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소설과 번역·창작의 복합주체 = Korean Modern Novel and the Compound Subject of Translation and Creation - Yeom Sang-seop`s and Hyun Jin-geon`s translation of popular fiction and thereaft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염상섭과 현진건의 통속소설 번역에 주목하여 그들의 창작세계 형성과 소설관의 유동을 새롭게 해석해보고자 한것이다. 두 인물은 활동 초기부터 통속소설의 번역을 병행했지만 ...

      이 연구는 염상섭과 현진건의 통속소설 번역에 주목하여 그들의 창작세계 형성과 소설관의 유동을 새롭게 해석해보고자 한것이다. 두 인물은 활동 초기부터 통속소설의 번역을 병행했지만 번역의 태도는 다르게 나타난다. 염상섭은 번역을 통해 통속소설에 대한 적극적 평가에 이르게 되는 반면, 현진건은 통속적 신문연재소설을 번역하는 경우에는 일회성 필명만을 내세우며 거리두기로 일관하였다. 이후 두 작가의 행보는 엇갈린다. 염상섭은 소설의 통속성을 자신의 문예주의 노선에 결합시킴으로써, 당대의 대표적인 장편작가이자 다작(多作)의 문인으로서 자리매김한다. 한편 현진건의 경우 일찌감치 기교와 묘사 방면에 강점을 지닌 작가의 위상을 얻었지만, 갈수록 침묵의 문인으로서 기억되었으며 특히 장편의 생산에 많은 난관을 겪게 된다. 두 문인이 보여주는 이러한 엇갈림의 이면에는 소설의 통속성에 대한 그들의 관점 차이가 놓여 있었으며, 통속소설의 번역은 그러한 관점을 지닌 주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다. 훗날 염상섭과 현진건은 각기 자신의 문학적 도정에 결핍되어 있던 것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새로운 변화를 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newly interpret the formation of Yeom Sang-seop"s and Hyun Jin-geon"s creative worlds and the transition of their perspectives on fiction, paying attention to their translation of Tongsok Soseol (popular fiction,). Although the t...

      This study intends to newly interpret the formation of Yeom Sang-seop"s and Hyun Jin-geon"s creative worlds and the transition of their perspectives on fiction, paying attention to their translation of Tongsok Soseol (popular fiction,). Although the two figures were involved in the translation of foreign popular fiction from their early literary activities, they showed different attitudes in relation to the translation. While Yeom Sang-seop came to make a positive evaluation of popular fiction in the course of translating it, Hyun Jin-geon consistently kept his distance from it, using a temporary pen name whenever translating a low-brow novel serially in a newspaper. Afterwards, the two writers trod different paths. Yeom Sang-seop established himself as a representative novelist and prolific writer of the time by integrating the popular nature of fiction into his own literary tendenc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yun Jin-geon, although he early gained status as a writer having strengths in techniques and portrayal, he was increasingly remembered as a literary man of silence, and in particular, he had much difficulty in producing long novels. Behind such a discrepancy between the two writers lie differences in their viewpoints on the popular nature of fiction. The translation of popular fiction provided important momentum in the formation of their such subjective viewpoints. Later on, Yeom Sang-seop and Hyun Jin-geon attempted new changes, reflecting critically on what were lacking in their respective literary journe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예기치 못한 번역
      • 2. 염상섭의『남방의 처녀』번역과 통속소설의 재인식
      • 3. 현진건의『백발』번역과 통속소설 인식의 고착
      • 4. 통속소설 번역과 장편소설 창작의 상관성
      • 〈국문초록〉
      • 1. 예기치 못한 번역
      • 2. 염상섭의『남방의 처녀』번역과 통속소설의 재인식
      • 3. 현진건의『백발』번역과 통속소설 인식의 고착
      • 4. 통속소설 번역과 장편소설 창작의 상관성
      • 5. 미완의 문학적 도정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수(金慶洙), "廉想涉 小說과 飜譯"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221-246, 2007

      2 박헌호, "현진건의 ?지새는 안개?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18) : 7-197, 2002

      3 황정현, "현진건 장편번역소설 「백발」 연구" 한국학연구소 42 (42): 321-345, 2012

      4 이강언, "현진건 문학 전집6" 국학자료원 2004

      5 안서현, "현진건 <지새는 안개>의 개작 과정 고찰 - 새 자료 <조선일보> 연재 <曉霧> 판본과 기존 판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33) : 135-175, 2011

      6 박정희, "한국근대소설과 ‘記者-作家’ : 현진건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49 (49): 156-185, 2012

      7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75

      8 손성준, "투르게네프의 식민지적 변용 ―『사냥꾼의 수기』와 현진건 후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54) : 329-368, 2014

      9 "창조"

      10 "조선일보"

      1 김경수(金慶洙), "廉想涉 小說과 飜譯"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221-246, 2007

      2 박헌호, "현진건의 ?지새는 안개?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18) : 7-197, 2002

      3 황정현, "현진건 장편번역소설 「백발」 연구" 한국학연구소 42 (42): 321-345, 2012

      4 이강언, "현진건 문학 전집6" 국학자료원 2004

      5 안서현, "현진건 <지새는 안개>의 개작 과정 고찰 - 새 자료 <조선일보> 연재 <曉霧> 판본과 기존 판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33) : 135-175, 2011

      6 박정희, "한국근대소설과 ‘記者-作家’ : 현진건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49 (49): 156-185, 2012

      7 김병철,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연구" 을유문화사 1975

      8 손성준, "투르게네프의 식민지적 변용 ―『사냥꾼의 수기』와 현진건 후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54) : 329-368, 2014

      9 "창조"

      10 "조선일보"

      11 "조선문단"

      12 이경돈,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 소명출판 2014

      13 손성준,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 소명출판 2014

      14 한기형,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 소명출판 2014

      15 김유정, "원본 김유정 전집" 강 1997

      16 송하춘, "염상섭의 초기 창작방법론" 한국현대소설학회 36 (36): 59-73, 2007

      17 김명훈, "염상섭 초기소설의 창작기법 연구:『진주는 주엇스나』와 『햄릿』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39 (39): 5-40, 2013

      18 한기형, "염상섭 문장전집Ⅲ" 소명출판 2014

      19 한기형, "염상섭 문장전집Ⅰ․Ⅱ" 소명출판 2013

      20 "시대일보"

      21 알렉상드르 뒤마, "삼총사" 민음사 2002

      22 손성준, "번역이라는 고투(苦鬪)의 시간 - 염상섭의 번역과 초기 소설의 문체 변화" 한국문학회 (67) : 205-246, 2014

      23 "동아일보"

      24 "동광"

      25 "개벽"

      26 黒岩涙香, "白髮鬼" 春陽堂 1934

      27 최성윤, "≪조선일보≫ 초창기 연재 번역·번안소설과 현진건" 민족어문학회 (65) : 463-485, 2012

      28 오혜진, "“캄포차 로맨쓰”를 통해 본 제국의 욕망과 횡보의 문화적 기획" 근대서지학회 3 :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