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MZ 일원 보전·이용지역 설정 및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 = A Study on Evaluating the Conservation/Utilization Area and Establishment of the Guideline for Conservation of the DMZ Reg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pite of the ecological value of the DMZ, there have not been established guidelin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n the DMZ and adjacent area.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about zoning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area consideri...

      In spite of the ecological value of the DMZ, there have not been established guidelin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n the DMZ and adjacent area.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about zoning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area considering environmental data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DMZ region, and we make the guideline for conservation of the DMZ region based on the zone. Using 10 legal protection areas,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and the boundaries of the DMZ region, we evaluated this region into conservation areas, management areas, and utilization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as much as 91.8% of the DMZ region was evaluated as conservation areas, 6.9% as management areas, and 1.3% as utilization areas. After consultation with experts we suggested management principles, the direction, and the guideline based on the planning process considering the evaluation map. The study suggests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the guidelines could be a effective tool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of DMZ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부,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2004

      2 환경부, "환경부 설명자료. DMZ 국립공원 지정 보도관련설명자료. 2010.8.6"

      3 환경부, "환경부 보도자료. 2011.9.20. DMZ의 생태․환경가치, 세계에 알린다"

      4 환경부, "환경부 보도자료. 2010.8.30. DMZ일원 “보호지역” 5개소 지정추진"

      5 스캇스나이더, "한반도 평화체제와 국제협력" (2) : 92-108, 2006

      6 관계부처합동,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 방안 -DMZ 일원 관광활성화-" 2010

      7 김귀곤, "평화와 생명의 땅 DMZ" 드림미디어 2010

      8 한국관광공사, "평화․생명지대(PLZ) 광역 관광개발계획 수립" 2009

      9 이경, "철원 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Ⅲ. 부착조류" (30) : 253-279, 1997

      10 이경, "철원 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Ⅱ.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계절적 변화" (29) : 241-246, 1996

      1 환경부,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2004

      2 환경부, "환경부 설명자료. DMZ 국립공원 지정 보도관련설명자료. 2010.8.6"

      3 환경부, "환경부 보도자료. 2011.9.20. DMZ의 생태․환경가치, 세계에 알린다"

      4 환경부, "환경부 보도자료. 2010.8.30. DMZ일원 “보호지역” 5개소 지정추진"

      5 스캇스나이더, "한반도 평화체제와 국제협력" (2) : 92-108, 2006

      6 관계부처합동,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 방안 -DMZ 일원 관광활성화-" 2010

      7 김귀곤, "평화와 생명의 땅 DMZ" 드림미디어 2010

      8 한국관광공사, "평화․생명지대(PLZ) 광역 관광개발계획 수립" 2009

      9 이경, "철원 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Ⅲ. 부착조류" (30) : 253-279, 1997

      10 이경, "철원 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Ⅱ.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계절적 변화" (29) : 241-246, 1996

      11 한명수, "철원 북방 DMZ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Ⅰ. 넷트로 제작된 mesocosm 에 대한 현장 시험" (28) : 487-495, 1995

      12 국립환경과학원,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2007

      13 행정안전부,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안)" 2011

      14 환경부, "전략환경평가 내실화를 위한 평가단계별 방법론 마련 연구" 2010

      15 경향신문, "열목어 노니는 민통선 계곡, 자전거길로 생채기"

      16 손기웅, "생태, 평화의 제문제; 비무장지대 관리, 활용을 위한 남북협력" (2) : 83-111, 2006

      17 환경부,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2010

      18 김귀곤, "비무장지대와 민통지역의 생물상" 2000

      19 환경부,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조사결과 종합보고서" 2003

      20 환경부,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계보전대책" 2005

      21 환경부, "비무장지대 인접지역 자연환경 정밀조사보고서 I" 1995

      22 임채환, "비무장지대 생태계조사 현황과 정책방향" (2) : 135-145, 2006

      23 산림청, "비무장지대 및 인접 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종합 보고서" 2000

      24 이재민, "북방한계선 (NLL)과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의 재검토" 서울국제법연구원 15 (15): 41-71, 2008

      25 최재용, "녹지총량제의 국외사례 및 국내 적용가능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104-113, 2008

      26 철도청, "경의선 철도사업 동식물상조사보고서" 2000

      27 철도청, "경의선 철도사업 동식물상조사보고서" 2001

      28 김주필, "강원도 철원지역 DMZ 의 거미상." (4) : 69-73, 1999

      29 취이리루, "강대국 정치와 한반도 평화" (2) : 36-52, 2006

      30 Arrowsmith, C, "Estimating environmental resiliency for the Grampians national park, Victoria, Australia:a quantitative approach" 23 (23): 295-309, 2002

      31 고경빈, "DMZ평화생태포럼; DMZ 평화지대화와 남북관계" (3) : 21-34, 2007

      32 최성록, "DMZ일원 국가사업에 있어 주민참여 현황과 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63-186, 2011

      33 제성호, "DMZ의 평화적 이용에 따른 법적 문제" 법조협회 55 (55): 130-168, 2006

      34 환경부, "DMZ 중부지역 생태계 조사 보고서" 2009

      35 최성록, "DMZ 일원 주요 자원의 보전가치 추정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경기개발연구원 2009

      36 관계부처합동, "DMZ 일원 생태계보전 및 현명한 이용대책" 2010

      37 산림청, "DMZ 일원 산림관리 종합대책 보전과 이용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녹색평화공간 창조-" 2011

      38 Tomczyk, A. M., "A GIS assessment and modelling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recreational trails:The case of Gorce National Park, Poland" (31) : 339-351, 2011

      39 환경부, "2010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유지관리"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45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