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포 특징 = Distribution 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949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조사는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부로 2017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전체 해안에 설정된 157개 정점을 중심으로 조간대 및 해안사구와 사빈지역에서 수행하였...

      본 조사는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부로 2017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전체 해안에 설정된 157개 정점을 중심으로 조간대 및 해안사구와 사빈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염생식물은 총 72종이 확인되었으며 분포 면적은 총 $1,813,546m^2$이었다. 서해안 권역에서는 칠면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며, 남해안 권역에서는 갈대 군락이 우점 군락이고, 동해안 권역에서는 통보리사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었다. 조사지역 전체로는 갈대 군락이 $1,136,643m^2$ (62.7%)으로 가장 넓었다. 상위 11개 우점 식물 군락은 갈대 군락, 칠면초 군락, 해홍나물 군락, 갯잔디 군락, 통보리사초 군락, 갯그령 군락, 기수초 군락, 모새달 군락, 지채 군락, 좀보리사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이며, 특히 갈대 군락과 칠면초 군락은 전체 면적의 75.9%를 차지하여 압도적이었다. 우리나라 해안의 염생식물 분포는 대부분 기후 차이보다는 서식처의 형태가 염생식물의 서식 형태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같은 권역 내에서도 서식처의 다양성 정도에 띠라 염생식물의 출현종과 서식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17 to August 2018 as part of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Surveys sponsored by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KOEM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t 157 sta...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17 to August 2018 as part of the National Marine Ecosystem Surveys sponsored by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KOEM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t 157 stations including intertidal zones, coastal sand dunes and beaches. A total of 72 species of halophytes were identified and the total vegetated area was $1,813,546m^2$ in coastal waters of Korea. In the west coast region, Suaeda japonica was the dominant species, Phragmites communis in the southern coast, and Carex kobomugi in the east coast. Phragmites communis was the most dominant with $1,136,643m^2$ (62.7%) in the whole surveyed area. The top 11 dominant plants are Phragmites communis, Suaeda japonica, Suaeda maritima, Zoysia sinica, Carex kobomugi, Elymus mollis, Suaeda malacosperma, Phacelurus latifolius, Triglochin maritimum, Carex pumila and Carex scabrifolia, and Phragmites communis and Suaeda japonica accounted for 75.9% of the total vegetated area. The distribution of halophyte on the coast of Korea was determined by the habitat types rather than the climate ranges,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pecies diversity and habitat range of the halophyte depending on the habitat diversities within the same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현보,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 39 (39): 264-276, 2009

      2 정준희, "제주도 연안 네 지역의 염생식물상과 식생" 한국도서(섬)학회 25 (25): 91-106, 2013

      3 김하송, "순천만 염생식물의 생육지 환경요인 변화" 한국도서(섬)학회 26 (26): 195-211, 2014

      4 공병욱, "순천만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분포 현황" 한국환경기술학회 15 (15): 130-139, 2014

      5 이연규, "순천만 갈대군락의 면적 증가와 저토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습지학회 10 (10): 9-26, 2008

      6 김창환, "서해안 간척지 식물상 및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5 (25): 213-226, 2013

      7 김진석, "생태계 교란식물 cordgrass (Spartina spp.)의 효과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고찰" 한국잔디학회 5 (5): 111-125, 2016

      8 김은규, "미기록 외래잡초 영국갯끈풀의 국내 분포와 식물학적 특성" 한국잔디학회 4 (4): 65-70, 2015

      9 조우,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499-505, 2009

      10 김창환, "남해안 주요 간척지 식물상 및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75-190, 2015

      1 심현보,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 39 (39): 264-276, 2009

      2 정준희, "제주도 연안 네 지역의 염생식물상과 식생" 한국도서(섬)학회 25 (25): 91-106, 2013

      3 김하송, "순천만 염생식물의 생육지 환경요인 변화" 한국도서(섬)학회 26 (26): 195-211, 2014

      4 공병욱, "순천만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분포 현황" 한국환경기술학회 15 (15): 130-139, 2014

      5 이연규, "순천만 갈대군락의 면적 증가와 저토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습지학회 10 (10): 9-26, 2008

      6 김창환, "서해안 간척지 식물상 및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5 (25): 213-226, 2013

      7 김진석, "생태계 교란식물 cordgrass (Spartina spp.)의 효과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고찰" 한국잔디학회 5 (5): 111-125, 2016

      8 김은규, "미기록 외래잡초 영국갯끈풀의 국내 분포와 식물학적 특성" 한국잔디학회 4 (4): 65-70, 2015

      9 조우, "동해안 해수욕장 주변의 해안사구 식생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499-505, 2009

      10 김창환, "남해안 주요 간척지 식물상 및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75-190, 2015

      11 박선주, "경상북도 해안사구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392-410, 2009

      12 유주한,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습지학회 11 (11): 29-38, 2009

      13 박경훈, "경상남도 남해안 연안습지의 생태적 가치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395-405, 2010

      14 심현보,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한국환경생물학회 20 (20): 4-34, 2002

      15 Min, B. M.,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20 (20): 167-178, 1998

      16 KOEM, "Protocol of National Survey on Marine Ecosystem" KOEM 148-, 2016

      17 Min, B. M., "Plnat community structure in reclaimed land on the West Coast of Korea" 42 : 287-293, 1999

      18 Min, B. M., "On the Accumulation of Minerals with the Plant Species in a Reclaimed Land" 13 (13): 9-18, 1990

      19 Park, S. 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75-, 2009

      20 MABIK, "National List of Marine Species"

      21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Plant Names Index"

      22 Oh, Y. C., "Korean Cyperaceae(Vol. 3)"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166-, 1986

      23 Oh, Y. C., "Korean Cyperaceae(Vol. 2)"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160-, 1984

      24 Oh, Y. C., "Korean Cyperaceae(Vol. 1)"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134-, 1983

      25 Hong, W. S., "Investigation Report on Plant Communities on Yongzong Island" 1 : 7-15, 1958

      26 Kim, E. K., "Halophytes of Korea" Econature 368-, 2013

      27 Cho, Y. H.,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527-, 2016

      28 Lee, Y. N., "Flora of Korea" Koy-Hak Publishing Co., Ltd. 1237-, 1996

      29 Lee, W. T.,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ern Coast-" 6 (6): 177-186, 1983

      30 Lee, W. T.,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 On the Sand Dune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 7 (7): 74-84, 1984

      31 Min, B. M., "Distribution and Cyclings of Nutrients in Phragmites communis Communities of a Coastal Salt Marsh" 26 (26): 17-32, 1983

      32 Lee, T.B., "Coloured Flora of Korea 1,2" Hyangmunsa 910-914, 2003

      33 Chapman, V. J., "Coastal vegetation" McMillan Co 245-, 1964

      34 Kim, J. W.,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240-, 2006

      35 길지현, "An Unrecorded Naturalized Plant in Korea : Cakile edentula (Brassicaceae)" 한국식물분류학회 38 (38): 179-185, 2008

      36 지성진, "A new record of Eleocharis parvula (Roem. & Schult.) Bluff, Nees & Schauer (Cyperaceae) in Korea" 한국식물분류학회 45 (45): 169-172, 2015

      37 KOEM, "2017 National Survey on Marine Ecosystem(Tidal Flat Ecosystem)" KOEM 587-, 2017

      38 KOEM, "2016 National Survey on Marine Ecosystem(Tidal Flat Ecosystem)" KOEM 312-, 2016

      39 KOEM, "2015 National Survey on Marine Ecosystem(Tidal Flat Ecosystem)" KOEM 363-,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