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주 노동자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for an Immigrant Work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99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ecent employment statics of secondary industries, the ratio of immigrant workers has increased. Many foreign workers immigrated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EPS) govern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owever, Korean educati...

      In the recent employment statics of secondary industries, the ratio of immigrant workers has increased. Many foreign workers immigrated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EPS) govern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owever,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 workers is inadequate because of lack of specialized agencies undertaking educational and systematic reforms. Also, little research concerning immigrant workers has been conduc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is actually help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working life of these immigran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is curriculum, an analysis of immigrant workers’ needs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as performed using an inside and outside situation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achievement standards are discussed in comparison to TOPIK’s standards. By applying a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learning contents are dealt with.
      By outlin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is study provides teachers with a model of designing customized clas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2008

      2 조용진, "직무분석을 활용한 외국인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연구 : 제조업 공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 Do Thi Thu, "이주노동자의 여가생활과 그 제약요인 : 경기도 도시지역의 베트남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4 최혜진,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5 백정숙, "이주 노동자의 여가제약요인과 여가행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8 (18): 243-259, 2006

      6 김재욱, "이주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정책에 대한 소고" 국립국어원 22 (22): 2012

      7 조항록,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실제와 과제-한국어 교육 정책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언어학회 16 (16): 299-316, 2008

      8 권미정, "수업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서의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에 대하여" 이중언어학회 (18) : 1-46, 2001

      9 서혁,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 인간학연구소 (12) : 57-92, 2007

      10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0

      1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2008

      2 조용진, "직무분석을 활용한 외국인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연구 : 제조업 공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 Do Thi Thu, "이주노동자의 여가생활과 그 제약요인 : 경기도 도시지역의 베트남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0

      4 최혜진,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1

      5 백정숙, "이주 노동자의 여가제약요인과 여가행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8 (18): 243-259, 2006

      6 김재욱, "이주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정책에 대한 소고" 국립국어원 22 (22): 2012

      7 조항록,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의 실제와 과제-한국어 교육 정책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언어학회 16 (16): 299-316, 2008

      8 권미정, "수업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서의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에 대하여" 이중언어학회 (18) : 1-46, 2001

      9 서혁,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지원 방안" 인간학연구소 (12) : 57-92, 2007

      10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0

      11 심재명, "국내이주 외국인 근로자들의 여가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339-357, 2009

      12 고경숙,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 개발의 실제 - 초급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6 (6): 1-26, 2010

      13 김대현,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2010

      14 Nunan, D., "Second Language Teaching & Learning" Heinle & Heinle Publishers 1999

      15 Skilbeck, M.,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Harper & Row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7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