에 대한 독법(讀法)"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13-134, 2009

      44 심경호, "이광려의 서찰에 관한 일고찰" 민족어문학회 (63) : 235-291, 2011

      45 이현일, "이광려(李匡呂)의 실심실학(實心實學)과 경세학(經世學)" 민족문학사학회 (35) : 83-125, 2007

      46 김기승, "이건창의 생애에 나타난 척사와 개화의 갈등"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 : 1998

      47 이황직, "위당 조선학의 개념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4 (34): 17-40, 2010

      48 심경호, "원교 이광사 문집" 시간의 물레 2005

      49 임유경, "우리한문학과 일상문화" 소명출판 2007

      50 이종란, "왕양명실기" 한길사 2010

      51 유명종, "왕양명과 양명학" 청계 2002

      52 이희목, "영재 이건창의 주체적 자각과 시세계" 한국한문학연구소 8 : 1985

      53 김교빈, "양명학자 정제두의 철학사상" 한길사 1995

      54 김경호, "양명학의 전파와 조선지식인 사회의 대응 ―전래와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학술사상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철학회 24 (24): 1-24, 2005

      55 오종일, "양명전습록 전래고" 고려대학교 5 : 1978

      56 이상호, "양명우파와 鄭齊斗의 陽明學" 혜안 2008

      57 김문용, "심대윤의 복리사상과 유학의 세속화"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1-32, 2010

      58 장병한, "심대윤과 이지 理氣觀비교 일고찰" 한국양명학회 (24) : 2009

      59 김문용, "실학의 공공성: 유교지식인의 공관념과 공공의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60 : 2012

      60 황구하, "소재 노수신의 심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61 장병한, "백운 심대윤의 氣․神론과 天․人론 연구" 우리한문학회 22 : 2010

      62 박은식, "백암박은식전집" 동방미디어 2002

      63 박정심, "백암 박은식의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양명학적 대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64 신용하, "박은식의 사회사상연구." 서울대출판부 1982

      65 김기승, "박은식의 민족과 세계 인식 -경쟁과 공생의 이중주-" 고려사학회 (39) : 194-222, 2010

      66 최재목, "동아시아에서 霞谷鄭齊斗의 陽明學이 갖는 의미" 韓國陽明學會 (13) : 2005

      67 노관범, "대한제국기 박은식과 장지연의 자강사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68 신향림, "노수신 시에 나타난 사상 연구 : 주자학에서 양명학으로의 전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69 임홍태, "남당 한원진의 양명학관" 한국양명학회 (12) : 101-133, 2004

      70 조남호, "김창협 學派의 陽明學비판 智와 知覺의 문제를 중심으로" (39) : 1993

      71 이황직, "근대 한국의 윤리적 개인주의 사상과 문학에 관한 연구 : 정인보, 함석헌, 백석, 윤동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72 박정심, "근대 공간에서 양명학의 역할" 한국철학사연구회 13 : 2003

      73 조남호, "강화학파의 중흥- 이충익의 양명학적 사고" 인천대학교 인천학 연구소 (9) : 2008

      74 김세서리아, "강화학파의 주체 의식과 한국근대여성주체"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소 (7) : 2007

      75 유명종, "강화학파의 양명학 전통" 대한철학회 29 : 1980

      76 심경호, "강화학파의 假學批判" 한국양명학회 (13) : 2005

      77 이우진, "강화학파 형성담론의 재구성 - 계보학적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33) : 227-260, 2012

      78 심경호, "강화학파 관련 새 자료의 발굴과 강화학파 연구의 과제 : 이광려의 간찰 자료를 중심으로" 인천학연구원 1 (1): 45-85, 2010

      79 민영규, "강화학 최후의 풍경" 又半 1994

      80 강화양명학 연구팀, "강화양명학연구총서-강화학파의 양명학 1-3" 한국학술정보 2008

      81 최재목, "강화양명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정리" 한국양명학회 (16) : 83-118, 2006

      82 박권수, "강화 하곡학파의 근대적 성향"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소 (7) : 2007

      83 박연수, "강화 하곡학파의 ‘實心實學’" 한국양명학회 (16) : 119-160, 2006

      84 유명종, "韓國의 陽明學" 동화출판공사 1983

      85 최재목, "韓國에서의 陽明學硏究成果의 回顧와 展望" 한국중국학회 38 : 1998

      86 송하경, "韓國陽明學의 展開와 特徵" 韓國陽明學會 2 : 1998

      87 송석준, "韓國陽明學과 實學및 天主敎와의 思想的關聯性에 關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1992

      88 김길환, "韓國陽明學硏究" 一志士 1984

      89 최영성, "韓國儒學通史 中" 심산 2006

      90 홍이섭, "韓國儒學史硏究의 現在的起點"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1 : 1964

      91 이상호, "韓國 近代 陽明學의 哲學的 特徵 - 朴殷植과 鄭寅普를 中心으로 -" 한국양명학회 (20) : 151-188, 2008

      92 최일범, "霞谷의 退溪비판에 나타난 工夫論에 관한 연구" 韓國陽明學會 (13) : 2005

      93 최재목, "霞谷陽明學의 특질에 대한 비교론적 조명" 3 : 1995

      94 최일범, "霞谷鄭齊斗의 이기론연구(1)" 한국유교학회 15 : 2001

      95 정재훈, "霞谷鄭齊斗의 陽明學受容과 경세사상"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29 : 1993

      96 全擇元, "霞谷鄭齊斗의 心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1995

      97 금장태, "霞谷鄭齊斗의 心學과 經學" 1998

      98 傅濟功, "霞谷哲學硏究" 성균관대학교 1996

      99 정태섭, "霞谷 鄭齊斗의 경세론" 중앙사학연구소 (28) : 1-28, 2008

      100 박권수, "霞谷 鄭齊斗의 象數學的 自然哲學" 한국사상사학회 (30) : 187-222, 2008

      101 김우형, "霞谷 鄭齊斗의 知覺論과 倫理學: 주자학과 양명학의 독창적인 결합" 한국양명학회 (20) : 355-385, 2008

      102 최일범, "霞谷 鄭齊斗의 工夫論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회 30 : 53-75, 2002

      103 장병한, "霞谷 鄭齊斗와 白雲 沈大允의 經學 비고" 한국양명학회 (18) : 163-193, 2007

      104 김윤경, "霞谷 哲學의 조선 성리학적 기반 — 본체론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회 (73) : 135-168, 2013

      105 이병도, "陽明書之東來與退溪之辨斥" 1955

      106 송석준, "陽明學의 전래와 受容"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16 : 2007

      107 오종일, "陽明學의 受容과 전래에 대한 재검토" 3 : 1999

      108 유호선, "陽明學者李忠翊의 佛敎觀一考"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8) : 2007

      109 정인보, "陽明學演論, 洪以燮解題" 三星美術文化財團 1972

      110 김윤경, "閔以升 智性論의 轉變" 한국양명학회 (29) : 243-280, 2011

      111 김윤경, "鄭齊斗의 未發之中論에 관한 硏究 — 朱熹와의 比較를 中心으로 —" 한국유교학회 34 (34): 77-108, 2009

      112 김연재, "鄭齊斗의 易圖觀에 나타난 본체론적 사유방식 - 先后天圖說을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회 (15) : 109-134, 2005

      113 장병한, "鄭齊斗에서 沈大允에로의 근대적 전이양상 - 하곡과 백운의 『中庸』 이해를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33) : 191-226, 2012

      114 이상호, "鄭齊斗 陽明學의 ‘朱王和會’的 特徵" 동양철학연구회 40 : 35-67, 2004

      115 최재목, "鄭寅普의 陽明學이해 : 陽明學演論에 나타난 黃宗義 및 明儒學案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회 (17) : 2006

      116 한정길, "鄭寅普의 陽明學觀에 대한 연구" 국학연구원 (141) : 83-120, 2008

      117 배연숙, "鄭寅普의 人文學的 思惟에 의한 民族主體思想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18 최재목, "鄭寅普 陽明學演論에 나타난 王龍溪이해" 한국양명학회 (16) : 2006

      119 최재목, "鄭寅普 ‘陽明學’ 형성의 知形圖 - ‘世界’와의 ‘호흡’, 그 重層性과 관련하여-" 국학연구원 (143) : 25-52, 2008

      120 원재린, "遲川 崔明吉의 학문관과 정치운영론" 한국사상사학회 (29) : 113-138, 2007

      121 금장태, "退溪門下의 陽明學이해와 비판" 韓國陽明學會 2 : 1998

      122 김용재, "西崖 柳成龍의 陽明學 理解와 批判에 關한 考察" 한국양명학회 (23) : 243-276, 2009

      123 조성을, "蘇齋盧守愼의 학문과 정치활동" 경상대남명학연구소 3 : 2003

      124 김기현, "蘇齋盧守愼의 人心道心說에 대한 연구" 전북대 2 : 1988

      125 김광순, "蘇齋盧守愼연구" 경북대학교 退溪硏究所 17 : 1989

      126 신향림, "蘇齋 盧守愼의 공부론에 나타난 陽明學" 한국사상사학회 (24) : 379-423, 2005

      127 이을호, "茶山經學의 陸王學적 斷面"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8 : 1967

      128 김용재, "畿湖陽明學 연구의 현황과 향후 과제" 유학연구소 24 : 29-73, 2011

      129 홍이섭, "洪以燮全集 10"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130 심경호, "江華學의虛假批判論" 대동한문학회 14 : 2011

      131 류준기, "江華學派의 학맥과 사상사적 전개" 10 : 1988

      132 정양완, "江華學派의 文學과 思想 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133 최재목, "江華 陽明學派 연구의 방향과 과제" 한국양명학회 (12) : 46-75, 2004

      134 류승국, "東洋哲學硏究" 동방학술연구원 1983

      135 김효선, "朴殷植의 敎育思想硏究" 연세대학교 1984

      136 趙鍾煥, "朴殷植의 愛國啓蒙的 國權恢復思想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2

      137 박정심, "朴殷植과 近代日本陽明學의 관련성" 한국일본사상사학회 (8) : 2005

      138 李仁淑, "朴殷植과 申采浩의 敎育思想의 고찰"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39 裵勇一, "朴殷植과 申采浩 思想의 비교연구"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40 김길락, "朝鮮朝陸王學파의 학문과 학맥" 충남대학교 연구소 14 : 2006

      141 松田弘, "朝鮮朝陽明學의 특질과 그 논리구조" 25 : 1981

      142 松田弘, "朝鮮朝陽明學연구의 현황과 금후의 과제" 10 : 1981

      143 유명종, "朝鮮朝陽明學과 그 展開, 韓國哲學史(하)" 동명사 1978

      144 윤남한, "朝鮮時代의 陽明學硏究" 집문당 1982

      145 금장태, "朝鮮後期의 實學思想, 韓國哲學史(하)" 동명사 1978

      146 김길락, "朝鮮後期陽明學에 있어서의 근대정신" 단국대 동양학 연구소 24 : 1994

      147 김길락, "朝鮮後期陽明學에 있어서 근대정신의 형성과 전개" 충남대학교 1997

      148 이능화, "朝鮮儒界之陽明學派" (25) : 1936

      149 이능화, "朝鮮儒界之陽明學" (25) : 1936

      150 현상윤, "朝鮮儒學史" 민중서관 1949

      151 오성종, "朝鮮中期陽明學의 辨斥과 受容" 46 : 1989

      152 高橋亨, "朝鮮の陽明學派" 朝鮮學會 4 : 1953

      153 한정길, "朝鮮 後期 實學者들의 陽明學觀" 한국실학학회 (10) : 219-252, 2005

      154 민혜진, "朝鮮 前期의 異端觀과 陽明學 비판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1) : 21-53, 2003

      155 서종태, "星湖學派의 양명학과 실학" 조선시대사학회 7 : 1998

      156 徐鍾泰, "星湖學派의 陽明學과 西學"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6

      157 김교빈,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43-64, 2010

      158 하유진, "成玄英과 李忠翊의 유무관 비교" 한국도교문화학회 (34) : 121-142, 2011

      159 정인재, "恒齋李匡臣의 心學- 양명과 주자 종합론" 서강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3 : 2008

      160 천병돈, "恒齋 이광신의 心卽理와 心與理- 「與襄仲辯難朱王理氣說」을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10 : 197-218, 2009

      161 유명종, "性理學과 陽明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162 이은주, "崔鳴吉의 陽明學受容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0

      163 송석준, "寧齋李建昌의 心學思想"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 : 1994

      164 홍이섭, "實學에 있어서 南人學派의 思想的系譜"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0 : 1963

      165 금장태, "夙興夜寐箴圖와 退溪의 수양론적 실천과제" 退溪學硏究所 109 : 2001

      166 "增補譯註遲川集" 도서출판 선비 2008

      167 조성산, "圓嶠 李匡師(1705~1777)의 이기심성론과 자연학"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0) : 3-41, 2008

      168 노관범, "『韓國痛史』의 時代思想 -自强, 人道, 革命의 삼중주-" 한국사상사학회 (33) : 325-351, 2009

      169 김연재, "「心經集義」에 나타난 鄭齊斗 心學의 성격 및 그 특징" 한국양명학회 (17) : 265-300, 2006

      170 장병한, "19세기 양명학자로 규정된 沈大允의 思惟體系" 한국실학학회 (10) : 253-288, 2005

      171 신향림, "16C전반 陽明學의 전래와 受容에 관한 고찰" 退溪學硏究所 118 : 2005

      172 김태년, "16世紀 朝鮮 性理學者 들의 陽明學 批判 硏究" 한국사상사학회 19 : 2002

      173 김윤경, "16-17세기 한국양명학 성립과정의 공부론 연구 : 홍인우·노수신·최명길·정제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74 최재목, "(한글주해) 왕양명선생실기" 선인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23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