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육군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elf-Growth Group Counseling on adjustment in military of army soldi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59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육군 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oooo부대에서 의뢰받은 병사들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육군 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oooo부대에서 의뢰받은 병사들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으로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 각 회기별 90분씩 매주 2회 6주간에 걸쳐 제공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군 생활적응은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 U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전·후의 효과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윌콕슨 W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육군 병사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군 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rmy soldiers who have adjustment in military. The Program was taken place from November 2009 to December 2009, twice a week, total of 12 times at the Milit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rmy soldiers who have adjustment in military. The Program was taken place from November 2009 to December 2009, twice a week, total of 12 times at the Military Group Consulting Room. Each class endured 90 minutes. Stress scale, Self-esteem scale, Adjustment in military scale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aserch used the Chi-Square test for homogeneity tes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program used the Wilcoxon W test for effec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Stress and in increasing self esteem, adjustment in military. In addition, the overrall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found to be different across three stages of the program This experiment provides significance by offer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rogram through self-growth group counseling within rapidly changing and harshly limited in milit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구신당종합사회복지관, "해피투게더 집단상담 프로그램. in: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자료집"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6

      2 서혜석, "해군 신세대 병사의 진로결정수준과 자기효능감이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2008

      3 김 렬, "통계분석의 이해 및 활용" 도서출판 대명 2008

      4 이경진, "청소년자살의 고위험집단과 저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카톨릭대학교 2003

      5 대방종합사회복지관, "지역사회 의무경찰의 군 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한 군사회복지모델개발 project. in: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자료집"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6

      6 김미란,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학교 부적응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2006

      7 김홍배,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자아개념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1995

      8 강명자,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2005

      9 김대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2006

      10 김종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2 (22): 123-140, 2010

      1 대구신당종합사회복지관, "해피투게더 집단상담 프로그램. in: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자료집"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6

      2 서혜석, "해군 신세대 병사의 진로결정수준과 자기효능감이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2008

      3 김 렬, "통계분석의 이해 및 활용" 도서출판 대명 2008

      4 이경진, "청소년자살의 고위험집단과 저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카톨릭대학교 2003

      5 대방종합사회복지관, "지역사회 의무경찰의 군 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한 군사회복지모델개발 project. in: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사업자료집"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6

      6 김미란,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학교 부적응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2006

      7 김홍배,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자아개념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1995

      8 강명자,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2005

      9 김대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2006

      10 김종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2 (22): 123-140, 2010

      11 이영선, "자기성장 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2005

      12 이성자,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역기능적인 태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2003

      13 이경나,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1997

      14 임영태, "육군신세대 병사 군복무 동기부여 방안" 경북대학교 2008

      15 권태은, "육군사고의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03

      16 서혜석, "신세대병사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327-332, 2006

      17 손희락, "신세대 장병의 스트레스가 부대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18 서혜석, "신세대 병사의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원 16 (16): 33-49, 2008

      19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육군 oo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4) : 64-93, 2006

      20 서경원, "신세대 병사의 자살사고 실태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2007

      21 서혜석, "신세대 병사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16 (16): 56-74, 2010

      22 문봉진, "신세대 병사의 군 복무 부적응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2005

      23 김진휘, "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2002

      24 강정실, "부끄러움 극복훈련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1996

      25 박선하, "병사들의 적응과 관련된 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1997

      26 권영응, "병사들의 군복무기간과 자아개념 및 군 생활 적응 간의 관계" 강릉대학교 2006

      27 천행환,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1998

      28 박민아,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2002

      29 서혜석, "대학생의 대인관계변화 향상을 위한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7) : 35-56, 2005

      30 강기정,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대한가정학회 41 (41): 171-187, 2003

      31 서혜석, "군사회복지사 역할에 있어서 상담적 접근에 관한 고찰-신세대 병사들을 중심으로" 36-50, 2006

      32 서혜석, "군사회복지 이론과 실천" 양서원 2008

      33 김동기, "군 조직 내 사회복지사 필요성과 역할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2004

      34 박미은, "군 사회복지사 제도의 입법화 방향과 쟁점" 5-20, 2005

      35 정미경, "군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453-483, 2009

      36 박상래, "공군병사들의 MBTI 성격유형과 군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공군사관학교 2003

      37 Vroom, V. H., "Work Motivation" Wiley 1964

      38 Coving, M. v., "Task-oriented versus competitive learning structures: Motivational and performance consequences" 76 (76): 1038-1050, 1994

      39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26): 207-231, 1991

      40 Weiner, H. H., "Group-level and individual-level mediators of relationship between soldier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and ance motivation" 2910 : 1990

      41 Mahler, M. S., "Group counseling in schools" Houghton Mifflin 1969

      42 Thompson P. H.,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John Wiley & Son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6-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ete for Social Science Studies ->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10-06-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0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