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이해와 놀이지원방안: 놀이지원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7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변화된 교사의 역할 중에서 놀이지원자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도와 지원 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경남에 있는 담...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변화된 교사의 역할 중에서 놀이지원자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도와 지원 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경남에 있는 담임교사 1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참여자별 3~5회 개별면담과 2회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놀이지원자로서 교사 역할 이해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코드를 부여하여 정리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제시되었는데 첫째, 적절한 자료를 제공하는 놀이개입자, 둘째, 공간 활용에 유능한 놀이제공자, 셋째, 상호작용에 적극적인 놀이확장자, 마지막으로, 놀이의 흐름을 즐기는 놀이관찰자였다. 놀이지원자를 지원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것은 첫째, 유아를 믿고 지지하기, 둘째, 놀이를 확장시키는 포인트를 파악하고 안내하기, 셋째, 관찰하는 방법을 다각화하기, 마지막으로, 양질의 풍부한 놀이자료 제공하기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항상 공부하는 태도, 함께 놀이하는 자세, 함께 성장하는 자가 되어야 하는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a play supporter among the roles of teachers that chang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understand and support the roles of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n...

      This study aims to focus on a play supporter among the roles of teachers that chang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understand and support the roles of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nam. Individual interviews and journal writing methods were used to collect data. In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ree to five individual interviews and two reflective journal writings per participa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play supporter. As a result,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play supporter was presented: first, the play intervener who provides appropriate materials; second, the play provider who is competent in using space; third, the play expander who is active in interaction; and lastly, the play observer who enjoys the flow of play. In addition, the following are the methods to support play supporters: (1) trust and support for young children, (2) identifying and guiding points for expanding play, (3) diversifying the method of observation, and (4) providing a wealth of high-quality play materials. In conclusion, to understand the role of a teacher as a play supporter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 propose to study, play, and grow together with young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izinga, J., "호모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까치글방 1993

      2 김정임, "자유 발도르프 유아교육론과 보육론 - 슈타이너와 피아제의 발달론 비교 및 한국 교육론ㆍ보육론에 대한 시사점" 한국보육학회 2 (2): 39-59, 2002

      3 고정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43-579, 2019

      4 허계형, "유아와 부모대상 다층구조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역량과 부모의 양육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27-151, 2019

      5 곽나영, "유아교사의 사회정서 교수역량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29-50, 2020

      6 허민정,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35-59, 2020

      7 윤진주, "유아교사의 놀이 이미지와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수월함과 어려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9 (9): 33-54, 2020

      8 여선옥,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 경험 탐색" 유아교육연구소 22 (22): 158-183, 2020

      9 임부연, "유아 참여에 기반한 놀이중심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8 (38): 25-54, 2020

      10 한옥미,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이화어린이연구원 2 (2): 65-83, 2017

      1 Huizinga, J., "호모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까치글방 1993

      2 김정임, "자유 발도르프 유아교육론과 보육론 - 슈타이너와 피아제의 발달론 비교 및 한국 교육론ㆍ보육론에 대한 시사점" 한국보육학회 2 (2): 39-59, 2002

      3 고정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43-579, 2019

      4 허계형, "유아와 부모대상 다층구조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역량과 부모의 양육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27-151, 2019

      5 곽나영, "유아교사의 사회정서 교수역량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29-50, 2020

      6 허민정,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35-59, 2020

      7 윤진주, "유아교사의 놀이 이미지와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수월함과 어려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9 (9): 33-54, 2020

      8 여선옥,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 경험 탐색" 유아교육연구소 22 (22): 158-183, 2020

      9 임부연, "유아 참여에 기반한 놀이중심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8 (38): 25-54, 2020

      10 한옥미, "유아 사회·정서발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이화어린이연구원 2 (2): 65-83, 2017

      11 지성애, "유아 놀이의 재조명, 그리고 교육적 함의" 17-40, 2019

      12 정윤진, "유아 관찰기록의 내용분석: 누리과정과 관찰기록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351-367, 2016

      13 문혁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169-176, 2019

      14 Gandini, L.,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 레지오에밀리아의 유아교육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정민사 2001

      15 탁정화,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85-116, 2014

      16 윤경욱,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딜레마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149-172, 2020

      17 배문경, "발현적 교육과정에 의한 목공활동이 유아의 공간지각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8 박영숙, "발현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교사의 역할 탐구 : 레지오 접근법을 중심으로" 4 (4): 45-64, 2010

      19 이연선, "레지오 유아교육기관과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교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85-110, 2014

      20 오채선, "누리과정, 놀이와 교육의 변증법적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79-305, 2019

      21 허정민, "누리과정 실천과정에서 드러나는 유아교사들의 도전과 딜레마"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181-211, 2019

      22 정주인, "놀이중심교육과정 시대: 변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93-118, 2020

      23 공혜영, "놀이공간으로서 유아교실의 장소성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9 (19): 1-24, 2020

      24 서영민, "놀이 및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5 장민영,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영역에 대한 미국, 호주, 핀란드 간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49-72, 2020

      26 김영옥,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75-103, 2020

      27 조부경,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누리과정 발전 방향에 대한 성찰"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185-213, 2020

      28 van Manen, M.,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The tone of teaching: The language of pedagogy]" 학지사 2012

      29 김명하, "「누리과정개정 정책연구」 보고서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와 한계"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345-367, 2020

      30 임부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 탐구"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10 (10): 5-32, 2020

      31 양수영,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425-448, 2020

      32 임부연,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127-148, 2020

      33 이연선,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 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481-1507, 2021

      34 Goouch, K., "Understanding playful pedagogies, play narratives and play spaces" 28 (28): 93-102, 2008

      35 Honomichl, R. D., "The role o f guidance in children’s discovery learning" 3 (3): 615-622, 2012

      36 Bergen, D., "Psychologic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play" 7 (7): 101-128, 2015

      37 Pyle, A., "Assessment in play-based kindergarten classrooms : An empirical study of teacher perspectives and practices" 110 (110): 457-466, 2017

      38 McAfee, O.,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Allyn and Bacon 2010

      3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40 전유영,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31-57, 2017

      41 방현실,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7 (7): 67-98, 2020

      42 이성희, "2019개정 누리과정 현장 적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67-496, 2021

      43 정연주, "2019 개정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 놀이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16 (16): 195-205, 2021

      44 윤진주, "2019 개정누리과정 영역별 내용 중요도와 현장 적합성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935-950, 2020

      45 김창복,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고찰" 초등교육연구원 31 (31): 245-265, 2020

      46 박종명,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소 22 (22): 26-45, 2020

      47 김대욱,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343-351, 2021

      48 이양숙,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23) : 49-78, 2020

      49 유승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75-100, 2020

      50 정채영,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중심 유아미술교육의 방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539-1554, 2020

      51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52 조운주,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초기의 유아교사 경험" 한국육아지원학회 15 (15): 104-125, 2020

      53 임명희,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경험 탐색" 한국보육학회 20 (20): 1-23,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