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양기초교육에서 창의성 함양을 위한 음악학습 방안 = A music learn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libe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7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ir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To this end, first, I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ir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To this end, first, I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eir creativity appears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not only the cognitive aspects but also the motivation. It means that motiva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f the college students and curriculum. But it appears that creative thinking among the content of the present curriculum is the highest percentage regardless of the liberal arts or maj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urse of study in light of not only the cognitive aspects but also affective aspects.
      Second, music offers effectively the immersion experience which is an important condions for manifestation of creativity, practically the creativity enhancement effects were identified by many research results. Thus, it is important for college students to develop creativity through music. In particular, as music beginners of liberal arts college, there is a need to express their inherent creativity no matter whether they have any musical skills or not.
      Third, thus, this study proposed music learning plan and real class case from the standpoint of a strong co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motivation in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especially as a non-music major in the liberal arts college, their inherent creativity should be so expressed away from the limitation of musical techniques and music theory, etc. that creativity is ultimately impro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인 대학생의 창의성의 특성에 비추어 창의성 향상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대학생의 창의성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

      본 연구는 학습자인 대학생의 창의성의 특성에 비추어 창의성 향상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대학생의 창의성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생의 창의성은 인지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에서의 동기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창의성 신장 및 학습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개발에 동기유발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현 대학의 창의성 교과목의 내용범주는 창의적 사고에 대한 비율이 교양, 전공영역을 불문하고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에서의 교과목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둘째, 창의성 발현을 위하여 중요한 조건인 내재적 동기에 의한 몰입을 경험시키는데 음악은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실제 많은 연구에서 음악의 창의성 증진 효과가 증명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에게는 음악을 통하여 동기유발과 함께 창의성을 계발시킬 수 있는 수업모델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특히 교양기초교육의 대학생 음악초보자로서 음악적 기술이 없어도, 또한 음악적 지식이 없어도 이와 상관없이 동기유발을 시켜 내재되어 있는 창의성을 표출하도록 하여 창의성이 증진되도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동기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경향이 있는 대학생들의 특성과 특히 음악비전공자인 교양기초교육의 대학생 음악초보자로서 테크닉이나 음악이론 등 제약에서 벗어나 내재되어 있는 창의성이 표출되어 궁극적으로 창의성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음악학습방안 및 실제 수업안 사례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말에 의한 인지적 학습이 아닌 음악의 청감각성과 운동성의 특성 그리고 누구나 가지고 있는 자연적 학습능력을 활용한 자연적 음악학습방법을 기반으로 오감을 사용한 다양한 표현활동과 함께 직접 경험에 의한 학습활동 단계를 거친 후에야 인지적 결합단계로 거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 정의적 학습단계에서는 앞 단계의 학습내용과 연결하여 창작, 글짓기 등 창의적인 활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후량,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그리스 에토스(Ethos)론의 당위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박권생, "창의력과 통찰문제 해결능력" 대한사고개발학회 1 (1): 23-40, 2005

      3 이정규, "대학생의 창의성과 작업선호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413-432, 2005

      4 이경화, "대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동기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3 (13): 125-139, 2013

      5 최인수, "국내 대학의 창의성 교과목 현황 및 내용분석 : 상위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79-199, 2012

      6 Moneta G. B., "Trait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academic performance, and creativity in Hong Kong college students" 43 (43): 664-683, 2002

      7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rnponential conceptualization" 45 : 357-376, 1983

      8 Leibowitz, L., "The relationship of continuation in applied music study in four New York City High Schools" New York University 1978

      9 Gallwey, W. T., "The Inner game of tennis" Random House, Inc 1974

      10 하대현, "T. Amabile의 창의성 이론에 근거한 동기와 창의성간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학회 40 (40): 6-142, 2002

      1 김후량,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그리스 에토스(Ethos)론의 당위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박권생, "창의력과 통찰문제 해결능력" 대한사고개발학회 1 (1): 23-40, 2005

      3 이정규, "대학생의 창의성과 작업선호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413-432, 2005

      4 이경화, "대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동기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3 (13): 125-139, 2013

      5 최인수, "국내 대학의 창의성 교과목 현황 및 내용분석 : 상위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179-199, 2012

      6 Moneta G. B., "Trait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academic performance, and creativity in Hong Kong college students" 43 (43): 664-683, 2002

      7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rnponential conceptualization" 45 : 357-376, 1983

      8 Leibowitz, L., "The relationship of continuation in applied music study in four New York City High Schools" New York University 1978

      9 Gallwey, W. T., "The Inner game of tennis" Random House, Inc 1974

      10 하대현, "T. Amabile의 창의성 이론에 근거한 동기와 창의성간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학회 40 (40): 6-142, 2002

      11 Kershaw, T. C., "Proceedings of the Twenty-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89-493, 2001

      12 김명신, "NLPMS로 쉽게 배우는 초등음악교육" 두양사 2004

      13 Amabile, T. M., "Motivatioal synergy: Toward new conceptualization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workplace" 3 : 185-201, 1993

      14 Gallwey, W. T., "Inner tennis: playing the game" Random House, Inc 1976

      15 Holverstott, B., "Creative genius: an integrated view"

      16 CMP Report Vol. I, "Contemporary Music for School" MENC 1966

      17 김명신, "CMP를 통해서 본 음악 창조성 계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18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2000

      19 Amabile, T. M., "An Introduction to creativity" Copley Publishing Co 71-75, 1994

      20 Gibson, S. M., "A comparison of music and multiple arts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49 (49): 3543-3544,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