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자원세제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74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 자원시장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중국은 현재 자원세 개혁이 한창이다. 중국의 자원세는 지방세로, 자원개발 기업 간 이윤 배분의 불합리성을 개선하기 위해 1984년 신설되었다. 그리...

      세계 자원시장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중국은 현재 자원세 개혁이 한창이다. 중국의 자원세는 지방세로, 자원개발 기업 간 이윤 배분의 불합리성을 개선하기 위해 1984년 신설되었다. 그리고 이후 사회의 요구와 필요에 의해 지방재정수입 확보, 자원의 효율적 개발과 이용, 환경오염 방지 등으로 그 과세목적이 확대되었다.
      본 논문은 지방세인 자원세가 이러한 과세목적에 부합하도록 개편되는 과정에서 지방세의 기본원칙에 얼마나 충실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중국의 자원세가 지방세로서 상기의 과세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자원세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보았으며 관련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지방세의 과세원칙에 입각하여 살펴보자면 자원세는 환경오염 방지의 목적으로 과세될 경우에 지방세 과세원칙인 응익원칙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지방세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원의 합리적인 개발과 이용을 위한 목적이라면 자원세는 중앙세에 적합하다. 자원의 합리적 개발과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세부담을 높이는 방법도 있지만 효율이 높은 에너지원 개발에 대한 세금을 경감하는 등의 정책도 필요하므로 지방세보다 중앙세가 적합하다. 셋째, 자원은 국가 소유, 즉 전민 소유이므로 지방재정 수입 확보를 위해서는 공향세가 적합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an important player in the world’s resource market, is proceeding with resource tax reform. Resource tax, one of the local taxes in China, was established in 1984 to improve absurdity of the profit distribution among resource companies. Then ...

      China, an important player in the world’s resource market, is proceeding with resource tax reform. Resource tax, one of the local taxes in China, was established in 1984 to improve absurdity of the profit distribution among resource companies. Then due to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society, the purpose of resource tax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the following: securement of local finance, development and efficient use of resources,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etc.
      In this paper, we analyzed how much resource tax as local tax i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local taxation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We concluded,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that Chinese resource tax is not the suitable kind for local taxation. In order to accomplish its purpose, re-establishment of resource tax is required, and further actions are required for the re-establishment to take place.
      First, on the basis of the local taxation principle, when resource tax is taxed for the purpose of anti-environment pollution, it meets the benefit principle, and thus, it is suitable for local tax. Resource tax is suitable for local tax, because it can realize the benefit principle of local taxation. Second, resource tax is appropriate for central tax when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rational development and use of resources. To increase rational development and use of resources, one of the better ways is to reduce taxation on the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energy, rather than plainly increasing tax. As a result, central tax is more suitable than local tax in this case. Third, resources are owned by the state, in other words, publicly owned, so shared tax is appropriate in this case to secure local budge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중국의 광물자원 현황
      • Ⅲ. 중국의 자원세 주요 내용
      • Ⅳ. 중국의 자원세 평가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중국의 광물자원 현황
      • Ⅲ. 중국의 자원세 주요 내용
      • Ⅳ. 중국의 자원세 평가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복문수, "지방세 원칙에 입각한 지방세의 적합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재산과세, 소득과세, 소비과세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1 (21): 149-173, 2014

      2 유호림, "중국세법" 세학사 2011

      3 신금미, "중국 토지 공유제하에서 부동산 보유세 징수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조세협회 31 (31): 215-251, 2015

      4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주요 자원보유국 자원세 현황 및 시사점" 2011

      5 전동훈, "조세경제학" 무역경영사 2005

      6 정기환, "사회주의 국가의 농업개혁: 러시아 중국 및 동독의 사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2

      7 김경환, "맨큐의 경제학" 교보문고 2005

      8 关于实施稀土, "钼资源税从价计征改革的通知"

      9 杨建, "资源税改革对西部地区经济发展的影响研究" 云南省社会科学院 5 : 2013

      10 林炳豪, "资源税对区域财政收入差距影响的实证分析" 哲学社会科学版 17 : 2014

      1 복문수, "지방세 원칙에 입각한 지방세의 적합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재산과세, 소득과세, 소비과세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1 (21): 149-173, 2014

      2 유호림, "중국세법" 세학사 2011

      3 신금미, "중국 토지 공유제하에서 부동산 보유세 징수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조세협회 31 (31): 215-251, 2015

      4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주요 자원보유국 자원세 현황 및 시사점" 2011

      5 전동훈, "조세경제학" 무역경영사 2005

      6 정기환, "사회주의 국가의 농업개혁: 러시아 중국 및 동독의 사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2

      7 김경환, "맨큐의 경제학" 교보문고 2005

      8 关于实施稀土, "钼资源税从价计征改革的通知"

      9 杨建, "资源税改革对西部地区经济发展的影响研究" 云南省社会科学院 5 : 2013

      10 林炳豪, "资源税对区域财政收入差距影响的实证分析" 哲学社会科学版 17 : 2014

      11 王京诚, "资源税与我国地区经济增长关系检验" 中国商业 联合会·中国商业经济学会, 28 : 2014

      12 "有关问题的通知"

      13 刘佐, "新中国税制60年" 中国财政经济出版社 2009

      14 杨树琪, "我国资源税定位与税收制度的匹配性研究" 云南财经大学财税研究所 157 : 2012

      15 孙伟, "我国资源税之环保效应实证研究" 中国生产力学会·山 西省生产力学会·山西省政府经济研究中心 12 : 2014

      16 张可云, "引入资源税的区域财政收入差距动态变化分析" 北京行政学院 4 : 2013

      17 "开采海洋石油资源缴纳矿区使用费的规定"

      18 关于调整原油, "天然气资源税有关政策的通知"

      19 潘颖, "基于生态文明的我国资源税改革问题研究" 云南教育出版社有限责任公司 271 : 2013

      20 "国务院关税税则委员会关于调整部分产品出口关税的通知"

      21 "国务院关于外商投资企业和外国企业适用增值税、消费税、营业税等税收暂行条例"

      22 贾洁蕊, "发挥资源税在河南省地方税收体系中的作用" 河南商业高等专科学校 27 (27): 2014

      23 "关于实施煤炭资源税改革的通知"

      24 "中外合作开采陆上石油资源缴纳矿区使用费暂行规定"

      25 "中国统计年鉴 2011-2014"

      26 马茁飞, "中国国土资源经济, 7" 中华人民共和国国土 资源部 2012

      27 "中华人民共和国资源税条例(草案)"

      28 "中华人民共和国资源税暂行条例实施细则"

      29 "中华人民共和国资源税暂行条例"

      30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5"

      31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15"

      32 "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털"

      33 中华人民共和国国土资源部, "2014中国国土资源公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8 0.819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