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중언어 현상과 고전문학의 듣기·말하기·읽기·쓰기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d the diglossia phenomena in Hyangga(향가), chinese poetry(한시), chinese classic novel(한문소설), korean classic novel(한글소설), Gasa(가사), Sijo(시조), Yadam(야담), anecdote(일화), and joke. Hyang...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d the diglossia phenomena in Hyangga(향가), chinese poetry(한시), chinese classic novel(한문소설), korean classic novel(한글소설), Gasa(가사), Sijo(시조), Yadam(야담), anecdote(일화), and joke.
      Hyangga was created through recitation. To record the recited works of Hyangga, people of Silla dynasty devised Hyangchal. Hyangchal made it possible to record every syllables of the works of Hyangga. Hyangga written by Hyangchal and chinese poetry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proves that the diglossia existed in the Silla dynasty.
      I also argue that the diglossia existed in the writings of Sadaebu. Sadaebu were able to use chinese characters easily and comfortably. So they wrote chinese poetry to express their own emotion. But they also wrote Gasa and Sijo in korean. Jeongcheol and Lee Whang were representative writers. The reason why they wrote Gasa and Sijo was not simple. First of all, they wrote them for the purpose of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writers and their low class readers. Korean language was the only media which enabled that kind of communication. So sadaebu had to choose the korean language genre, Gasa and Sijo.
      Sadaebu also created the chinese classic novel. For the low class people and women who could not read it, the chinese classic novel had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There were two ways of reading the korean classic novel. First, reading alone without making any sound. Second, a reciter reads loudly and interestingly, the audience listen to it and respond. In Chosun dynasty, the latter was dominant circumstance.
      In the case of Yadam, the integration between speaking, listening, hearing and writing occurred. To explain the diglossia in korean classic literature, we will have to focus on the case of Yadam and korean classic novel.
      In the cases of anecdote and joke, the diglossia was used to explore artistic possibilities of wor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향가의 구송(口誦) 창작과 기록
      • 3. 가사 및 시조 갈래의 선택과 쓰기
      • 4. 소설의 쓰기와 번역, 읽기와 듣기
      • 5. 야담의 말하기 듣기 읽기
      • 1. 머리말
      • 2. 향가의 구송(口誦) 창작과 기록
      • 3. 가사 및 시조 갈래의 선택과 쓰기
      • 4. 소설의 쓰기와 번역, 읽기와 듣기
      • 5. 야담의 말하기 듣기 읽기
      • 6. 일상에서의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 듣기와 일화(逸話) · 소화(笑話) 쓰기
      • 7. 결론 - 고전문학의 이중언어 현상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만주, "흠영 6"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7

      2 정명기, "한국재담자료집성 1,2.3" 보고사 1-1050, 2009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1-405, 2005

      4 유탁일, "한국고소설비평자료집성" 아세아문화사 1-602, 1994

      5 김병국, "한국 전원문학의 전통과 그 현대적 변이 양상"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7 : 19-47, 1986

      6 정출헌, "표기문자의 전환에 따른 고전소설 미학의 변이양상 연구 16~17세기 고전소설의 문학사회학적 지평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23 : 166-200, 2003

      7 정운채, "퇴계한시연구" 서울대 1987

      8 김석회, "존재 위백규 문학 연구" 이회문화사 1-369, 1995

      9 안대회, "조선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4) : 203-232, 2006

      10 이지하, "조선후기 여성의 어문생활과 고전소설" 한국고소설학회 (26) : 303-331, 2009

      1 유만주, "흠영 6"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7

      2 정명기, "한국재담자료집성 1,2.3" 보고사 1-1050, 2009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1-405, 2005

      4 유탁일, "한국고소설비평자료집성" 아세아문화사 1-602, 1994

      5 김병국, "한국 전원문학의 전통과 그 현대적 변이 양상"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7 : 19-47, 1986

      6 정출헌, "표기문자의 전환에 따른 고전소설 미학의 변이양상 연구 16~17세기 고전소설의 문학사회학적 지평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23 : 166-200, 2003

      7 정운채, "퇴계한시연구" 서울대 1987

      8 김석회, "존재 위백규 문학 연구" 이회문화사 1-369, 1995

      9 안대회, "조선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4) : 203-232, 2006

      10 이지하, "조선후기 여성의 어문생활과 고전소설" 한국고소설학회 (26) : 303-331, 2009

      11 최인학, "조선조말 구전설화집" 박이정 1-274, 1999

      12 길진숙, "조선전기 시가예술론의 형성과 전개" 소명 1-346, 2002

      13 이강옥, "조선시대 일화 연구" 태학사 1-412, 1998

      14 이종묵, "조선시대 여성과 아동의 한시 향유와 이중언어체계(Diaglosia)" 진단학회 (104) : 179-208, 2007

      15 김슬옹, "조선시대 언문 사용의 제도적 연구" 한국문화사 1-332, 2005

      16 노상래, "일제 말기 소설을 통해 본 일본어 글쓰기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27) : 1-15, 2005

      17 노상래, "이중어 소설 연구 -<국민문학> 소재 비친일 일본어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86) : 307-339, 2004

      18 이강옥, "이중 언어 현상으로 본 18·19세기 야담의 구연·기록·번역" 한국고전문학회 (32) : 333-372, 2007

      19 이덕무, "은애전(銀愛傳) in : 아정유고(雅亭遺稿)3 in : 청장관전서 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20 임주탁, "연시조의 발생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0

      21 "송강집" 민족문화추진회 1-203,

      22 최규수, "송강 정철 시가의 수용사적 탐색" 월인 1-374, 2002

      23 최영년, "속악유희" 정음사 1-188, 1986

      24 "삼국유사" 동국문화사 1-468, 1965

      25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370, 1994

      26 이강옥, "말이 없으면 닭을 타고 가지" 학고재 1-319, 1999

      27 남부진, "내선결혼의 문화와 문학-식민지주의/ 문화연구/ 지역문학" 19-26, 2009

      28 이강옥, "김해 여성과 이학규의 시 세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0 (0): 107-148, 2006

      29 조수삼, "기이(紀異) in : 추재집(秋齋集) 7" 1-592, 1996

      30 김병국, "구운몽" 서울대학교 출판부 1-464, 2007

      31 정규복, "구운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541, 1996

      32 김동욱, "경인고소설판각본전집 제1책" 1-594,

      33 김춘택, "飜諺南征記引 in : 사씨남정기" 태학사 1999

      34 김상숙, "飜思美人曲幷序 in : 松江別集追錄 권1 in : 송강전집"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64

      35 李鈺, "諺解西廂記序 in : 서상기" 일지사 1974

      36 정길수, "『구운몽』 原典 재론" 민족문화연구원 (50) : 47-83, 2009

      37 정소연, "<龍飛御天歌>와 <月印千江之曲> 비교연구 -양층언어현상(Diglossia)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3) : 187-222, 2009

      38 정출헌, "<최고운전>을 통해 읽는 초기 고전소설사의 한 국면-작품의 형성과정과 표기문자의 전환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14 : 2-64, 2002

      39 권미숙, "20세기 중반 고전소설의 향유 양상-경북 북부 지역 농촌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08

      40 김준형, "19세기말~20세기초 야담의 전개 양상" 30-41, 2005

      41 고순희, "19세기 중엽 상층 사대부의 가사 장착" 국어국문학회 (149) : 109-13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