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이주 여성과 한국 여성의 출산력에 관한 연구: 출신 국가별 출산력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ertility Differentials among Korean Wives and Foreign Wives: Theorizing and Testing Effect Heterogeneities by Countries of Orig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65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comes up with theoretical hypotheses about fertility differentials among Korean wives and foreign wives and, more specifically, about effect heterogeneities by their countries of origin. We formulated those hypotheses based on the mix of ...

      This article comes up with theoretical hypotheses about fertility differentials among Korean wives and foreign wives and, more specifically, about effect heterogeneities by their countries of origin. We formulated those hypotheses based on the mix of the immigrant fertility literature and the assortative mating literature, espousing the viewpoint of fertility from a couple perspective. Those hypotheses are tested by fitting data from the 2012 National Fertility Survey and the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and discrete-time hazard models. We find that Korean-Chinese and Chinese wives exhibited lower fertility hazards for the first childbirth than Korean wives while Vietnamese and Filipina wives registered similar levels with Korean wives. Regarding the second childbirth, only Korean-Chinese wives showed lower fertility hazards than Korean wives. These empirical findings support the theoretical intersection between the socialization hypothesis from the immigrant fertility literature and the deficit hypothesis from the assortative mating literature. We discu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and lay out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이주자 출산력 문헌과 동질혼 문헌의 이론적 자원들을 이용하여 결혼이주 여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의 출산율에 대한 가설을 정립하고, 2012년 출산력조사와 다문화조사를 분석...

      이 글에서는 이주자 출산력 문헌과 동질혼 문헌의 이론적 자원들을 이용하여 결혼이주 여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의 출산율에 대한 가설을 정립하고, 2012년 출산력조사와 다문화조사를 분석하여 이들 가설을 검정하였다. 다문화조사로부터 조선족 출신 여성, 조선족을 제외한 중국 출신 여성, 베트남 출신 여성, 필리핀 출신 여성을 추출하여 출산력조사로부터 얻은 한국 여성과 첫째 자녀 및 둘째 자녀의 출산 위험(hazard)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녀 출산 위험의 경우 베트남 출신 여성과 필리핀 출신 여성은 한국 여성과 유사한 출산 위험을 보였으나 조선족 출신 여성과 중국 출신 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은 출산 위험을 보였다. 둘째 자녀 출산 위험을 분석하면, 베트남과 필리핀 출신 여성은 한국 여성과 그리 다르지 않은 출산 위험을 보였으며, 중국 출신과 조선족 출신 여성은 한국 여성보다 낮은 출산 위험을 기록하였으나 후자의 경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결혼이주 여성의 출산력은 이주자 출산력 이론 중 사회화 가설과 동질혼 이론 중 부족가설을 교차하여 설명할 때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식, "혼인이주자가족과 한국인가족의 출산력 비교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27-454, 2015

      2 이명진, "한국사회의 선택혼 : 시기별 추이와 국제비교" 34 (34): 297-323, 2000

      3 인민넷, "조선족 이제는 도시민족, 10년간 약 10만명 감소"

      4 김현식, "자산과 소득에 따른 차별출산력 연구" 한국인구학회 40 (40): 51-78, 2017

      5 유삼현, "이주여성의 출산력 수준: 얽힌 실타래 풀기" 한국인구학회 40 (40): 29-55, 2017

      6 통계청, "외국인과의 혼인"

      7 유정균, "외국인 아내와 한국인 아내의 출산수준 비교:합계출산율과 출산간격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8 (38): 49-73, 2015

      8 김두섭,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회 31 (31): 1-26, 2008

      9 김두섭, "연변 조선족사회의 최근 변화 - 사회인구학적 접근" 한국인구학회 26 (26): 111-145, 2003

      10 남부현,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131-154, 2013

      1 김현식, "혼인이주자가족과 한국인가족의 출산력 비교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27-454, 2015

      2 이명진, "한국사회의 선택혼 : 시기별 추이와 국제비교" 34 (34): 297-323, 2000

      3 인민넷, "조선족 이제는 도시민족, 10년간 약 10만명 감소"

      4 김현식, "자산과 소득에 따른 차별출산력 연구" 한국인구학회 40 (40): 51-78, 2017

      5 유삼현, "이주여성의 출산력 수준: 얽힌 실타래 풀기" 한국인구학회 40 (40): 29-55, 2017

      6 통계청, "외국인과의 혼인"

      7 유정균, "외국인 아내와 한국인 아내의 출산수준 비교:합계출산율과 출산간격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8 (38): 49-73, 2015

      8 김두섭,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회 31 (31): 1-26, 2008

      9 김두섭, "연변 조선족사회의 최근 변화 - 사회인구학적 접근" 한국인구학회 26 (26): 111-145, 2003

      10 남부현,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131-154, 2013

      11 김한곤,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출산인식 및 출산행태의 차이" 민족문화연구소 (49) : 567-595, 2011

      12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13 김현미, "‘안전한 결혼 이주’?: 몽골 여성들의 한국으로의 이주 과정과 경험" 한국여성학회 24 (24): 121-155, 2008

      14 Kim, K., "Trends and determinants of premarital conception : Love in Korea" 26 : 23-38, 2017

      15 World Bank, "Total fertility rates (births per woman)"

      16 Chung, W., "The decline of son preference in South Korea : The roles of development and public policy" 33 (33): 757-783, 2007

      17 Vatterott, A., "Socialisation or institutional context: What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birth behavior of east-west German migrants?" 31 (31): 383-415, 2015

      18 김현식, "R을 활용한 기초 통계 분석"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19 Therneau, T., "Package ‘Survival’"

      20 Therneau, T. M., "Modeling survival data: Extending the Cox model" Springer 2000

      21 Corijn, M., "It takes two to tango, doesn’t it : The influence of couple characteristics on the timing of the birth of the first child" 58 (58): 117-126, 1996

      22 Fu, V. K., "Interracial-interethnic unions and fertility in the United States" 70 (70): 783-795, 2008

      23 Adserà, A.,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International Migration, Volume 1A" North Holland 315-374, 2015

      24 Surra, C. A.,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Springer 211-232, 2013

      25 Bauer, G., "Fertility from a couple perspective : A test of competing decision rules on proceptive behaviour" 29 (29): 535-548, 2013

      26 Kim, H. S., "Fertility differentials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in South Korea" 14 (14): 43-60, 2018

      27 Abbasi-Shavazi, M. J., "Fertility and multiculturalism : Immigrant fertility in Australia" 34 (34): 215-242, 2000

      28 Kim, H-G., "Cross-Border Marriage: Global Trends and Diversi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35-278, 2012

      29 Thomson, E., "Couple childbearing desires, intentions, and births" 34 (34): 343-354, 1997

      30 Morgan, S. L., "Counterfactuals and causal inference: Methods and principles for social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1 Singer, J. D.,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2 김승권,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3 전기택,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여성가족부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