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pollinaire et la sculp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41447

      • 저자
      • 발행사항

        Paris : Universite de la Sorbonne nouvelle (Paris III), 199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프랑스어

      • 주제어
      • KDC

        860 판사항(4)

      • 발행국(도시)

        프랑스

      • 형태사항

        1v.(various pagings) : ill. ; 30 cm.

      • 일반주기명

        Tome 2 : Illustration--T.p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and index

      • 소장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금세기 초엽 프랑스의 전위 예술가들에 의해 주도된 예술의 현대성을 탐구하기 위한 운동으로 일대 전환기를 살아간 시인이자 예술 비평가인 기욤 아뽈리네르 Guillaume Apollinaire ...

      본 논문은 금세기 초엽 프랑스의 전위 예술가들에 의해 주도된 예술의 현대성을 탐구하기 위한 운동으로 일대 전환기를 살아간 시인이자 예술 비평가인 기욤 아뽈리네르 Guillaume Apollinaire 의 조형예술에 관한 관점을 밝히는데그 목적이 있다. 예술에 관한 그의 관점과 단상에 관한 연구는 이미 다양한 각도에서, 특히 입체파와 그 화화예술에 관한 그의 안목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 역시 그의 예술에 관한 글을 연구 대상으로 하되 특히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는 ‘조각 평론'을 중심으로 예술에 대한 그의 생각을 탐구하여, 회화가 아닌 조각 비평가로서 시인의 위상을 최초로 정립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금세기 초엽은 예술의 현대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새로운 시대를 열고 낡은 전통에서 벗어나 예술의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이 돋보이던 시기 로, 시인이 <<혼란을 질서화 시키는 것, 그것이 창조행위이다 Ordonner un chaos, voila la creation>>라고 규정했듯이 <<전통과 창조 즉 질서의 모험의긴 투쟁 une longue querelle de la tradition et de l'invention / de l'Or-dre et de l'Aventure>>이 가속화 되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질서의 탐험을 위한 격동기에 나타난 아뽈리네르의 미학은 본질적으로 입체파예술정신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서 특이한 점은, 한 예술정심이 일단 질서 체계화되면 전통 규범화 된다는 이유로 전위 예술가들의 예술적 결과보다는 이를 위한 그들의 노력과 과정 자체를 중시하면서도, 새로움을 지향하는 예술적 고뇌라는 추상적 가치가 지니는 내적이며 창조적인 힘 - 마치 그가 우위에 두는 예술을향한 정신적인 힘은 바로 구속력을 갖는 모든 체제의 거부이며 창조행위의 우월성인 만큼 - 을 현대 예술운동에 국한시키지 않고 과거의 위대한 예술정신 에까지 포괄적으로 적용시키는 유연성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에 게 있어서 이 창조정신은 규정되고 고착적인 것이 아니라 시대성에 따라 다르게 표출되는 가변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다. 이 정신은 미래에 대한 가능성의 시사 속에 과거의 전통 체계에 항거하는 집단이라기 보다는 개인적이 며 독창적인 무형의 가치를 지니는 만큼 다양하게 표출된다고 할 수 있으며, 그가 <<진실은 항상 새로운 것이기에 그 현실은 결코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Mais on ne decouvriria jamais la realite. La verite sera toujours nouve-lle>>라고 이야기한 만큼 이 가변적 정신 자체를 예술적 진실로 간주함을 알 구 있다. 더우기 그는 금세기 초엽의 신 미학의 특징을 ‘놀람 la surprise'의 효과 로 규정하고, 이 효과를 위한 또다른 예술형태의 창조를 가능케하는 원동력을‘신 정신 l'esprit nouveau' 이란 용어로 함축시키고 있다. 이 용어를 통해 아뽈리네르가 중시하는 것은 하나의 규정화된 예술 이론이나 특정 유파 혹은 한 예술 경향의 지지를 고집하는 편협성이 아닌 다양한 예술 경향에 대한 개 연성과 함께 각 예술가가 보이는 개인적 독자성과 개별성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의 이러한 예술에 대한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전개되는 견해는 회화 뿐 아니라 조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본인은 본 논문을 통해 시인이 언급한 조각가들의 작품을 찾아내 조각에서 아뽈리네르가 높이 평 사했던 제 양상과 유파의 예술적 특성을 현대 예술 사가들의 견해와 비교하 고, 또한 당대의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나타난 다양한 사실들을 통해 시인의 비평문에 대한 당위성과 그의 독자적인 조각 예술관을 밝히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소재로는 시인이 언급한 수많은 조각가들 중에서 그들의 예술정신과 의도가 아뽈리네르에 의해 중요시된 몇몇의 경 향과 예술가를 선별함으로써, 흑인 예술 l'art negre을 비롯해 전통보다는 모험적 조형성을 시도했던 독자 정신 l'esprit nouveau을 지닌 뤼드 Rude와 로 댕 Rodin, 그리고 입체파 정신에 입각해 건축에 비견되는 ‘순수성' 이라는 조각의 새로운 운명을 제시했던 아르쉬펜코 Archipenko, 뒤샹 빌롱 Duchamp- Villon, 나델만 Nadelman, 부랑꾸지 Brancusi 및 이탈리아 미래주의 운동과 그 선두 주자였던 보치오니 Boccioni 등과 같은 전위 사상 l'idee d'avant- garde의 예술가들, 그리고 전통적인 아카데미 범주에 들지만 그들의 개별적 독자성이 각별치 돋보이는 여러 경향의 조각가에 이르는 범위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