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교육 교육과정 내용 분석: 미래교육 관련 국책연구기관 보고서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Future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report from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futur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3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국책연구기관 보고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미래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통찰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연구보고서 11편을 의...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국책연구기관 보고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미래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통찰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연구보고서 11편을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래교육의 주요 키워드는 ‘미래지향’, ‘인공지능’, ‘학습주제’, ‘다양성’, ‘융복합’, ‘미래핵심역량’, ‘민주시민교육’, ‘사고력’, ‘교육정책’, ‘리터러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주요 키워드 중, ‘교육개혁’은 ‘미래지향’, ‘미래핵심역량’ 그리고 ‘교육정책’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미래핵심역량’은 ‘미래과학’과 ‘사고력’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미래과학’은 ‘학습주제’와 ‘융복합’과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내용’은 ‘다양성’, ‘리터러시’, ‘인공지능’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심성 지수를 확인한 결과, ‘미래지향’이 연결망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미래지향’을 중심으로 ‘학습주제’, ‘다양성’, ‘리터러시’, ‘인공지능’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지향’, ‘학습주제’, ‘인공지능’은 전체 의미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 논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열관,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글로벌 규범과 로컬의 전유"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1-44, 2014

      2 정희모, "한국어 교육과 결속성(cohesion) 및 응집성(coherence)의 문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89-123, 2019

      3 송시현 ; 김성길 ; 원종숙,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 :‘미래교육연구’발행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미래교육학회 10 (10): 77-95, 2020

      4 안연선 ; 정경미 ; 송재홍,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육심리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34 (34): 393-419, 2020

      5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112 : 158-189, 2017

      6 황규호,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47-271, 2017

      7 서봉언, "인구절벽시대 미래 교육정책 방향" 대전과학교육원 대전교육정책연구소 2020

      8 김진석, "인공지능 리터러시 기반 초・중등교육의 내용과교수・학습 방안 탐구" 초등교육연구원 32 (32): 19-35, 2021

      9 백윤수 ; 박현주 ; 김영민 ; 노석구 ; 박종윤 ; 이주연 ; 정진수 ; 최유현 ; 한혜숙,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10 김영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 편제 방향 및 교육과정 구성 방안에 대한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6 (16): 111-139, 2022

      1 성열관,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글로벌 규범과 로컬의 전유"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1-44, 2014

      2 정희모, "한국어 교육과 결속성(cohesion) 및 응집성(coherence)의 문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89-123, 2019

      3 송시현 ; 김성길 ; 원종숙,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 :‘미래교육연구’발행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미래교육학회 10 (10): 77-95, 2020

      4 안연선 ; 정경미 ; 송재홍,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육심리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34 (34): 393-419, 2020

      5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112 : 158-189, 2017

      6 황규호,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47-271, 2017

      7 서봉언, "인구절벽시대 미래 교육정책 방향" 대전과학교육원 대전교육정책연구소 2020

      8 김진석, "인공지능 리터러시 기반 초・중등교육의 내용과교수・학습 방안 탐구" 초등교육연구원 32 (32): 19-35, 2021

      9 백윤수 ; 박현주 ; 김영민 ; 노석구 ; 박종윤 ; 이주연 ; 정진수 ; 최유현 ; 한혜숙,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10 김영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 편제 방향 및 교육과정 구성 방안에 대한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6 (16): 111-139, 2022

      11 서준일 ; 장경원, "언어네트워크 분석 활용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409-438, 2016

      12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13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 분석" 청람 2014

      14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15 김진숙, "미래학교 체제 전환을 위한 교육 거버넌스 모델 조사·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16 구정화, "미래지향적 학교교육 구현을 위한 학교현장 및 국가·사회적 요구사항 분석" 교육부 2019

      17 이상은 ; 소경희,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9-164, 2019

      18 이동협, "미래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유형별 주요의제 분석: 8 지속가능한 교육혁신을 담보하는 교원 양성 및 재교육 체제 개편" 한국교육개발원 2021

      19 서현수, "미래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의 사회적합의 절차와 방법" 2019

      20 임소현, "미래교육을 위한 학교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국민여론을 통해 본 고등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9

      21 계보경, "미래교육을 위한 에듀테크 활성화 방안" 대통력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2020

      22 김성식, "미래교육 체제 탐색을 위한 실태 분석 연구" 2019

      23 이승호, "미래교육 연구 동향 및 과제: 국내 주요 국책교육연구기관 연구물을 중심으로 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14, 2018

      24 이영희 ; 윤지현 ; 홍섭근 ; 임재일 ; 백병부,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4 (24): 127-153, 2018

      25 주형미, "미래 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Ⅰ): 초ㆍ중등학교 교과 교육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6 황은희, "교육 혁신 사례 분석을 통한 미래교육 실천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9

      27 조상식,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6 (6): 152-185, 2016

      28 Willbergh, I., "The problems of ‘competence’ and alternatives from the Scandinavian perspective of Bildung" 47 (47): 334-354, 2015

      29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2018

      30 Schwab,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own Business 2016

      31 Paranyushkin, D, "Text network analysis"

      32 Drieger, P.,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for visual text analytics" 79 : 4-17, 2013

      33 홍원표, "Revisi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 Focu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39-254, 2017

      34 Sinnema, C., "Reinventing the curriculum: New trends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 Bloomsbury 141-163, 2013

      35 Gordon, J, "Key competences in Europe, Opening doors for lifelong learners across the school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Center for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on behalf of CASE Network: Warsaw

      36 Fullan, M., "How pedagogies find deep learning" Pearson 2014

      37 Doerfel, M. L., "Candidate-issue positioning in the context of presidential debates" 31 (31): 212-237, 2003

      38 임철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연구과제 최종 보고서: 4차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미래교육프레임워크와 미래학교 연구"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2018

      39 안종배,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7 (7): 21-34, 2017

      40 최연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33 : 32-35, 2017

      41 임종헌 ; 유경훈 ; 김병찬,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42 유성창 ; 강태훈,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방향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72 : 101-117, 2018

      43 이수광, "4·16 교육체제 비전과 전략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44 이상욱 ; 고영미, "21세기 인공지능시대에서의 교육의 목적" 한국수학사학회 30 (30): 341-351, 2017

      45 한국교육개발원, "2020년 제1회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 토론회 자료집: 미래 환경변화와 교육혁신" 한국교육개발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6 0.70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