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및 지도 방안 = The 6th Graders` Graph Interpretation and its Teaching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5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그래프 해석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그래프 해석 지도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그래프를 해석할 때 양적인면과 질적인 면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으며, 그래프와 실생활을 관련지어 생각하면서 그래프의 실용성을 체득하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the 6th graders interpret graphs, and on basis of the research, to seek for guidance on ways to improve their analysis capabilities. All the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D elementary school in Busan became 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the 6th graders interpret graphs, and on basis of the research, to seek for guidance on ways to improve their analysis capabilities. All the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D elementary school in Busan became the target to examine how to interpret graphs. On the basis of the result, 6 students who characterized by graph interpretation got an in-depth interview and the outcome was analyzed in detail. The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ning of graphs and they learned practicality while they think of graphs connecting with real life, most of all they have been interested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graph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재훈,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한 비율그래프 지도에 관한 연구" 11 (11): 39-57, 2008

      2 류희찬,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2007

      3 박경연, "통계적 교수·학습 과정을 통한 그래프 이해력 증진에 관한 탐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우정호,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2 (2): 1-27, 2000

      5 오영재, "초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과 해석 능력 조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임지애,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통계그래프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수학, 과학, 실과"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8 황현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9 김진선,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오영열, "초등 통계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19 (19): 1-13, 2008

      1 윤재훈,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한 비율그래프 지도에 관한 연구" 11 (11): 39-57, 2008

      2 류희찬,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2007

      3 박경연, "통계적 교수·학습 과정을 통한 그래프 이해력 증진에 관한 탐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우정호,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2 (2): 1-27, 2000

      5 오영재, "초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과 해석 능력 조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임지애,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통계그래프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Ⅳ)-수학, 과학, 실과"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8 황현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9 김진선,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오영열, "초등 통계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19 (19): 1-13, 2008

      11 김상룡, "초등 통계 교육의 문제점 및 그 해결방안" 12 (12): 133-143, 2009

      12 한순덕, "초등 사회과에서 그래프활용 학습이아동의 정보해석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18 (18): 46-81, 2006

      13 김태선,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768-778, 2002

      14 이용숙,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2005

      15 이경화,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 -우리나라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초등 통계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353-372, 2008

      16 남재순, "그래프 종류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수준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7 권기욱, "그래프 구성 활동 프로그램 적용이 수학적 힘의 육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8 송정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9 김지선,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그래프의 수학적 해석능력의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20 Denzin, N. K.,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McGraw-Hill 1978

      21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evaluation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2

      22 Leinhardt, G., "Functions, graphs, and graph : Tasks, learning, and Teaching" 60 (60): 1-64, 1990

      23 Freudenthal,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Reidel Publishing Company 1983

      24 이미현, "6학년 학생들의 인지발달 단계와 자료 표현방법의 이해에 대한 실태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송정화,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4 (4): 2-19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5 1.28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