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서울시 축산물(식육)판매업소의 원산지 표시실태 및 위생상태 모니터링 = Monitoring Country-of-origin Labels and Sanitation on the Meat Markets in Seou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76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전제 25개 구를 대상으로 축산물(식육)을 판매하는 영업소를 대형 중형 소형영업소로 구분하여 축산물의 항목 표시 실태 및 위생상태를 점검 파악하기 위하여, 축산물(식육...

      본 연구는 서울시 전제 25개 구를 대상으로 축산물(식육)을 판매하는 영업소를 대형 중형 소형영업소로 구분하여 축산물의 항목 표시 실태 및 위생상태를 점검 파악하기 위하여, 축산물(식육) 판매업소의 위생적 관리와 표시규정의 준수 여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시 25개 구를 각 구별로 비교 분석하기 위해, 1개 구마다 12개의 영업장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300개의 영업장을 조사하였고, 또한 이들 25개 구를 서울시 강남지역과 강북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업소의 규모는 대규모의 할인점이나 백화점, 대형 도매점 등의 300평 이상의 대규모 영업소가 16%였고, 중간 규모의 100-300평 사이의 중형영업소가 18%로 나타났다. 100평 이하의 소형 영업소는 6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시여부에 관한 규정의 준수는 비포장육과 포장육 모두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비포장육의 등급별 용도표시 항목과 포장육의 조리방법 표시, 보관방법의 표시 항목은 아직 일부 영업자에게 그 필요성이 인식되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시여부에 관한 규정의 준수와는 달리 위생과 관련한 항목에서는 저조한 적합률을 나타내었다. 특히 작업 중과 작업 완료 후의 위생적 조치는 여러 지역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칼, 칼갈이, 도마 등의 기구류나 기계류가 상온에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위생에 관련한 복장 상태 역시 대부분의 구에서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관련 항목의 전반적인 적합률이 매우 낮은 것을 보았을 때 복장에서 유발될 수 있는 식육의 오염에 대한 개념이 많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식육의 보관 온도에 관한 규정 준수 또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냉장육과 냉동육의 정확한 보관온도를 대부분의 영업자나 종업원들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냉장육의 냉장보관의 경우에는 대체로 잘 지켜지고 있지만, 냉동육의 경우 냉동보관은 잘 지켜지고 있지 않는 사례가 많아 영업자에게 식육의 보관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홍보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의 각 구별 축산물(식육)판매업소의 실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중 소형 영업소의 영업자나 종업인은 축산물 판매에 필요한 정보를 표지판에 기재하여 소비자에게 알리기 보다는 구두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농림부 등 관계 당국에서는 식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소비자에게 그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지 않는 축산물 판매업소의 영업자나 종업원은 법을 위반하고 있는 것이라는 교육 및 홍보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하며 또한, 축산물(식육) 판매업소의 위생상태에 관련하여 부적합한 대부분의 영업소의 영업자나 종업인의 식육에 대한 위생교육 또한 시급한 문제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imals must be inspected prior to and after slaughter to make certain they are free of diseases and unacceptable defects. Since meats are potentially hazardous foods, they should not be accept if there are any signs of contamination, temperature abus...

      Animals must be inspected prior to and after slaughter to make certain they are free of diseases and unacceptable defects. Since meats are potentially hazardous foods, they should not be accept if there are any signs of contamination, temperature abuse, or spoilage. This survey was aimed to monitor the current situation of country-of-origin labels and sanitation for the meat markets in Seoul, Korea. The markets were divided into groups as to 25 territories in Seoul and the size of markets (large size, medium size, and small size). In terms of size distribution, small butcher shops occupied the highest percentage. On the itemized suitability test of unpacked and packed beer in Seoul, most butcher shops showed good evaluation. However, labels indicating the grade, storage and cooking instruction for unpacked beef were not properly posted on the products. The results of monitoring sanitation conditions for butcher shops in Seoul showed relatively low suitability. Especially, there were serious lack of knowledge about wearing the sanitation clothings, caps, and shoes. The problem with food safety is so complicated that producers, consumers, merchandisers, the press, the government and the scholar should try to solve the problems altogether. Also, it is important to educate and provide them with correct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for food hygiene and saf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농림부, "축산물 가공처리시행규칙" 농림부 2001

      2 농림부, "식품산업 종합통계" 농림부 2006

      3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18 : 139-145, 2003

      4 Nam, B. R, "Survey of the status of country-of-origin labels and hygiene on the meat markets of 4 regions in Korea" 27 : 122-126, 2007

      5 "Study on the consumers' awareness on safety of livestock products and livestock processed foods" 18 : 115-128, 2005

      6 "Strategy for improving food safety in Korea Focused on vegetable and meats"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57, 2001

      7 Yoon, G. S, "Preferences of meat food and its related factor in Koreans" 15 : 524-532, 1999

      8 Lee, M. H, "Consumer’s purchase behaviors and perception of branded pork in Gyeongnam" 25 : 271-276, 2005

      9 "Consumers’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s" 28 : 948-953, 1999

      10 "Consumers' food preferences and safety concerns" 31 : 52-71, 2004

      1 농림부, "축산물 가공처리시행규칙" 농림부 2001

      2 농림부, "식품산업 종합통계" 농림부 2006

      3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18 : 139-145, 2003

      4 Nam, B. R, "Survey of the status of country-of-origin labels and hygiene on the meat markets of 4 regions in Korea" 27 : 122-126, 2007

      5 "Study on the consumers' awareness on safety of livestock products and livestock processed foods" 18 : 115-128, 2005

      6 "Strategy for improving food safety in Korea Focused on vegetable and meats"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57, 2001

      7 Yoon, G. S, "Preferences of meat food and its related factor in Koreans" 15 : 524-532, 1999

      8 Lee, M. H, "Consumer’s purchase behaviors and perception of branded pork in Gyeongnam" 25 : 271-276, 2005

      9 "Consumers’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s" 28 : 948-953, 1999

      10 "Consumers' food preferences and safety concerns" 31 : 52-71, 2004

      11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toward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40 : 73-84, 2003

      12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34 : 66-74, 2005

      13 "A study on the purchase action of processed foods and the recognition for food additives of urban housewives" 13 : 119-126, 1998

      14 Lee, J. H,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eef safety: A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33 : 351-366, 2006

      15 "A awareness survey of HACCP implementation in the Korea slaughterhouse" 17 : 45-54,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2-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3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2 0.74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