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 개발을 위한 사용자 심층인터뷰 중심의 잠재요구 발굴에 관한 연구 ;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nmet Needs Based on Empathic User Research for Design Development ; Focused on Single Alarm Type Fire Detec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80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본 논문은 복합형 /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의 디자인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해관계자들을 분류하고 사용자 심층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각각의 역할에 따라 인식하고 있는 ...

      연구배경 본 논문은 복합형 /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의 디자인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해관계자들을 분류하고 사용자 심층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각각의 역할에 따라 인식하고 있는 의미와 잠재요구(Unmet Needs)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화재감지기의 정의를 사전적, 행정적으로 확인 하였으며, 지난 10년 사이의 화재감지기에 관련된 국내 논문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잠재요구를 분석하는 방향의 연구와 시도가 필요한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화재경험을 중심으로 20대에서 60대 사이의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화재경보기와 안전인식에 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잠재요구 그리고 의미를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분석을 통해 이해관계자들은 화재감지기를 효율성의 목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결론을 지을 수 있었으며, 사용자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효율적인 형태(Form)를 기대하고 운영자는 단기 또는 장기의 이익(Profit)의 효율을 추구하며 감독자는 기술과 관리의 기능(Function)이 효율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잠재요구인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화재감지기 디자인 개발의 기초가 되는 연구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인식과 잠재요구를 역할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 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와 가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정성연구로 연구의 내용을 한정한 점과 디자인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지 않은 점은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후속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를 희망하며, 연구의 결과가 화재감지기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잠재요구를 만족시킬 수 디자인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is paper is a basic study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a single-alarm type fire detecto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ssify stakeholders and conduct in-depth user interviews to derive the meanings and unmet needs that users perceiv...

      Background This paper is a basic study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a single-alarm type fire detecto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ssify stakeholders and conduct in-depth user interviews to derive the meanings and unmet needs that users perceive their roles.
      Method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e analyzed the domestic paper related to a fire detector and found that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user unmet need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people in their 20s and 60s, focusing on their fire experience, to identify the stakeholder‘s safety awareness.
      Results Through the study, stakeholders were able to conclude that fire detectors were perceived as being intended for efficiency. the user would expect an efficient form of the product or service, the operator would pursue the efficiency of the short-term or long-term profit, and the supervisor would pursue an efficient the function of technology and management.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is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fire detector design,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e detailed presentation of stakeholders’ perceptions and potential needs according to their roles. However,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ly by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lack of direction for design development can be regarded as a limitation of the research. To support this, it is hoped that the follow-up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that will satisfy the potential needs of stakehold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지윤, "화재감지기 제품디자인 사용성 평가항목 개발 및 이해관계자 가중치평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04-412, 2019

      2 김재생, "초연결시대, 스마트 홈의 주요 기술 소개 및 동향" 17 (17): 20-25, 2019

      3 박성수, "인터넷(loT) 기반의 소방설비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세한대학교 2018

      4 중앙소방학교, "신임교육과경 예방실무 I"

      5 중앙소방학교, "신임교육과경 소방전술 I"

      6 한국소비자원, "숙박업소 화재 안전관리 실태조사"

      7 윤진, "소방시스템의 IOT 기술 적용에 따른 성과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7

      8 이태열, "산불 감시를 위한 스마트 화재 감시 시스템의 개발" 고려대학교 2018

      9 조용현, "모바일 환경에서 화재감지를 위한 IoT 기반의 무선감지시스 템 개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9 (29): 365-370, 2019

      10 신진섭, "loT 기반의 통합 재난재해예방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4 (24): 159-165, 2019

      1 정지윤, "화재감지기 제품디자인 사용성 평가항목 개발 및 이해관계자 가중치평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04-412, 2019

      2 김재생, "초연결시대, 스마트 홈의 주요 기술 소개 및 동향" 17 (17): 20-25, 2019

      3 박성수, "인터넷(loT) 기반의 소방설비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세한대학교 2018

      4 중앙소방학교, "신임교육과경 예방실무 I"

      5 중앙소방학교, "신임교육과경 소방전술 I"

      6 한국소비자원, "숙박업소 화재 안전관리 실태조사"

      7 윤진, "소방시스템의 IOT 기술 적용에 따른 성과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7

      8 이태열, "산불 감시를 위한 스마트 화재 감시 시스템의 개발" 고려대학교 2018

      9 조용현, "모바일 환경에서 화재감지를 위한 IoT 기반의 무선감지시스 템 개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9 (29): 365-370, 2019

      10 신진섭, "loT 기반의 통합 재난재해예방 시스템 설계 및 구현" 24 (24): 159-165, 2019

      11 Gant T. Savage, "Strategies fo Assessing and Managing Organizational Stakeholders" 5 (5): 61-75, 1991

      12 김태형, "IoT 미들웨어 플랫폼을 활용한 지능형 재감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dustrial design ->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6 0.2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