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혁신체제 전환과정에서 정부 역할과 정책대응: 한국과 핀란드 사례비교 = The Government role and Public PolicyIn the Post Catch-up Innov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3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government role and Policy confrontation in the post catch-up innovation system. Particularly, this study analysed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role and public policy in trying transformation of...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government role and Policy confrontation in the post catch-up innovation system. Particularly, this study analysed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role and public policy in trying transformation of innovation system. It made a comparison with Finland case that succeeded in system transformation to innovation driven economy. In the middle of a transition from the catch-up stage to the post catch-up stage, the old policy recipes do not work any longer. In a period of fundamental change, the state has to take the leading role in helping companies to get out of path dependency as a partner in the adventure of exploring a new development path. Particularly, there are many similarities such as creation of policy vision and agenda, policy integration to innovation, institutional structure reform, management transformation to governance, various policy experiment in the middle of innovation system transition. But real policy-making process and policy results are different. Although similarities in macro level, there are various differences in micro level and in detail analysis in separate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운 혁신체제 전환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 변화와 정책적 대응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우리나라와 핀란드 사례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와 핀...

      본 연구는 새로운 혁신체제 전환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 변화와 정책적 대응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우리나라와 핀란드 사례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와 핀란드 양국은 혁신체제 전환을 시도하면서 혁신주도형 경제 체제 구축이라는 정책 비전과 의제의 창출, 혁신을 중심으로 한 정책 통합, 정책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과 개입기제 변화, 정책 조정과 대응 기제를 강화하기 위한 행정 및 조직 체계 개편, 거버넌스로의 관리 전환, 다양한 정책 실험 시도 등 매우 유사한 정책적 대응을 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실제 정책을 추진하거나 일하는 방식은 아직도 추격국가 시대의 틀이 유지되고 있다. 특히 핀란드와 비교했을 때 전환 전반이 하향식으로 이루어지면서, 민간부문과 시민사회의 능동적인 참여가 부족했다. 이로 인해 탈추격형 혁신체제 전환을 시도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아직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혁신체제 전환의 유형과 과정" 2005

      2 "혁신정책의 범위설정과 분석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핀란드와 한국혁신정책에 대한 사례적용" 2005

      3 "추격에서 선도로: 탈추격체제의 기술혁신특성" 7 (7): 2004

      4 "주요과학기술 통계" 2006.2

      5 "시민과 함께하는 행정개선" 서울: 미래미디어 1996

      6 "모방에서 혁신으로" 서울: 시그마인사이트컴 2000

      7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2006

      8 "국가기술혁신체계(NIS) 구축방안" 2004.7

      9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발전방향 연구: 선진국 과학기술행정체제 분석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2003

      10 "강소국 국가혁신체제 연구 이슈: 10개 강소국 국가혁신체제 국제공동연구 분석" 2005

      1 "혁신체제 전환의 유형과 과정" 2005

      2 "혁신정책의 범위설정과 분석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핀란드와 한국혁신정책에 대한 사례적용" 2005

      3 "추격에서 선도로: 탈추격체제의 기술혁신특성" 7 (7): 2004

      4 "주요과학기술 통계" 2006.2

      5 "시민과 함께하는 행정개선" 서울: 미래미디어 1996

      6 "모방에서 혁신으로" 서울: 시그마인사이트컴 2000

      7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2006

      8 "국가기술혁신체계(NIS) 구축방안" 2004.7

      9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발전방향 연구: 선진국 과학기술행정체제 분석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2003

      10 "강소국 국가혁신체제 연구 이슈: 10개 강소국 국가혁신체제 국제공동연구 분석" 2005

      11 "Transformation of the Finnish innovation system: A network approach" 7 : 2001

      12 "The Specificities of Finnish Industrial Policy Challenges and Initiatives at the turn of the Century" 2005

      13 "The Finnish Model of the Information Society" Vantaa: Tummavuoren Kirjapaino Oy 17 : 2001

      14 "Technological Transitions and System Innovations" Edward Elgar 2005

      15 "System Innovation and the Transition to Sustainability" Edward Elgar 2004

      16 "Structrural Adjustment and Social Innovations: The New Challenge form Innovation Polities" 2005

      17 "Path Creation as a Process of Mindful Deviation" Helsinki: Helsinki School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2000

      18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Towards a Theory of Interactive Learning" 1992

      19 "Managing the transition to sustainable mobility" Edward Elgar 2004

      20 "Lessons from Japan" 1987

      21 "Institutions and Intercurrence: Theory Building in the Fullness of Time"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6

      22 "Institutional reform, policy paradigm, and policy discourse" Institutional Reform and Discourse 2001

      23 "History, co-evolution and economic growth" IIASA(Vienna) WP-95-76 1995

      24 "Finnish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chienstock" Edward Elgar 2004

      25 "Evaluation of the Finnish Innovation Support System"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2003

      26 "Embracing the Knowledge Economy" Edward Elgar 2004

      27 "Convergence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tics: the case of Finland" 31 : 2002

      28 "Catching up in technology entry barriers and windows of opportunity in Technical Change and Economic Theory" Pinter Publishers 1988

      29 "Bounded Socio-technical Experiments(BSTEs): higher order learning for transitions towards sustainable mobility" Edward Elgar 2004

      30 "Approaches to the State" 1984

      31 "An Evolutionary Theory of Economic Chan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