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初等學校 實科 質的 評價 方案 = A Guide for Use in Evaluation Plan for Practical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218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과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방향을 모색하며, 실제 실과 교수-학습에 적용하는 데 있다. 교수-학습은 항상 평가를 수반하여 이루어지며, 평가 계획과 과정에 대한 많...

      본 연구의 목적은 실과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방향을 모색하며, 실제 실과 교수-학습에 적용하는 데 있다.
      교수-학습은 항상 평가를 수반하여 이루어지며, 평가 계획과 과정에 대한 많은 제안과 의견이 제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양적인 평가는 널리 퍼져 활용되고 있으며, 평가 방법을 양적 평가로만 이끌어져 왔다. 그러나 실과 교육과정 특성상 양적인 평가보다는 질적 평가에 더 많은 강조를 하고 있다. 교육과정에 대한 정의는 양적인 평가에 접근하고 있다.
      첫째, 우리는 질적 평가든 양적 평가든 평가에 대한 경향을 부인해 왔다. 어떤 평가 방법이라도 평가 표본이 필요한 것이 필수적이므로 교수-학습 과정의 개념, 과정, 평가의 모델을 제시해서 과정의 각 단계를 상세화 하였다.
      둘째, 실과 교육 과정의 특성을 고려해 질적인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며, 실제로 평가에 대한 방향의 탐색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질적 평가를 질적 평가의 유형에 관련시켜 실제 적용을 탐색하였다.
      실과에서 실제 질적인 평가에 대한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지만, 여전히 이 연구는 불충분한 상태에 있다. 평가의 진정한 목적은 교수-학습 과정의 결과를 확실히 하고 그 효과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평가 분야를 두가지 방법으로 나누기보다는 질적·양적 평가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three purposes for this research which are creating evaluation plan Practical art, groping for direction of evaluation, and applying to the actual Practical Art with linking teaching to studying. Since teaching and studying are done that lead ...

      There three purposes for this research which are creating evaluation plan Practical art, groping for direction of evaluation, and applying to the actual Practical Art with linking teaching to studying.
      Since teaching and studying are done that lead evaluation always. There are many suggestions and opinions about evaluation plan and process. It is true tha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s popular till now, which leads the evaluation methods to the quantitative evaluation. However, a characteristic of curriculum, one emphasizes more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a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ost of definition of curriculum approaches to the qualitative evaluation.
      First, we have to sublate about propensity for evaluation whether it is the qualitative evaluation 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 make a approach to the qualitative evaluation in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hat any evaluation method needs evaluation samples, therefore I present a model of concept, process, and evaluation of teaching-curriculum, which make detail in each stage of process.
      Second, considering about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Art curriculum, I illuminate how the qualitative evaluation is done and search a direction about the actual qualitative evaluation.
      Last, I search that the qualitative evaluation relates to the types of qualitative evaluation and the actual application.
      I suggested a few methods about the actual qualitative evaluation about Practical Art, still its research is insufficient situation ; however, authentic purpose of evaluation is confirming the results of teaching-curriculum and improving its effects. In this point of view, It is better using the both methods for substitute, which a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than divides a evaluation field into two metho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論
      • 1. 硏究의 必要性
      • 2. 硏究의 目的
      • Ⅱ. 實科 敎育評價의 模型
      • 1. 槪念 模型
      • Ⅰ. 緖論
      • 1. 硏究의 必要性
      • 2. 硏究의 目的
      • Ⅱ. 實科 敎育評價의 模型
      • 1. 槪念 模型
      • 2. 節次 模型
      • 3. 敎授-學習 評價 模型
      • Ⅲ. 實科 敎科의 特性에 비춰본 質的 評價 方向
      • 1. 實科의 特性과 質的 評價
      • 2. 實科 質的 評價의 原則 및 方向
      • Ⅳ. 實科 敎授-學習과 連繫된 質的 評價의 諸類型 및 適用
      • 1. 觀察
      • 2. 學習 課程 및 作品의 評價
      • 3. 自己 評價
      • 4. 面接
      • Ⅴ. 結論
      • * 參考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