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Dielectric Behavior of Steatite Bo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8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粘土鑛物과 滑石과의 關係에 對한 正確한 報告가 거의 없어. 이에 對한 磁器化溫度範圍 및 電氣的絶緣性과 粘土含量의 關係를 究明하였다. 스테아타이트素地의 製造에 使用한 原料는 國産 ...

      粘土鑛物과 滑石과의 關係에 對한 正確한 報告가 거의 없어. 이에 對한 磁器化溫度範圍 및 電氣的絶緣性과 粘土含量의 關係를 究明하였다. 스테아타이트素地의 製造에 使用한 原料는 國産 滑石, 粘土, 長石, 硅石等이며, 吸水率, 燒成線收縮率을 測定 檢討하고, 또 磁器化된 素地들의 電氣的絶緣性을 測定하였다. 그 結果 磁器化溫度範圍는 재겔錐 1乃至 3番內에 있었으며 $MgCO_3$를 添加함에 따라 燒成收縮은 크게 일어났으나, 粘土含量이 20% 以下였을 때는 磁器化溫度範圍가 增大되었다. 耐熱性은 全般的으로 良好하였으며 粘土量을 增加시킴에 따라 膨脹率, 誘電體力率, 絶線耐性은 增加하고, 體積固有抵抗은 減少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review of the literature is cited. Little exact information exists on the relation between clay materials and talc. The raw materials which are used in making steatite body consist of talc, clay, feldspar, and flint mined in Korea. The percentage ab...

      A review of the literature is cited. Little exact information exists on the relation between clay materials and talc. The raw materials which are used in making steatite body consist of talc, clay, feldspar, and flint mined in Korea. The percentage absorption and linear burning shrinkage are measured and then discussed. The vitrified bodies were used in 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ies. The method of measurements for dielectric properties are described too.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