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어 있-’ 구성의 통사성과 상적 의미 = Aspectuality and Syntacticity of Constructions of ‘-go/eot 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8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called auxiliary constructions of ‘-eot it-’ and ‘-go it-’,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grammatical functions, are key issues in analyzing causes of semantic ambiguity. A new grammatical process will be proposed for the constructions o...

      The so-called auxiliary constructions of ‘-eot it-’ and ‘-go it-’,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grammatical functions, are key issues in analyzing causes of semantic ambiguity. A new grammatical process will be proposed for the constructions of ‘-eot it-’ and ‘-go it-’ on this issue and an attempt will be made to analyze the semantic structure and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Another issue will be explained through a syntactical and semantic approach about the same relative meaning of “resultive” in homonymy constructions of ‘-eot it-’ and ‘-go it-’. In this discussion,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seeing the configuration of ‘-eot it-’ and ‘-go it-’ as a combination of “adverbial” and “verb” rather than as an auxiliary verb. First, setting the scope of the meaning of events by the “process” and “results” that are presented by the constructions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Second, it can help to clearly demonstrate that the resulting ‘-eot it-’ and ‘-go it-’ constructions are in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final product would be a reasonable basis for explaining the aspectual meaning of these constructions lexically, although not grammatically. We also expect that the criteria for “process” and “result” set in the discussion will help to classify Korean verbs regarding their aspectual proper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법상(grammatical aspect) 범주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는, 이른바 보조 동사 구성인 ‘-고 있-’과 ‘-어 있-’ 구성은 상적 의미의 규명과 중의성의 원인 분 석이 주요 쟁점이다. 이 문제에 대...

      문법상(grammatical aspect) 범주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는, 이른바 보조 동사 구성인 ‘-고 있-’과 ‘-어 있-’ 구성은 상적 의미의 규명과 중의성의 원인 분 석이 주요 쟁점이다. 이 문제에 대해 ‘-고 있-’과 ‘-어 있-’ 구성에 대해 새로운 문법 처리를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미 구조를 분석하여 해결 방안을 찾으 려는 시도를 할 것이다. 또 다른 문제로 별개의 형식인 ‘-고 있-’과 ‘-어 있-’ 구 성이 ‘결과 지속’이라는 동일한 상적 의미를 갖는 문제에 대해서도 통사론적 접근과 의미론적 접근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기존의 논의와는 달리 이 논의에서는 ‘-고 있-’과 ‘-어 있-’ 구성을 ‘부사(어)와 동사가 결합한 복합동사’로 보고 어휘상(lexical aspect)을 지닌 것으로 파 악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고 있-’ 구성을 과정과 결과라고 하는 중의성 문제를 단순하게 설명할 수 있다. 둘째, ‘-고 있-’과 ‘-어 있-’의 배 타적 관계를 확연하게 드러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구성의 상적 의미가 때로는 미완결상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완결상으로 해석되기도 하 는 문제에 대한 합리적 설명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마지막은 이 구성의 상 적 의미를 문법상이 아닌 어휘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가 될 것이다. 또 이 논의에서 설정한 ‘과정’과 ‘결과’라는 의미 기준은 동사의 상적 분류에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양, "현대국어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2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인문학연구원 (52) : 75-124, 2004

      3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구조와 사건함수 '-고 있다'의 기능" 형태론 6 (6): 43-65, 2004

      4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 구조와 어휘상" 한국어학회 30 : 31-62, 2006

      5 강기진, "진행형 ‘-고 있다’의 의미" 홍익어문연구회 4 : 39-59, 1985

      6 박진호, "시제, 상, 양태" 국어학회 (60) : 289-322, 2011

      7 김천학, "상태와 상태 변화" 형태론 15 (15): 186-203, 2013

      8 김윤신, "상 보조 용언 구성 ‘-어 가다'/‘-어 오다’의 의미"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 : 57-78, 2008

      9 김윤신, "상 보조 용언 ‘-어 있다’의 의미" 한국언어학회 43 (43): 443-464, 2018

      10 김윤신, "사건 함수로서의 상 보조 용언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35 : 17-47, 2007

      1 이지양, "현대국어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2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인문학연구원 (52) : 75-124, 2004

      3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구조와 사건함수 '-고 있다'의 기능" 형태론 6 (6): 43-65, 2004

      4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 구조와 어휘상" 한국어학회 30 : 31-62, 2006

      5 강기진, "진행형 ‘-고 있다’의 의미" 홍익어문연구회 4 : 39-59, 1985

      6 박진호, "시제, 상, 양태" 국어학회 (60) : 289-322, 2011

      7 김천학, "상태와 상태 변화" 형태론 15 (15): 186-203, 2013

      8 김윤신, "상 보조 용언 구성 ‘-어 가다'/‘-어 오다’의 의미"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 : 57-78, 2008

      9 김윤신, "상 보조 용언 ‘-어 있다’의 의미" 한국언어학회 43 (43): 443-464, 2018

      10 김윤신, "사건 함수로서의 상 보조 용언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회 35 : 17-47, 2007

      11 박종후, "보조용언 ‘있다’의 결합 제약과 상적 의미 해석 - 본용언의 개념구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국어학회 (77) : 131-165, 2016

      12 이호승, "국어의 상 체계와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 국어학회 38 : 209-240, 2001

      13 김성화, "국어의 상 연구" 한신문화사 1992

      14 박덕유, "국어의 동사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5 임홍빈, "국어문법의 심층I" 593-621, 1998

      16 김천학, "現代國語 ‘있다’와 관련된 相的 呼應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111-131, 2009

      17 柳穆相, "活用體系를 통해 본 連結敍述形 語尾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5

      18 장석진, "時相의 樣相: 繼續·完了의 生成的 考察"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9 (9): 58-72, 1973

      19 김천학, "他動詞와 ‘-어 있-’의 結合에 관한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6 (46): 81-102, 2018

      20 이남순, "‘에’, ‘에서’와 ‘-어 있다’, ‘-고 있다’" 국어학회 16 : 567-595, 1987

      21 정태구, "‘-어 있다’의 의미와 논항구조" 국어학회 24 : 203-230, 1994

      22 한동완, "‘-어 있-’ 구성의 결합제약에 대하여" 형태론편집위원회 2 (2): 257-288, 2000

      23 송창선, "‘-고 있-’과 ‘-어 있-’의 기능과 의미 연구" 언어과학회 (62) : 179-204, 2012

      24 한동완, "‘-고 있-’ 구성의 중의성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5 : 215-248, 1999

      25 Dowty D, "Word meaning and Montague grammar: the semantics of verbs and times in generative semantics and in Montague’s PTQ" Reidel 1979

      26 Bohnemeyer, Jürgen, "Time relations in discourse. Evidence from a comparative approach to Yukatek Maya" Katholieke Universiteit Brabant 1998

      27 Smith, Carlotta S., "The parameter of aspect" Kluwer 1991

      28 Smith, Carlotta S., "The parameter of aspect" Kluwer 1997

      29 Tatevosov S, "The parameter of actionality" 6 : 317-401, 2002

      30 Bybee J L,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31 Bybee J L, "The creation of tense and aspect systems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13 : 51-103, 1989

      32 Bybee, Joan L., "The creation of tense and aspect systems in languages of the world" 13 : 51-103, 1989

      33 Smith, Carlotta S., "The acquisition of time talk: relations between child and adult grammars" 7 : 263-278, 1980

      34 Dahl Ö, "Tense and aspect systems" Blackwell 1985

      35 Vet, Co., "Temporal and aspectual operators in the Romance languages" 42 : 249-264, 2001

      36 Van Valin, R., "Syntax"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7 Sasse H-J, "Recent activity in the theory of aspect: accomplishments, achievements, or just non-progressive state?" 6 : 199-271, 2002

      38 Bybee, Joan L., "Morphology.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and form" John Benjamins 1985

      39 Vendler Z, "Linguistics in philosophy"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40 Smith, Carlotta S., "Aspectual categories of Navajo" 62 (62): 227-263, 1996

      41 Comrie, Bernard, "Aspect.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verbal aspect and related probl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42 신언호, "-고 있-'과 부분성(部分性)" 국어학회 (44) : 159-183, 2004

      43 양정석, "-고 있-'과 '-어 있-'의 상보성 여부 검토와 구문 규칙 기술" 한글학회 (266) : 105-137,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