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 전통의약품’인 <이명래고약>의 역사 = History of Yi Myongrae s Semi-solid Ointment (Yi Myongrae Goy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6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ver a hundred-year long history of Yi Myongrae s semi-solid ointment (Yi Myongrae Goyak??) was reviewed. Yi Myongrae Goyak??, which one would consider the first Korean traditional drug of modern times, was rooted on Seong Il-ron ( 성일론 ...

      Over a hundred-year long history of Yi Myongrae s semi-solid ointment (Yi Myongrae Goyak??) was reviewed.
      Yi Myongrae Goyak??, which one would consider the first Korean traditional drug of modern times, was rooted on Seong Il-ron ( 성일론 ) ointment developed by Emil Devise (1871~1933, Korean name is Seong Il-ron), a Catholic priest of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ho served over thirty-five years from 1895 at Gonseri Church, Asan, Chungcheong Nam-do.
      Devise s ointment made with his own special formular described in both Latin and Chinese was very helpful to many Korean suffered from pyogenic skin diseases. A teenage errand, Yi Myongrae (1890~1952) at Gonseri Church was apprenticed several years to Devise s special formular of herbal medicine and eventually open a cure-house named Yi Myongrae Goyak house at Gonseri in 1906. Since then, Yi Myongrae Goyak?? became very popular for treating pyogenic skin disease such as furuncle, carbuncle, impetigo, ecthyma, etc and gained reputation as the cure-all (panacea) of various purulent skin disease among Korean people even in 1980 s. In 1920, Yi Myongrae Goyak house?? was relocated at Joongrim-dong, near Yakhyun Catholic Church in Seoul. Yi Myongrae Goyak house?? became a family business succeeding to son-in law, Lee Kwangjin (1911~1996). A short time after National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y, Yi Myongrae Goyak house?? commenced Chungjeongro period, by running the Goyak house??, Myongrae Oriental Clinic at Chungjeongro 3-ga 331 upto 1950 s, at Chungjeongro 375-5 during 1960 s-1978 and relocated at Chungjeong-ro 61-1 since 1978. These sites at a junction of three busy streets were just a few steps apart from each other. Yi Myongrae Goyak?? has been succeeded into two lines:
      one was Original Yi Myongrae Goyak?? house, Myongrae Oriental Clinic run by doctors of oriental medicine, Lee Kwangjin along with Im Jae-hyung (1944~) who is Lee s son-in law. This Myongrae Oriental Clinic closed currently is looking for a successor. The other line, Myongrae Pharmaceutical Co. at Lipjong-dong and Kwanchul-dong in Seoul operated from 1956 to 2002, by Yi Yongjae (1921~2009), a daughter of Yi Myongrae. Myongrae Pharmaceutical Co. had manufactured massively Yi Myongrae Goyak??, and distributed its product through local pharmacy. However, the full-right on Yi Myongrae Goyak??, owned by Myongrae Pharmaceutical Co. was transferred in a year of 2005 to Mr. Hwnag Kyu-Jang who has been a technical staff of Myongrae Pharmaceutical Co. for many years. Hwang had been in charge of production of Yi Myongrae Goyak?? in cooperative with GP Pharmaceutical Co. Currently Mr Hwang is collaborating with JungWoo Pharmaceutical c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글
      • 조선시대 종기의 피해 사례와 개화기의 위생보건 환경
      • ‘ 근대 전통 약품 ’ 인 < 이명래고약 > 의 탄생
      • 이명래 고약의 변천사
      • 맺음글
      • 머리글
      • 조선시대 종기의 피해 사례와 개화기의 위생보건 환경
      • ‘ 근대 전통 약품 ’ 인 < 이명래고약 > 의 탄생
      • 이명래 고약의 변천사
      • 맺음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순, "항생제사용실태조사 및 평가 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미생물학과, 식품의약안전처 2006

      2 와그너, E, "한말 외국인기록 14 : 한국의 아동생활(Children of Korea)" 집문당 1911

      3 이유철, "한눈에 알 수 있는 병원미생물학" E public 2009

      4 맹광호, "한국의 공중보건 1세기" 8 : 1999

      5 주정아, "한국교회 선교의 뿌리를 찾아서] 복음화의 구심점, 본당-대전교구 공세리본당"

      6 비숍,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살림출판사 1994

      7 "조선왕조실록"

      8 방성혜, "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시대의 창 2012

      9 황상익, "인물로 보는 의학의 역사" 여문각 2004

      10 기창덕, "우리나라 여명기(1876~1945)의 피부과학" 6 : 1997

      1 김남순, "항생제사용실태조사 및 평가 보고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미생물학과, 식품의약안전처 2006

      2 와그너, E, "한말 외국인기록 14 : 한국의 아동생활(Children of Korea)" 집문당 1911

      3 이유철, "한눈에 알 수 있는 병원미생물학" E public 2009

      4 맹광호, "한국의 공중보건 1세기" 8 : 1999

      5 주정아, "한국교회 선교의 뿌리를 찾아서] 복음화의 구심점, 본당-대전교구 공세리본당"

      6 비숍, "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살림출판사 1994

      7 "조선왕조실록"

      8 방성혜, "조선, 종기와 사투를 벌이다" 시대의 창 2012

      9 황상익, "인물로 보는 의학의 역사" 여문각 2004

      10 기창덕, "우리나라 여명기(1876~1945)의 피부과학" 6 : 1997

      11 천주교 중림동 교회, "약현본당 백년사(1891~1991)"

      12 "승정원일기"

      13 언더우드, "상투의 나라(Fifteen Years among the Top-Knots or Life in Korea)" American Tract Society 1904

      14 안종주, "발굴 한국현대사 인물" 한겨례신문사 1990

      15 한국 샬트르 성바오로 수도회 85년사 편찬위원회, "바오로 뜰안의 애환 85년" 카토릭 출판사 1973

      16 "김남일 교수의 유의열전 144, 任彦國(조선 명종 년간) 조선 외과술의수준을 한 단계 높인 儒醫"

      17 천주교 대전교구 공세리 교회, "공세리 본당 100년사(1895.5.6.~199.5.5)"

      18 박상영, "『治腫指南』 硏究" 한국고전번역원 32 (32): 339-363, 2008

      19 "WHO Global Strategy for Containmen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20 Lee, J. C, "The Instistutionalization of Public Hygienes in Korea, 1876~~1901" 4 : 1995

      21 Levy, S, "The Antibiotic Paradox: How miracle drugs are destroying the miracle" Plenum press 1992

      22 Kim S. H, "Changing trends in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rotype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s in Asian countries: an Asian Network for Surveillance of Resistant Pathogens (ANSORP) Study" 56 : 2012

      23 이기창, "100년을 꿈꾸는노포, 한국의 최고 가게" 흐름 출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18 0.403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