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冊板의 현황과 특징 =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54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판의 현황과 특징을 더욱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규장각 서고에 있는 책판 실물에 대한 조사와 아울러, 18~19세기 책판 목록들과 규장각 소장 책판을 활용한 ...

      본고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판의 현황과 특징을 더욱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규장각 서고에 있는 책판 실물에 대한 조사와 아울러, 18~19세기 책판 목록들과 규장각 소장 책판을 활용한 인출본에 대한 분석 등을 병행하였다. 책판의 실물 조사 결과 간행기관(內閣, 春坊, 芸閣, 嶺營, 寧邊府 등) 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책판의 외형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부 刊記의 미확인으로 부족했던 간행 정보에 대한 보완이 가능했다. 책판 목록과의 대조를 통해 규장각 소장 책판의 간행처들이 동일 서적의 책판들을 장기간에 걸쳐 보관해 왔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전국적인 범위의 책판 관리 체계를 부분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었다. 인출본에 대한 분석은 규장각 소장 도서에 국한하였는데, 인출본에서 확인되는 印記와 內賜記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중앙 관서에서 간행한 책판의 인출본은 주로 중앙정부에서 수집되어 활용된 도서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지방 책판의 인출본은 개인 소장본이 많았지만, 중앙 관서의 수요를 위해서 활용되는 비중이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규장각 소장 책판은 여러 기준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는 19세기 순조~고종대와 18세기 영조대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대체로 경전, 성리서, 역사서, 학습서 등 중앙정부와 왕실의 講學을 위한 책들이고, 후자는 국왕의 정치적 의지나 교훈을 담은 御製書라는 점에서 내용상으로 구별된다. 규장각 소장 책판의 간행처와 시기는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지만, 중앙과 外方 사이의 통합적인 체계 속에서 책판의 간행과 인출, 보급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양상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근호, "조선후기 국왕 御製類의 의미와 연구 동향" 조선시대사학회 (79) : 187-210, 2016

      2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3 옥영정, "조선시대 完營의 인쇄문화에 대한 고찰" 한국서지학회 (50) : 433-470, 2011

      4 최경훈, "조선시대 原州 지역의 인쇄 문화 연구" 한국서지학회1 (40) : 197-240, 2012

      5 윤봉택, "제주지방의 조선시대 출판문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6 홍성덕, "전주향교 완영책판(完營冊板)보존현황 및 활용방안"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5) : 2005

      7 김시덕, "전쟁의 문헌학: 15~20세기 동중국해 연안 지역의 국제 전쟁과 문헌의 형성․유통 과정 연구" 열린책들 2017

      8 조계영, "영조대 『璿源系譜紀略』의 수정과 목판 간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0) : 225-254, 2010

      9 "승정원일기" 국사편찬위원회

      10 남권희, "북한산 태고사 수장 책판과 관련기록 연구" 한국서지학회 (58) : 317-352, 2014

      1 이근호, "조선후기 국왕 御製類의 의미와 연구 동향" 조선시대사학회 (79) : 187-210, 2016

      2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3 옥영정, "조선시대 完營의 인쇄문화에 대한 고찰" 한국서지학회 (50) : 433-470, 2011

      4 최경훈, "조선시대 原州 지역의 인쇄 문화 연구" 한국서지학회1 (40) : 197-240, 2012

      5 윤봉택, "제주지방의 조선시대 출판문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6 홍성덕, "전주향교 완영책판(完營冊板)보존현황 및 활용방안"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5) : 2005

      7 김시덕, "전쟁의 문헌학: 15~20세기 동중국해 연안 지역의 국제 전쟁과 문헌의 형성․유통 과정 연구" 열린책들 2017

      8 조계영, "영조대 『璿源系譜紀略』의 수정과 목판 간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0) : 225-254, 2010

      9 "승정원일기" 국사편찬위원회

      10 남권희, "북한산 태고사 수장 책판과 관련기록 연구" 한국서지학회 (58) : 317-352, 2014

      11 남권희, "목판과 활자 인쇄를 통해본 전통시대 지식과 정보의 소통" 사회과학연구원 6 (6): 141-165, 2013

      12 한국국학진흥원 목판연구소, "동아시아 목판문화의 전통과 계승" 한국국학진흥원 2016

      13 金南基, "규장각 소장 책판의 현황과 가치" 韓國古典籍保存協議會 2 : 2006

      14 "鏤板考"

      15 "諸道冊板錄"

      16 金時德, "海を渡る史書ー東アジアの「通鑑" 勉誠出版 2016

      17 신정엽, "朝鮮時代 간행된 小學 諺解本 연구" 한국서지학회 (44) : 409-448, 2009

      18 김윤제, "奎章閣所藏冊板의 내용과 소장처 분석" 태동고전연구소 32 : 239-269, 2014

      19 "奎章閣所藏冊板目錄"

      20 "各道冊板目錄"

      21 "古冊板有處攷"

      22 金時德, "再発見された『新刊東国通鑑』の板本から近世軍記を考える" 岩波書店 3,4 : 2015

      23 玉泳晸, "侍講院의 書籍編纂과 刊行記錄 考察" 서지학회 18 : 1999

      24 류탁일, "「책판」의 연구영역 설정과 그 과제" 한국국학진흥원 6 : 2005

      25 윤인현, "「선원계보기략」숙종39년본고" 한국서지학회 (33) : 251-276, 2006

      26 尹仁鉉, "「璿源系譜紀略」의 開刊過程과 始刊本 分析 - 「列聖世系」를 중심으로-" 서지학회 14 : 1997

      27 윤인현, "「璿源系譜紀略」 刊布奉安의 順序 定型考 - 肅宗朝와 景宗朝를 中心으로 -" 한국서지학회 (55) : 109-141, 2013

      28 김상호, "「國朝寶鑑」 1782年 板本의 刻手 硏究" 한국서지학회 (44) : 193-209, 2009

      2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규장각문화재보존수리사업 보고서: 代替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85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