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수자원 분야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관리 방안 제시 = A proposal for regional customization and optimal operation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through analysis of water resources research trend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0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in the water resources in Korea were analyzed to present regional customization and optimal operation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Detailed classification fields were determined in the water and groundwater resou...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in the water resources in Korea were analyzed to present regional customization and optimal operation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Detailed classification fields were determined in the water and groundwater resources. Through the analysis of examples and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water resources and underground water resources, three improvements were presented: securing sites for long-term observable research area, evaluating water resources based on spatial units, and no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watersheds in acts and ordinance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policy judgment in determining the groundwater management policy after the group of groundwater management policy makers at the research site can identify the requir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관리 방안 제시를 위하여 국내 수자원 분야 연구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자원 분야와 지하수자원 분야에서 세부 분류 분야를 결정하였...

      본 연구에서는 지역 맞춤형 지하수자원 최적 운영 관리 방안 제시를 위하여 국내 수자원 분야 연구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자원 분야와 지하수자원 분야에서 세부 분류 분야를 결정하였다. 수자원 및 지하수자원 관련 연구의 사례 및 동향 분석을 통해 장기 관측 가능 실증 연구 부지의 확충, 공간 단위 위주의 수자원 평가, 법률 및 조례의 유역 특성 미반영 등 세 가지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지하수자원 관리 정책 입안자 집단으로 하여금 연구 현장에서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고, 이후 지하수자원 관리 정책 결정 시 정책적 판단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범, "한계침투량 개념과 수문자료 간 상관관계를 고려한 영산강 유역의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 시기 평가 방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52 (52): 195-206, 2019

      2 이동률, "통합수자원평가지수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017-1028, 2013

      3 김남원, "통합수문모형을 이용한 제주 한천유역의 지하수 변동 특성 모의" 한국환경과학회 22 (22): 515-522, 2013

      4 김은주, "지하수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이용을 위한 법적 과제" 한국환경법학회 41 (41): 1-28, 2019

      5 박정은,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 평가지수 개발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9 (49): 95-106, 2016

      6 김홍배, "우리나라의 지역별 수자원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학회 27 (27): 61-80, 2011

      7 김일환,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한 낙동강 상류 지역의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51 (51): 761-768, 2018

      8 정일원,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Ⅱ):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40 (40): 205-214, 2007

      9 배덕효,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Ⅰ):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40 (40): 191-204, 2007

      10 김영득,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물발자국 인벤토리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6 (46): 401-412, 2013

      1 이재범, "한계침투량 개념과 수문자료 간 상관관계를 고려한 영산강 유역의 주 단위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 시기 평가 방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52 (52): 195-206, 2019

      2 이동률, "통합수자원평가지수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017-1028, 2013

      3 김남원, "통합수문모형을 이용한 제주 한천유역의 지하수 변동 특성 모의" 한국환경과학회 22 (22): 515-522, 2013

      4 김은주, "지하수의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이용을 위한 법적 과제" 한국환경법학회 41 (41): 1-28, 2019

      5 박정은,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 평가지수 개발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9 (49): 95-106, 2016

      6 김홍배, "우리나라의 지역별 수자원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학회 27 (27): 61-80, 2011

      7 김일환,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한 낙동강 상류 지역의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시기 평가 방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51 (51): 761-768, 2018

      8 정일원,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Ⅱ):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40 (40): 205-214, 2007

      9 배덕효,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Ⅰ):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40 (40): 191-204, 2007

      10 김영득,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물발자국 인벤토리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6 (46): 401-412, 2013

      11 최시중, "미래 시나리오 기반 낙동강 유역의 용수공급 안정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51 : 1105-1115, 2018

      12 양정석, "낙동강유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 대한지질공학회 17 (17): 507-510, 2007

      13 양정석, "낙동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50 (50): 815-825, 2017

      14 안정민, "기후변화와 유역유출특성을 고려한 미래하천환경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7 (47): 269-283, 2014

      15 정태성, "금강유역의 유역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저수지 운영률 개발 및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 41 (41): 433-444, 2008

      16 김병성, "건축형 LID 시스템에서 Planter Box를 활용한 저류 및 유출저감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52 (52): 219-226, 2019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Water resources plan (2001-2020) : The 3rd revision plan" 2016

      18 이승종, "WEP 모형을 이용한 도림천 유역 물순환 모의" 한국수자원학회 38 (38): 449-460, 2005

      19 Doherty, J., "Use of paired simple and complex models to reduce predictive bias and quantify uncertainty" 47 (47): W12534-, 2011

      20 Wilby, R. L., "Uncertainty in water resource model parameters used fo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19 (19): 3201-3219, 2005

      21 Webster, M., "Uncertain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and policy response" 61 (61): 295-320, 2003

      22 Kim, J. S., "The Utilization of Sustainable Groundwater a management plan"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s 55-70, 2019

      23 Leube, P. C., "Temporal moments revisited : Why there is no better way for physically based model reduction in time" 48 (48): W11527-, 2012

      24 우소영, "SWAT 및 random forest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지수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51 (51): 863-874, 2018

      25 양정석, "SEAWAT을 이용한 미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여수지역 해수침투 저감 대책 효과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51 (51): 515-521, 2018

      26 Leavesley, G. H., "Precipitation-Runoff Modeling System. User’s manual"

      27 Sadeghfam, S., "Localization of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catastrophe theory" 30 (30): 4585-4601, 2016

      28 Luoma, S., "Impacts of future climate change and Baltic Sea level rise on groundwater recharge, groundwater levels, and surface leakage in the Hanko Aquifer in Southern Finland" 6 (6): 3671-3700, 2014

      29 Seeboonruang, U,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and vulnerability to drought of areas in Eastern Thailand" 75 (75): 42-, 2016

      30 Sahoo, S., "Groundwater-level prediction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s : a comparative assessment" 21 (21): 1865-1887, 2013

      31 Wu, W.,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feasibility mapping under reclaimed water irrigation by a modified DRASTIC model" 28 (28): 1219-1234, 2014

      32 Jha, M. K., "Groundwater assessment in Salboni Block, West Bengal(India)using remote sen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techniques" 18 (18): 1713-1728, 2010

      33 배덕효, "GCM과 수문모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미래 수자원 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4 (44): 389-406, 2011

      34 Allan, J. A., "Fortunately there are substitutes for water otherwise our hydro-political futures would be impossible"

      3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Drying wells, rising stakes : Towards sustainable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36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37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synthesis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8 Cai, J., "China’s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 A spatio-temporal analysis during 2003-2013" 142 : 2901-2910, 2017

      39 Giorgi, F., "Calculation of average, uncertainty range, and reliability of regional climate changes from AOGCM simulations via the Reliability Ensemble Averaging(REA)method" 15 (15): 1141-1158, 2002

      40 Kite, G. W., "Atmospheric model data for macroscale hydrology" 217 : 303-313, 1999

      41 Chachadi, A. G., "Assessing aquifer vulnerability to sea-water intrusion using GALDIT method:Part 2 - GALDIT Indicators Description" IAHS and LNEC 2005

      42 Izady, A., "Application of panel-data modeling to predict groundwater levels in the Neishaboor Plainm Iran" 20 (20): 435-447, 2012

      43 Leal, J. A. R., "Analysis of aquifer vulnerability and water quality using SINTACS and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66 (66): 2257-2271, 2012

      44 박진혁, "A1B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RCM과 SWAT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및 용담댐 유역 유출량 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4 (44): 929-940, 2011

      45 Asher, M. J., "A review of surrogate models and their application to groundwater modeling" 51 (51): 5957-5973, 2015

      46 Arnold, J. G.,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142 : 47-69, 1993

      47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9 Groundwater annual report"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