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수입품목 분석을 통해 본 북한경제변화 동향 = Economic Trends in North Korea as Observed in Impor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king into account that trade is under state control in North Korea, the article focuses on import to monitor developments in the North Korean economy. Changes in import demand reflect changes in the North Korean economy, as the total count of import...

      Taking into account that trade is under state control in North Korea, the article focuses on import to monitor developments in the North Korean economy. Changes in import demand reflect changes in the North Korean economy, as the total count of imported items might be at least as large as the basic demand for major industries or commodities such as food, energy in order to sustain the North Korean economy. While acknowledging limitations of the method, this study analyzed North Korea's economic trends over the past decade by analyzing imports during the same period. This study finds imports rose in most of North Korea’s industries, including agriculture and fisheries; chemicals, plastic and rubber; textiles and leather; steel and metals; machinery and electrical electronics. Meanwhile, industrial goods imports became reorganized from low- to high-tech industries.
      Among consumer goods, the import of vehicles including passenger cars soared along with cellular phones and laptop computers. As for industrial intermediate goods, there was a sharp increase in the import of intermediate goods for clothing manufacturing, in connection with North Korea’s trade with China. The success of the inter-Korean summit meeting on April 27, 2018 has raised expectations fo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eoul and Pyongyang. However, the economic changes in North Korea indicates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may need to shift its focus from low- to mid-tech industry projects that seek labor force from the North. While low- to mid-level technologies still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North Korean economy, for those who are preparing for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it is telling that demand for products based on higher technology is on the rise in the North. Thus, it might be crucial to observe and assess North Korea's changing economy including major industrial shifts for not on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also civic grou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에서 무역이 국가의 통제하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착안, 본고에서는 북한경제 변화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특히 북한의 수입품목에 주목했다. 북한의 수입품목수는 적어도 북한경...

      북한에서 무역이 국가의 통제하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착안, 본고에서는 북한경제 변화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특히 북한의 수입품목에 주목했다. 북한의 수입품목수는 적어도 북한경제의 유지에 필요한 식량, 에너지, 산업 등의 최소한의 중요 물자의 수만큼은 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수요의 변화는 북한 경제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일부 한계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2007~16년까지 지난 10년간 북한의 수입품목 분석을 통해 북한경제동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농림수산, 화학·플라스틱·고무, 섬유·가죽, 철강·금속, 기계·전기전자 등 대부분의 북한의 산업에서 수입액이 증가했으며 공산품 수입은 중저위기술 업종 중심에서 고위기술이나 중고위기술 위주로 재편되고 있었다.
      소비재 중에서는 운송수단과 관련 있는 승용차, 기타 수송기기 등과 휴대폰과 노트북 등의 수입이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산업용 중간재는 북중교역과 관련한 의류 제조업의 중간재의 수입액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변화하는 북한경제동향은 최근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로 북한과의 경협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전 시기와 달리 단순 노동력 확보를 위한 중저위기술 차원의 사업 제시만으로는 개성공단의 재개 등 경협사업을 추진하기 쉽지 않을 것을 함의한다. 여전히 북한에서 중저위기술의 비중이 높긴 하지만 중고위기술 위주로의 수입품목 비중 확대는 개성공단 등 남북경협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으로 국제사회나 우리 정부는 물론 민간단체들도 북한 관련 정책을 추진할 때에는 북한의 주력 산업변화 등 변화한 북한의 경제전반을 살펴보며 좀 더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리명숙, "현 시기 수입무역에서 제기되는 중요한 문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4) : 2003

      2 "통일법제데이터베이스"

      3 임수호, "최근 북한동향과 대북제재 효과" 연합인포맥스 2017

      4 "조선중앙통신, 2013년 3월 19일"

      5 "조선중앙TV, 2007년 11월 30일"

      6 최영옥, "사회주의 대외무역에서 수입구조의 개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 : 2004

      7 이춘근, "북한 김정은 시대의 과학기술정책 변화와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73) : 2015

      8 심완섭, "북한 공식매체를 통해 본 산업정책 및 주요 산업·기업 변화 실태" 산업연구원 2015

      9 이석,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무역통계와 서베이 데이터의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3

      10 김석진,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무역통계와 서베이 데이터의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3

      1 리명숙, "현 시기 수입무역에서 제기되는 중요한 문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4) : 2003

      2 "통일법제데이터베이스"

      3 임수호, "최근 북한동향과 대북제재 효과" 연합인포맥스 2017

      4 "조선중앙통신, 2013년 3월 19일"

      5 "조선중앙TV, 2007년 11월 30일"

      6 최영옥, "사회주의 대외무역에서 수입구조의 개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 : 2004

      7 이춘근, "북한 김정은 시대의 과학기술정책 변화와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73) : 2015

      8 심완섭, "북한 공식매체를 통해 본 산업정책 및 주요 산업·기업 변화 실태" 산업연구원 2015

      9 이석,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무역통계와 서베이 데이터의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3

      10 김석진,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무역통계와 서베이 데이터의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3

      11 김석진, "무역통계로 본 북한 산업의 재건 실태" 산업연구원 2007

      12 "로동신문, 2012년 5월 9일"

      13 고일동, "남북한 교역구조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09

      14 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경제사전" 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1969

      15 "UN Comtrade Database"

      16 "KOTRA 해외시장뉴스-북한 정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2-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학회 -> 북한연구소
      영문명 : Association Of North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North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