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낙재일기(樂齋日記)』를 통해본 대구지역 임진왜란 의병의 활동과 성격 = A Study on the Activities and Nature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Daegu Regi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rough Nakjaeilgi(樂齋日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03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임진왜란 시기 대구지역에서 의병이 일어나게 되는 과정과 의병의 활동을 살피고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의 대구지역은 임란 당시 大丘都護府 관할 지역을 가리...

      본고는 임진왜란 시기 대구지역에서 의병이 일어나게 되는 과정과 의병의 활동을 살피고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의 대구지역은 임란 당시 大丘都護府 관할 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정하였는데, 이는 대구지역의 의병이 대구부사와 일정한 협의를 거치면서 일어났을 뿐 아니라 대구부 관할 지역을 중심으로 의병이 조직되고 활동하였기 때문이다. 이 점은 대구지역 의병활동의 특징적인 한 모습을 드러내주는 부분이다. 최근 임란 연구에서는 의병 창의에 대한 의의를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관군의 역할을 일정하게 인정하려는 새로운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본고도 이와 같은 최근의 흐름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대구지역 의병의 경우 관군과의 연관 하에서 일어난 점을 잘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주된 자료는 대구의 유력 사족이었던 樂齋 徐思遠이 남긴 일기인 『樂齋日記』이다. 그는 대구지역의 의병 대장을 맡은 인물로 결성초기부터 관여하였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그 사정을 소상히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그의 일기에는 대구 의병이 결성되는 과정과 활동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대구지역 의병의 특징으로 먼저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창의의 출발 단계 때부터 官民 협력체제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창의의 주동자인 서사원은 부사와 함께 논의를 통해 의병을 구성하였고, 부사도 의병의 훈련에 참관하여 관심과 지지를 표명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대구부 전체의 의병진의 구성은 대구부의 행정조직인 면리를 기본 단위로 하여 義兵將과 有司를 배치함으로서 대구부 전체를 아우르는 형태를 취한 점이었다. 이는 安集使 金륵이 경상좌도 몇몇 고을에서 시행하여 효과를 본 체제였는데, 대구도 이 체제를 받아들여 적용한 것이었다. 대구지역 의병의 전공은 비록 혁혁하지 않았지만 관민이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대구지역 내의 산 속에 머물면서 대구부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려 한 점은 일정하게 평가할 만하다. 이러한 대구지역 의병의 성격은 전체 의병사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and activities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Daegu region after Japan invaded Joseon in 1592 and to ascertain its nature. Here, the Daegu region refers to the areas under the ...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and activities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Daegu region after Japan invaded Joseon in 1592 and to ascertain its nature. Here, the Daegu region refers to the areas under the governance of Daegu Dohobu(大丘都護府) during the war since the army was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based on consultation with the Daegu Busa(大丘府使) with the noblemen of Daegubu(大丘府) forming such an army and fighting in and around Daegubu, which clearly shows a characteristic aspect of activities that the army carried out in the Daegu region. Recent studies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ve made new attempts to recognize the certain roles of royal forces without damaging the significance of the army. The present study also followed the recent flow in its research efforts.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Daegu region is a good case of such armies and in connections with the royal forces. The major source of the present study was Nakjaeilgi, a journal kept by Nakjae Seo Sa-won that was a member of a prominent noble family in Daegu. He was the general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Daegu region and got involved in the army from the beginning, thus holding a position to get detailed information about its circumstances. His journal offers a good description about the process and activities of the army in the Daegu region, thus claiming great value as a historical material.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Daegu region was a relatively smooth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from the early days of its formation. Seo Sa-won, the leader of the army, discussed its formation with the Busa, who, in turn, showed his interest and concern for the army by observing its training. The next characteristic was that the organization of the army covering the entire Daegubu was based on the basic units of Myeon(面) and Ri(里), the administrative units of Daegubu, deployed the general and the secretary, and thus encompassed the entire Daegubu. The system was originally implemented by Anjipsa(安集使) Kim Reuk in some towns in Gyeongsangjwado(慶尙左道) and later accepted by Daegu. Even though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Daegu region did not perform meritorious service during the war, it deserves high evaluation in that it established a collaborative system with the royal forces, stayed in the Daegu region, and tried to protect the life and property of people in Daegubu. Those aspects of the army will be of assistance to the research on the entire history of armies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iswoo@knu.ac.k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원래,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2 계승범, "임진의병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적 가치" 선인 2009

      3 정해은, "임진의병사의 재조명"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2012

      4 최효식, "임진왜란기 영남의병연구" 국학자료원 2003

      5 정해은, "임진왜란기 대구 수령의 전쟁 대응과 사족의 전쟁 체험" 부산경남사학회 (98) : 1-33, 2016

      6 박재광,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7 김강식,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혜안 2001

      8 하영휘,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9 김경숙, "임진왜란 초기 지방관의 守土活動 - 善山府使 丁景達 형제의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65) : 131-162, 2013

      10 이욱, "임진왜란 초기 대구지역의 의병 활동" 호남사학회 (57) : 45-68, 2015

      1 조원래,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2 계승범, "임진의병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적 가치" 선인 2009

      3 정해은, "임진의병사의 재조명"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2012

      4 최효식, "임진왜란기 영남의병연구" 국학자료원 2003

      5 정해은, "임진왜란기 대구 수령의 전쟁 대응과 사족의 전쟁 체험" 부산경남사학회 (98) : 1-33, 2016

      6 박재광,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7 김강식, "임진왜란과 경상우도의 의병운동" 혜안 2001

      8 하영휘,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9 김경숙, "임진왜란 초기 지방관의 守土活動 - 善山府使 丁景達 형제의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65) : 131-162, 2013

      10 이욱, "임진왜란 초기 대구지역의 의병 활동" 호남사학회 (57) : 45-68, 2015

      11 김진수,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조선군의 대응양상에 대한 검토-경상좌병사 박진(朴晉)과 권응수(權應銖)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4) : 1-27, 2012

      12 정해은,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안집사 김륵의 역할과 활동" 영남문화연구원 (28) : 357-388, 2015

      13 노영구, "임진왜란 초기 경상우도 의병의 성립과 활동 영역 - 김면(金沔) 의병부대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4) : 33-64, 2007

      14 이호준,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7) : 117-181, 2010

      15 정해은,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수령의 동향과 의병 지원 활동" 조선시대사학회 (70) : 133-168, 2014

      16 김성우, "임진왜란 초기 制勝方略戰法의 작동 방식과 상주 북천전투" 한국사연구회 (163) : 221-257, 2013

      17 김강식, "임진왜란 시기 고령 지역의 의병운동과 의미" 퇴계연구소 (42) : 137-180, 2008

      18 노영구, "임진왜란 義兵에 대한 이해의 과정과 새로운 이해의 방향" 한일군사문화학회 13 : 175-202, 2012

      19 장동익, "월곡 우배선의 임진의병활동" 18 : 1993

      20 이수건, "월곡 우배선의 임진왜란 의병활동" 13 : 1992

      21 우인수, "울산임란사재조명" 울산충의사 2015

      22 이탁영, "역주 정만록" 의성군 2002

      23 김강식, "송암 김면의 의병활동과 역할" 2 : 1992

      24 우인수, "선비들의 임란 倡義精神과 의병 활동" 퇴계연구소 (56) : 1-44, 2015

      25 김 륵, "백암집" 민족문화추진회 1991

      26 청호서원, "모당 손처눌선생의 생애와 학문" 대보사 2003

      27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대구지역의 임진란사 연구" 삼일사 2014

      28 구본욱, "대구유림의 임진란 의병활동" 도서출판 삼일 2014

      29 서사원, "낙재집(초간본)" 경인문화사 1996

      30 서사원, "낙재집(중간본)"

      31 서사원, "낙재선생일기"

      32 청호서원, "국역 영모당통강제자록" 대보사 2001

      33 서사원, "국역 낙재선생일기" 이회 2008

      34 강민구, "국역 낙재선생문집" 이회 2008

      35 서사원, "국역 낙재선생문집" 이회 2008

      36 박영호, "<<樂齋先生日記>> 考究" 동방한문학회 (30) : 131-168, 2006

      37 조창록, "<<樂齋先生文集>>의 판본에 대한 일 고찰" 동방한문학회 (30) : 169-186, 2006

      38 김형수, "17세기초 대구사림의 형성과 분화 –손처눌의 모당일기를 중심으로-」" 36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2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