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들의 ARCS 학습동기와 직업가치관이 교육만족,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ARCS Learning Motivation and Vocational Value of College Student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9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spread of COVID-19 around the world, it has rapidly changed not only in society,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but also in education that universities where face-to-face lectures were held were converted to non-face-to-face classes for soci...

      With the spread of COVID-19 around the world, it has rapidly changed not only in society,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but also in education that universities where face-to-face lectures were held were converted to non-face-to-face classes for social distancing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nd a variety of distance education as real-time interactive lecture, assignment-oriented lecture, and content utilization-oriented class are conducted in most lectures except for laboratory and practical courses.
      In-depth immersion of learners is essential for learning environment emphasizing self-directedness such as non-face-to-face lectures, but the gap between immersion and understanding of lecture may widen due to a lack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Also, in non-face-to-face lecture environment, learners may lose confidence or motivation, which also affects self-regulation as problems arise due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s such as network environment, lecture environment, interaction, etc. Learning motiv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learning in relation to learning achievement and can be said to be focusing on achieving a specific goal pursued by learners. In particular, as the importance of non-face-to-face lectures began to emerge, the importance of ARCS learning motivation focused on learners' motivation for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is increasing.
      The career type of college students is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ability, interest, personality, and family environment of individuals and changes according to personal experiences and time. Individuals experience their characteristics or aptitudes through school life or leisure activities and go through a process of performing career-related roles based on evaluations suitable for them and experience the satisfaction of life through all of these processes. As said, college students decide on jobs that meet their needs or goals they want to achieve in the course of career development,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they have a mature attitude and make practical efforts to explore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path. Therefore,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tudy to specifically measure the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in a changed learning environment after COVID-19 by applying the constituent factors of ARCS learning motivation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ARCS learning motivation and vocational value on education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it was identified that ARCS learning motivation and vocational value make effects on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임인숙 ; 나정기, "호텔기업의 이러닝 환경에서 사회적지원이 교육훈련전이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변수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97-116, 2012

      2 김주희 ; 이형룡, "항공승무원학과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학업몰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195-207, 2021

      3 박인실 ; 김미정, "항공서비스전공자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139-151, 2015

      4 최경옥,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전공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간의구조적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5 서명선,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9 (9): 111-136, 2019

      6 고홍월 ; 김계현, "한국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의사결정 상태와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147-164, 2008

      7 이미란 ; 이수범, "학습동기가 학습몰입, 학업성취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ARCS 학습동기 이론을 적용한 NCS기반 바리스타 학습자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161-173, 2021

      8 한국기술대학교, "학습동기, 교직역량보수교육 교재" 한국기술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 2019

      9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10 최수정 ; 김진모 ; 김영흥 ; 박자경 ; 박주원, "포스트코로나 시대 중등직업교육 발전방향 탐색" 대한공업교육학회 46 (46): 41-60, 2021

      1 임인숙 ; 나정기, "호텔기업의 이러닝 환경에서 사회적지원이 교육훈련전이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변수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97-116, 2012

      2 김주희 ; 이형룡, "항공승무원학과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학업몰입의 이중매개효과"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195-207, 2021

      3 박인실 ; 김미정, "항공서비스전공자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139-151, 2015

      4 최경옥,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전공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간의구조적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5 서명선,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9 (9): 111-136, 2019

      6 고홍월 ; 김계현, "한국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의사결정 상태와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9 (9): 147-164, 2008

      7 이미란 ; 이수범, "학습동기가 학습몰입, 학업성취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ARCS 학습동기 이론을 적용한 NCS기반 바리스타 학습자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5 (35): 161-173, 2021

      8 한국기술대학교, "학습동기, 교직역량보수교육 교재" 한국기술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 2019

      9 김봉환,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2006

      10 최수정 ; 김진모 ; 김영흥 ; 박자경 ; 박주원, "포스트코로나 시대 중등직업교육 발전방향 탐색" 대한공업교육학회 46 (46): 41-60, 2021

      11 김득만, "평생직업교육학원의 바리스타교육이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ARCS 학습동기이론을 중심으로" 극동대학교 대학원 2019

      12 최낙영, "평생교육 교수자의 인상관리가 교육만족도와 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백석대학교대학원 2017

      13 박중열, "코로나19로 촉진된 대학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고찰" 60 (60): 32-36, 2020

      14 이세나 ; 김은숙,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304-5313, 2015

      15 윤동현, "취업지원교육 참가자의 참여 동기와 수업참여도, 교육만족도, 취업준비 간의 관계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9

      16 김봉환, "진로상담이론: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용" 학지사 2010

      17 신소영 ; 권성연, "진로결정과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성과 인식의 관계 구조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67-185, 2014

      18 김봉환, "진로 미결정에 관한 연구동향과 향후의 연구과제" 7 (7): 20-43, 1995

      19 최현아 ; 김인규,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72-482, 2018

      20 임언, "직업가치관 검사 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21 김난영, "전시컨벤션 산업에 대한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 핵심 역량, 직업 기대, 전공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전시학회 11 (11): 95-116, 2016

      22 안강현, "전문대학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17 (17): 1-18, 1998

      23 송강영 ; 이태용, "전문대학 체육전공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 차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9 (9): 399-406, 2009

      24 김수경 ; 손지연 ; 어수연, "전문대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사회보험제도에 대한 인식과직업적 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24 (24): 1316-1324, 2018

      25 김수진 ; 김진강,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광관련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27-46, 2018

      26 김연경 ; 박미하,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 낙인 인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인문사회 21 10 (10): 1235-1250, 2019

      27 최현석 ; 최명숙,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대학생의 교육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 연구 - K 대학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31 (31): 637-652, 2020

      28 이상길,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고교생과 대학생 및 성별간의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217-230, 2008

      29 김세련, "일반대학원생의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30 임은미 ; 장선숙, "인터넷 활용 진로정보탐색 프로그램의 즉시적 효과와 지속적 효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39-154, 2004

      31 최정임 ; 최정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계획 및 시간관리 전략이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소 43 (43): 221-244, 2012

      32 유지원, "이러닝 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두려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학업통제감 간의 관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249-271, 2012

      33 전창석 ; 신혜진, "외식, 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 경북지역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4 (34): 63-83, 2019

      34 김나영 ; 강정은,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 11 (11): 958-968, 2011

      35 박미경 ; 이현림 ; 김영숙,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7 (27): 1-26, 2008

      36 어윤경, "아동의 내적ㆍ외적 직업 가치관 결정요인 탐색 ― 성, 성취동기,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2) : 119-141, 2008

      37 이은주 ; 박인우,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만족도에 대한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자 참여의 예측관계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95-219, 2012

      38 이채림, "성인대학 진학동기별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 D대학교 미래융합대학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39 강영숙,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대학생들을 중심으로" 15 : 1-22, 2006

      40 한은숙 ; 김종두, "사범대학생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313-335, 2003

      41 표영희 ; 윤미연,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44-153, 2019

      42 정희영, "미용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19 (19): 466-474, 2013

      43 Keller, John, M, "매력적인 수업 설계 :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그리고 만족감" 교학사 2014

      44 성열욱, "동기유발을 위한 ARCS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과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4 (4): 93-102, 2001

      45 신정옥,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19 (19): 109-141, 2011

      46 한희원 ; 문경숙, "대학생의 학업정서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75-103, 2015

      47 김민정 ;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결정효능감, 합리적의사결정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27-45, 2014

      48 이선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생 요인 및 대학 요인의 다층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49 이향림,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계획된 우연 기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50 장선철, "대학생의 진로결정 유형화와 개인·인지 변인과의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51 이현숙,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일희망과 구직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복지학회 20 (20): 101-117, 2018

      52 박슬기 ; 이희승,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 및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호텔관광분야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 동북아관광학회 12 (12): 219-235, 2016

      53 장경혜,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에 관한 연구-패션 관련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2 (32): 110-122, 2008

      54 한예정,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 조리·외식관련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55 서명선, "대학생들의 실무교과과정과 직업가치관이 교육만족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91-118, 2021

      56 권대봉 ; 오영재 ; 박형모 ; 손준종 ; 송선희, "대학생들의 교육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논의" 한국교육학회 40 (40): 191-202, 2002

      57 최왕근 ; 정정희 ; 이훈영, "대학생들의 ARCS 학습동기와 직업가치관이 교육만족,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12 (12): 133-159, 2022

      58 김종학 ; 최보영, "대학생 Holland 직업가치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173-198, 2020

      59 정주영, "대학교육만족도, 직업가치관, 직업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53-83, 2013

      60 김진모 ; 손규태 ; 이은표 ; 정지용 ; 장한별 ; 이화진, "대학 온라인 실시간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2 (52): 25-48, 2020

      61 권영길, "노인복지관 프로그램 만족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3) : 103-126, 2006

      62 정 진, "노인복지관 평생교육프로그램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4

      63 이현림, "근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2 (2): 211-230, 2001

      64 연지연, "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65 김희선, "교회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학습몰입,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분석" 백석대학교 대학원 2020

      66 유승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양서원 2017

      67 추상희 ; 최진호, "관현악 전공생들의 진로 장벽과 진로결정수준 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42) : 45-66, 2020

      68 김남희, "관광특성화고교생 호텔리어 양성과정 프로그램 이수자의 ARCS 요인이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지수의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69 신상인, "고등학생의 직업가치, 진로포부, 진로타협,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관계분석" 동아대학교대학원 2015

      70 김상진 ; 김종걸, "경호관련학과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53-64, 2007

      71 신승호 ; 이정원 ; 김창태 ; 신소홍,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직업 가치관, 전공 만족도, 전공몰입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95-107, 2021

      72 김미정, "가족지지 및 교수지지와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인문사회 21 11 (11): 1159-1174, 2020

      73 류은수 ; 서민원,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ARCS모형을 매개로 한 동기요인과 학생성과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727-756, 2014

      74 이혜경, "e-Learning 환경에서 ARCS 학습동기가 학습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9

      75 Kalleberg, A. L., "Work values and job reward :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42 (42): 124-143, 2003

      76 Astin, A. W., "What matters in colleges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Jossey-Bass Publishers 1993

      77 Ginzberg, E.,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36 (36): 358-363, 1988

      78 Super, D. E., "The values scal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9

      79 Super, D. E., "The psychology of career" Harper & Brothers 1957

      80 Zytowski, D. G., "The concept of work values" 18 (18): 176-186, 1970

      81 Ruben, Brent D., "The Quality Approach in Higher Education: Context and Concepts for Change, Quality in Higher Education" Transaction Publishers 1995

      82 Song, S. H., "The Effects of Motivation ally Adaptive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Developed Through the ARCS Model" College of Educ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1999

      83 Keller, J. M., "The ARCS model for developing motivationally-adaptive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1999

      84 Harvey Lee, "Student Feedback: A report to the 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 Centre for Research into Quality,The University of central England in Birmingham 2001

      85 Pryor, R. L., "Some Types of Stability in the Study of Students' Work Values" 16 : 146-157, 1980

      86 조선웅, "Q 방법론을 활용한 육군 조기 전역 장교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화랑대연구소 73 (73): 1-24, 2017

      87 Brown, H. 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erson Education, Inc 2007

      88 Santos, P. J., "Predictors of generalized in decision among Portugu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9 : 381-396, 2001

      89 Benjamin, K. R., "Neuroticism, marital interaction, and the trajectory of marital satisfaction" 72 (72): 1075-1092, 1997

      90 Keller, J. M.,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91 Skinner, E., "Motivation in the classroom : Reciprocal effect of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engagement across the school year" 85 : 571-581, 1993

      92 Keller, J. M.,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 A theoretical perspective" 10 (10): 2-10, 1979

      93 Oliver, R. L.,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es in Retail Settings" 57 : 25-48, 1981

      94 Kelly, K. R., "Mapping the domain of career decision problems" 41 : 302-326, 2002

      95 Shulman, L. S., "Making differences : A table of learning" 34 (34): 36-44, 2002

      96 김부자, "Keller의 ARCS 동기모델이 비즈니스 전공영어 수업에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213-221, 2020

      97 Rubinton, N., "Instruction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decion-making styles" 27 : 581-588, 1980

      98 Harris, D. M.,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Dryden Press 1994

      99 Kinnane, J. F., "Family background and work valueorientation" 9 (9): 320-325, 2000

      100 Means, T. B., "Enhancing relevance: Embedded ARCS strategies vs. purpose" 45 (45): 5-17, 1997

      101 Mau, Wei-Cherng, "Effect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in using formal decision-making strategies to choose a college major" 39 : 195-192, 1992

      102 Keller, J. M.,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 design" 10 (10): 2-10, 1987

      103 Schulrnberg, J. E., "Career certainty and short-term changes in work values during adolescence" 41 (41): 268-284, 1993

      104 윤관호, "CS에서 CM, 대학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24 (24): 51-70, 2013

      105 이영희 ; 박윤정 ; 윤정현,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211-234, 2020

      106 Ros, M., "Basic individual values, work values, and the meaning of work" 48 : 49-71, 1999

      107 김경희, "ARCS전략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수업이 학습동기 유발 및 반응속도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108 이숙재 ; 이정화, "ARCS모형을 적용한 대학교양무용 수업이 자기조절학습, 학습동기 및 수업흥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47 (47): 423-437, 2008

      109 최미진, "ARCS 학습동기이론을 적용한 항공서비스 전공학생의 상호작용성과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110 문은정, "ARCS 학습동기 요인과 NCS 기반 교육 평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과 관계 연구 : 항공객실서비스 교육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111 민수진 ; 박현숙, "ARCS 동기모델 적용 수업이 초등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187-221, 2016

      112 Wanberg, C. R.,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39 (39): 71-80, 1992

      113 Super, D. E.,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8 (8): 185-190, 1953

      114 Harren, V. H., "A model of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 14 (14): 119-133,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