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 연구 40년: 검토 및 제언 = Review Forty-year Studies of Korean fir(Abies koreana Wil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5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lead to a severe reduction of biodiversity, studie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habitat loss, growth decline, and death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endangered alpine/subalpine species in Korea, have been c...

      As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lead to a severe reduction of biodiversity, studies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habitat loss, growth decline, and death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endangered alpine/subalpine species in Korea, have been conducted for years but found no clear answer yet.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Korean fir published in the journals in the past 40 years, 1980 through 2020, into 10-year units, examined the study trend by period, region, and subject with a focus on ecological studies,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The ecological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evolutionary ecology, physiological ecology, population ecology, and landscape ecology.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required research fields in the future. We found a total of 73 papers published in the past 40 years and 48 (65.8%) of them published in the past 10 years. In terms of region, Mt. Halla accounted for the most as 41 papers were on it. In terms of ecological subjects, the physiological ecology accounted for the most with 38, and the evolutionary ecology accounted for the least with 10. The review of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any studies identified water stress caused by the water resource imbalance due to temperature increase and spring precipitation reduction following climate change as the main reason for the decline and habitat loss of Korean fir. However, recent studies suggested other factors, such as soil environment, disturbing organisms, and climatic events. The cause of the decline and death of the Korean fir not yet being clearly identified is that most of the studies dealt with the basic content, were carried out intermittently, and were concentrated in some regions. Therefore, we need long-term studies with advanced technology in each study subject at a local scale to find the cause of Korean fir decline and present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extend our study subjects to ecosystem ecology and systems ecology to integrate the results from various study subject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ason for Korean fir declines.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studies could provide clearer answers for Korean fir's declines and the alternatives of conservation management and pract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후변화에 따른 심각한 생물다양성 감소가 예측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후변화 멸종위기종인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의 서식지 감소와 생육쇠퇴 및 고사 원인에 관한 연구가 ...

      기후변화에 따른 심각한 생물다양성 감소가 예측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후변화 멸종위기종인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의 서식지 감소와 생육쇠퇴 및 고사 원인에 관한 연구가 지난 40년간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지난 40년간(1980~2020년) 이루어진 구상나무에 대한 연구를 10년 단위로 나누고, 생태학적 연구의 분야들에 초점을 맞추어 시대별・지역별・분야별 연구 동향 및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구상나무의 효과적 관리 및 보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의방향을 제시하였다. 생태학적 연구 분야는 진화생태, 생리생태, 개체군생태, 경관생태로 구분하였다. 지난 40년간 총 73편의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최근 10년 동안 65.8%인 4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지역별로는 한라산에서 41편의 논문이 발표되어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분야별로는 생리생태연구에서 가장 많은 38편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진화생태연구는가장 적은 10편의 연구가 출판되었다. 분야별로 수행된 연구결과를 검토한 결과 많은 연구에서 구상나무의 쇠퇴 및 서식지감소의 주된 요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상승과 봄철 강수량 감소로 발생한 수분수지 불균형에 의한 건조 스트레스인 것으로추정되었다. 그러나 구상나무의 쇠퇴와 고사에 대한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연구가기초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간헐적 수행과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구상나무 쇠퇴 원인을 규명하고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관리와 보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각 연구 분야에서 지속적이고 발전된 연구가 수행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각 분야의 연구를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생태계생태와 시스템생태 등 연구 분야의 확장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국만, "한라산(영실) 장기생태연구(LTER) 조사지 구상나무 숲 식생 변화"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1 (21): 1-12, 2018

      2 송국만, "한라산 영실지역 구상나무림의 식생구조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5 (25): 57-65, 2016

      3 서정욱, "한라산 영실지역 구상나무 고사연도와 시계열적 생육쇠퇴도 조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1-14, 2019

      4 송주현, "한라산 영실 지역 구상나무림의 6년간(2011년과 2017년)의 임분구조 변화" 한국산림과학회 108 (108): 1-9, 2019

      5 장래하, "한라산 아고산대 구상나무림에서 연간 물질생산과 유기탄소량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627-633, 2014

      6 송국만,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식생구조와 분포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9 (19): 415-425, 2010

      7 송국만,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사면별 식생구조와 치수발생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23 (23): 39-46, 2014

      8 안웅산, "한라산 구상나무 공간적 고사패턴 분석을 통한 고사원인 추정 - 기후변화에 따른 토양수분 과다 가능성 제안 -" 한국농림기상학회 21 (21): 1-28, 2019

      9 임종환, "한라산 구상나무 건전개체와 쇠약개체의 항산화효소활성 및 토양특성" 한국산림과학회 96 (96): 14-20, 2007

      10 임종환, "한라산 구상나무 건전개체와 쇠약개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광합성능력과 수분이용효율" 한국산림과학회 95 (95): 705-710, 2006

      1 송국만, "한라산(영실) 장기생태연구(LTER) 조사지 구상나무 숲 식생 변화"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1 (21): 1-12, 2018

      2 송국만, "한라산 영실지역 구상나무림의 식생구조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5 (25): 57-65, 2016

      3 서정욱, "한라산 영실지역 구상나무 고사연도와 시계열적 생육쇠퇴도 조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1-14, 2019

      4 송주현, "한라산 영실 지역 구상나무림의 6년간(2011년과 2017년)의 임분구조 변화" 한국산림과학회 108 (108): 1-9, 2019

      5 장래하, "한라산 아고산대 구상나무림에서 연간 물질생산과 유기탄소량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627-633, 2014

      6 송국만,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식생구조와 분포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9 (19): 415-425, 2010

      7 송국만,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사면별 식생구조와 치수발생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23 (23): 39-46, 2014

      8 안웅산, "한라산 구상나무 공간적 고사패턴 분석을 통한 고사원인 추정 - 기후변화에 따른 토양수분 과다 가능성 제안 -" 한국농림기상학회 21 (21): 1-28, 2019

      9 임종환, "한라산 구상나무 건전개체와 쇠약개체의 항산화효소활성 및 토양특성" 한국산림과학회 96 (96): 14-20, 2007

      10 임종환, "한라산 구상나무 건전개체와 쇠약개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광합성능력과 수분이용효율" 한국산림과학회 95 (95): 705-710, 2006

      11 김갑태, "한라山 亞高山地帶 구상나무림 群集構造에 관한 硏究"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161-167, 2007

      12 김종갑, "최근 10년(2006~2015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공간분포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549-556, 2017

      13 김지동, "지리산 아고산대의 단기간(2015‐2017)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 발생 및 고도별 종구성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 32 (32): 313-322, 2018

      14 조민기, "지리산 세석지역 구상나무 임분의 생태적 특성" 한국기후변화학회 6 (6): 379-388, 2015

      15 노일, "지리산 세석 구상나무림의 사면별 생태적 특성" 한국기후변화학회 9 (9): 293-302, 2018

      16 김창환, "지리산 거림계곡 구상나무 개체군의 고도별 식생변화와 생장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63-70, 2012

      17 김남신, "종 분포 모형을 활용한 새로운 구상나무 서식지 탐색, 그리고 식물보전 활용"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8 (18): 135-149, 2015

      18 조선희, "종 분포 모형을 이용한 구상나무림의 지속 및 쇠퇴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을 중심으로 -" 한국산림과학회 104 (104): 360-367, 2015

      19 안지영, "유전다양성 복원을 위한 지리산 구상나무 아집단의 유전변이" 한국산림과학회 106 (106): 417-423, 2017

      20 김남신, "아고산 지역의 구상나무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49-57, 2013

      21 송정호, "분비․구상나무 天然集團의 毬果, 種子, 苞針特性 變異" 한국산림과학회 97 (97): 565-569, 2008

      22 송정호, "분비.구상나무 천연집단의 침엽특성 변이" 한국산림과학회 96 (96): 387-392, 2007

      23 홍용표, "남한지역 구상나무와 분비나무 집단에서의 nSSR 표지 유전 변이" 한국산림과학회 100 (100): 577-584, 2011

      24 박현철, "구상나무와 분비나무 분포지의 환경 특성 및 기후변화 민감성 평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4 (24): 260-277, 2015

      25 강근혜, "구상나무 종자의 채집지에 따른 발아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2 (52): 133-141, 2018

      26 송정호, "韓國特産 구상나무 天然集團의 種子·發芽特性 變異" 한국산림과학회 99 (99): 849-854, 2010

      27 Yun, J. H., "Vulnerability of subalpine fir species to climate change: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to assess the future efficiency of current protected areas in the Korean Peninsula" 33 (33): 341-350, 2018

      28 신영민, "Two lepidopteran pests and damage on the cones of Abies koreana (Pinaceae) in Jeju Island, Korea" 국립중앙과학관 11 (11): 80-86, 2018

      29 황정은, "Transcriptome analysi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in response to elevated carbon dioxide and high temperature"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3 (13): 603-612, 2019

      30 Kim, G. T.,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Abies koreana forest-" 13 (13): 299-308, 2000

      31 Kim, G. T.,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 13 (13): 70-77, 1999

      32 Cho, H. K., "Studies o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Abies koreana seedlings under different relative light intensity" 20 (20): 58-68, 2001

      33 Kong, W.S., "Species distribution which vulnearable to climate change and temperature" Kor. J. Geo. Soci. 1-16, 2009

      34 Koo, K. A., "Sensitivity of Korean fir(Abies koreana Wils.): A threatened climate relict species, to increasing temperature at an island subalpine area" 353 : 5-16, 2017

      35 Je, S. M., "Responses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of Abies koreana to drought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33 (33): 413-423, 2018

      36 구경아,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구상나무 잠재 분포 변화 예측"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9 (19): 19-30, 2016

      37 김은식, "Precision monitoring of radial growth of trees and micro-climate at a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forest at 10 minutes interval in 2016 on Mt. Hallasan National Park, Jeju Island, Korea" 한국생태학회 43 (43): 226-245, 2019

      38 이석우, "Population Genetic Studies on Indigenous Conifers in Korea" 한국산림과학회 2 (2): 137-148, 2006

      39 Crawford, D.J., "Plant molecular systematics. Macro-molecular Approaches" John Wiley Sons 388-, 1990

      40 Park, J. H.,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Abies koreana forest in Banyabong of Mt. Chiri, Korea" Chung-Ang University 1990

      41 Moon, C.K.,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bies koreana Wilson Grown in Mt. Jiri" 19 : 43-62, 1980

      42 Hong, J. K.,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microsatellites for Abies koreana and A. nephrolepis(Pinaceae)" 15 (15): 1-8, 2016

      43 Park, J. S., "Hierarchic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Abies koreana on the Korean peninsula" 9 (9): 777-, 2018

      44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lobal warming of 1.5°C"

      45 Kwak, M.H., "Genetic assessment of Abies koreana(Pinaceae):The endangered Korean fir,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18 (18): 1165-1176, 2017

      46 김태근, "GIS를 활 용한 국립공원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입지환경 분석 - 구상나무를 대상으로 -"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236-243, 2016

      47 Jørgensen, S. E., "Fundamentals of ecological modelling: Application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search" Elsevier 2011

      48 Korea National Arboretum, "Forest of Korea(Ⅰ)-Conservation of Korean fir(Abies koreana) in a changing environment" 2015

      49 Kim, G. T., "Experimental planting of the seedlings for the restoration of Abies koreana forest in Hallasan" 15 (15): 207-212, 2001

      50 Woo, S. Y., "Effects of temperature on photosynthetic rates in Korean fir(Abies koreana)between healthy and dieback population" 50 (50): 190-193, 2008

      51 Woo, H. J., "Ecological engineering:Principle and application" Cheong Moon Gak 2017

      52 Koh, J. G., "Dynamics of Abies koreana forests in Mt. Halla" 13 : 223-241, 1996

      53 Oh, K. K., "Dynamic patterns of Abies koreana population in Chirisan National Park-Central of east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13 (13): 330-339, 2000

      54 Oh, S. J., "Diurnal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 fluorescence from Korean fir plants on Mt. Halla" 19 (19): 43-48, 2001

      55 Kim, E.S., "Disturbed regeneration of saplings of Korean fir(Abies koreana Wilson):an endemic tree species, in Hallasan National Park, a UNESCO biosphere reserve, Jeju Island, Korea" 5 (5): 68-78, 2016

      56 김은식, "Disturbance in seedling development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tree species on higher altitude forests of Mt. Hallasan National Park, the central part of Jeju Island, Korea" 한국생태학회 41 (41): 152-164, 2017

      57 Koo, K. A.,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Abies koreana W. at Mt. Halla, Korea: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s" 24 (24): 281-288, 2001

      58 Seo, J. W., "Dating the dead year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H. Wilson) at Imgeollyeong in Jirisan National Park" 10 (10): 219-223, 2019

      59 Cho, H. K., "Damage to Abies koreana seeds by soil-borne fungi on Mount Halla, Korea" 37 (37): 371-382, 2007

      60 Kim, G. T.,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by districts" 14 (14): 80-87, 2000

      61 Eo, J. K., "Comparative anatomy of the needles of Abies koreana and its related species" 37 (37): 553-560, 2013

      62 Lee, S.W.,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vegetation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endemic populations of a rare tree species,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86 (86): 167-176, 1997

      63 Ahn, U. S., "Causes of decline in the Korean fir based on spatial distribution in the Mt. Halla region in Korea:A meta-analysis" 11 (11): 391-412, 2020

      64 Byoung-Yoon Lee, "Biological indicators to monitor respons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한국식물분류학회 40 (40): 202-207, 2010

      65 Lim, C. H., "Allogenic succession of Korean fir(Abies koreana Wils.) forests in different climate condition" 33 (33): 327-340, 2018

      66 Kim, Y.S., "Abies korean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4.3"

      67 Park, W. K., "A dendroclimatic analysis on Abies koreana in Cheonwang-bong area of Mt. Chiri, Korea" 13 (13): 25-33,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