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자 중심 텍스트와 영상 중심 텍스트의 의미구성 방식 비교 분석을 위한 이론적 탐색 - 모바일 미디어 환경을 중심으로 - = Theoretical Search for Comparative Analysis of Semantic Construction of Character-oriented Text and Image-oriented Text - focusing on the mobile media environment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e of the studies necessary to examine the scalability of the literacy concept is an analysis of the text producer’s perception and meaning composition method and strategy using mobile platform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cha...

      One of the studies necessary to examine the scalability of the literacy concept is an analysis of the text producer’s perception and meaning composition method and strategy using mobile platform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character-oriented text and image-oriented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a theoretical search necessary for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aracter-oriented text and image-oriented text. In image-oriented text, like character-oriented text, the reader is not entirely given the right to read. Character-oriented texts can be accurately understood and understood through the context of leading reading comprehension and‘images formed jointly by the writer and reader’. However, in image-oriented text, perception is the basis of the reception system, so the reader must continuously accept images without a brief pause. Therefore, the reader of the image-oriented text is likely to be a recipient of images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carefully calculated images. In addition, in the image-oriented text, the way to empathize and respond immediately through physical reactions such as joy and trembling, and the way of reading text in which ‘sensory resonance’ occupies a central position are reinforced.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 method such as resonant reading based on the physical senses can have an effect on text produc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haracter-oriented text and image-oriented text composition methods produced in a mobile media environment from various asp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민희, "휴대폰 기능별 사용자 요구 인식에 관한 연구" 1315-1319, 2008

      2 임천택, "하이퍼텍스트의 특성과 작문교육적 의의 고찰" 11 : 217-243, 2002

      3 안현정, "하이퍼텍스트스페이스의 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819-832, 2015

      4 Barthes, R.,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1978

      5 임천택, "컴퓨터 작문교육의 배경과 연구동향 고찰" 19 : 123-148, 2001

      6 옥현진, "컴퓨터 글쓰기의 쓰기 교육과정 반영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1) : 209-239, 2010

      7 옥현진,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 나타난 복합양식 문식성 양상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218-243, 2011

      8 조준동, "창의융합 프로젝트 아이디어북" 한빛 아카데미 2015

      9 Gregg, M., "정동이론" 갈무리 2015

      10 김정자, "잡지 기사의 구어성 분석 -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잡지를 중심으로" 7 : 89-115, 1999

      1 박민희, "휴대폰 기능별 사용자 요구 인식에 관한 연구" 1315-1319, 2008

      2 임천택, "하이퍼텍스트의 특성과 작문교육적 의의 고찰" 11 : 217-243, 2002

      3 안현정, "하이퍼텍스트스페이스의 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819-832, 2015

      4 Barthes, R.,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1978

      5 임천택, "컴퓨터 작문교육의 배경과 연구동향 고찰" 19 : 123-148, 2001

      6 옥현진, "컴퓨터 글쓰기의 쓰기 교육과정 반영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1) : 209-239, 2010

      7 옥현진,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 나타난 복합양식 문식성 양상 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6) : 218-243, 2011

      8 조준동, "창의융합 프로젝트 아이디어북" 한빛 아카데미 2015

      9 Gregg, M., "정동이론" 갈무리 2015

      10 김정자, "잡지 기사의 구어성 분석 -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잡지를 중심으로" 7 : 89-115, 1999

      11 구모니카, "읽기/쓰기 문화의 변천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상(浮上) : 바흐친의 ‘일상생활의 산문’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2 (12): 371-382, 2011

      12 김성우, "인터넷은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따비 2020

      13 김성희, "인터넷 매체언어의 읽기와 쓰기 특성과 효과적 통합 지도 전략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4 김성희, "인터넷 매체 텍스트의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 전략-복합 양식 텍스트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6) : 229-253, 2009

      15 신동희, "인간과 컴퓨터의 어울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6 노가영, "유튜브 온리" 미래의 창 2017

      17 김지영, "오늘날의 정동 이론" 오늘의 문예비평 2016

      18 진성희, "시각적 사고 특성에 부합하는 디지털텍스트의 시각적 변형에 관한 설계원리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11-143, 2010

      19 김정기, "소셜 미디어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20 주민재, "블로그 쓰기와 블로거의 독자 인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21 주민재, "블로고스피어의 형성과 담론 공간의 구조" 한국작문학회 (11) : 399-428, 2010

      22 최건아, "복합양식으로서 만화 텍스트 표현 활동 사례에 대한 연구 - 자유학기제 수업에서 중학생의 만화 텍스트 생산 활동을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1 (11): 161-201, 2017

      23 정현선,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우리말교육현장학회 8 (8): 61-93, 2014

      24 이미숙,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실천적 원리 탐색 -애니메이션 교수․학습 재구성 사례를 토대로-" 국어교육학회 (41) : 543-579, 2011

      25 조윤경, "보는 텍스트, 읽는 이미지" 그린비 2012

      26 Bolz, N., "미디어란 무엇인가" 한울 아카데미 2007

      27 김아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28 주민재, "모바일 환경에서 복합양식적텍스트의 활용 양상 − ‘슬라이드 텍스트’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4 (64): 331-360, 2017

      29 이재현, "모바일 미디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0 이재현, "모바일 문화를 읽는 인문사회과학의 고전적 개념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1 김주환, "디지털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2 김지연, "디지털 필자의 문식 실행 연구 : 전문 블로거의 텍스트 생산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33 박승희, "디지털 텍스트와 새로운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글쓰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1) : 343-363, 2005

      34 주민재,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279-308, 2012

      35 옥현진,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에 대한 일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83-108, 2013

      36 방상호, "디지털 읽기-쓰기 수업의 방향과 실천 방안" 213-226, 2017

      37 이재현, "디지털 에크프라시스 : “멀티미디어로의 전환”과 언어적 표상" 한국언론학회 53 (53): 244-267, 2009

      38 주민재, "디지털 쓰기 플랫폼의 행동유도성이 디지털 쓰기 수행과 필자의 쓰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언어정보연구원 48 : 385-415, 2019

      39 구모니카, "디지털 시대의 읽기·쓰기 문화 연구 : 디지털 개인출판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40 이재현, "디지털 시대의 읽기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1 정현선, "디지털 시대 글쓰기에 있어 ‘표현 도구’와 ‘매체 특성’ 이해의 필요성 -초등학교 어린이의 사진과 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06) : 99-130, 2009

      42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50) : 263-294, 2015

      43 정혜승, "독자와대화하는글쓰기" 사회평론아카데미 2013

      44 주민재, "대학생의 문자 텍스트 작성 능력과 블로그 작성 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21) : 189-224, 2017

      45 주민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복합양식적 쓰기의 수용 가능성" 한국국어교육학회 (86) : 379-412, 2010

      46 이상아, "다큐멘터리의 언어적 창의성 연구 - ≪지식채널e≫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1) : 169-197, 2013

      47 Wolf, M., "다시, 책으로" 어크로스 2019

      48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37-165, 2014

      49 윤영민, "e-Carnivalesque로서의 온라인 공중 대화: 바흐찐적 모형의 탐색" 한국이론사회학회 (16) : 145-178, 2010

      50 Carol Berkenkotter, "Understanding a Writer’s Awareness Audience" 32 (32): 388-399, 1981

      51 Bull, M., "The world according to sound: Investigating the world of Walkman users" 3 (3): 179-197, 2001

      52 Bakhtin, M.M., "The Formal Method in Literary Scholarship: a Cri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Poetic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53 Androutsopoulos, J., "Standard languages and language Standards in a Changing Europe" 145-160, 2011

      54 Ling, R., "Perpetual contact: Mobile communication, private talk, public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5 Alvermann, D.E., "Moving on, keeping pace: Youth’s literate identities and multimodal digital texts, Rethinking identity and literacy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110 (110): 109-127, 2011

      56 이재현, "MP3플레이어의 인터페이스와 시공간성" 언론정보연구소 44 (44): 109-136, 2007

      57 Asturalian Literacy Educators’ Association, "Literacy in 21st century Australia : The ALEA Declaration"

      58 Cooley, H.R., "It’s All About the Fit: The Hand, the Mobile Screenic Divice and Tactile Vision" 3 (3): 133-155, 2004

      59 Ellis, K.K., "Is a Shorter Length More Engaging on Facebook?" Newswhip

      60 Corbin, J.,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13 (13): 418-427, 1990

      61 Namkee Park, "Effects of mobile instant messenger use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82 : 34-43, 2018

      62 Bakhtin, M.M., "Dialogic Imagination"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6

      63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Demograhics"

      64 Statistica, "Average Youtube Video Length 2018, by category"

      65 Ling, R., "Adolescent girls and young adult men: Two sub-culture of the mobile telephone" 57 : 33-46,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언어정보개발연구원 -> 언어정보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Development -> 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8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