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듀이의 '반성적 사고'의 의미와 사회과교육에의 적용 = Dewey’s Meaning of ‘Reflective Thinking’ Its Application to Social Studie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6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nt and Metcalf (1968) actively applied Dewey’s reflective thinking to social studies education, interpreting it as positivistic thinking. Positivistic thinking reduces value terms to measurable operational terms, so does not properly deal with irr...

      Hunt and Metcalf (1968) actively applied Dewey’s reflective thinking to social studies education, interpreting it as positivistic thinking. Positivistic thinking reduces value terms to measurable operational terms, so does not properly deal with irreducible values. It is also linked to the deeper theoretical problem of the separation of discipline and experience. However, when reviewing Dewey's works such as: “How We Think (1910)” and “Art as Experience (1938)”, 'reflective thinking' is not positivistic thinking, but integrated thinking that involve both 'scientific thinking', which features logical statements and confirmation of facts, and 'qualitative thinking' that captures the quality of specific objects that cannot be fully expressed in language. Within reflective thinking, both scientific thinking and qualitative thinking are important, and depend on each other. By interpreting Dewey's reflective think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ake practical judgments in specific situations, and to propose social studies education that connects discipline and experience. There can be four types of social studies classes that link discipline and experience, from the type starting from disciplines to the type starting from direct experience of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헌트와 메트칼프(1968)는 듀이의 반성적 사고를 적극적으로 사회과교육에 적용하였는데, 이들은 반성적 사고를 실증주의적 사고로 해석하고 있다. 실증주의적 사고는 가치 용어를 측정 가능...

      헌트와 메트칼프(1968)는 듀이의 반성적 사고를 적극적으로 사회과교육에 적용하였는데, 이들은 반성적 사고를 실증주의적 사고로 해석하고 있다. 실증주의적 사고는 가치 용어를 측정 가능한 조작적 용어로 환원시키며, 환원될 수 없는 가치를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 또한 이 문제는 학문과 경험의 분리라는 더 뿌리 깊은 이론적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 위 싱크』, 『경험으로서 예술』 등 듀이의 다양한 저작들을 검토해보면, ‘반성적 사고’는 실증주의적 사고가 아니라 논리적 진술과 사실 확인을 특징으로 하는 ‘과학적 사고’와 언어로 다 담을 수 없는 구체적인 대상의 질성을 포착하는 ‘질성적 사고’가 통합된 사고이다. 반성적 사고 내에서 과학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는 둘 다 중요하며, 서로가 서로에게 의존한다. 듀이의 반성적 사고를 이렇게 해석하면, 구체적인 상황에서 실천판단을 해내는 가치 탐구와 학문과 경험을 연결하는 사회과교육을 제안할 수 있다. 학문과 경험이 연결된 구체적인 사회과 수업의 모습은 학문에서 출발하는 유형에서 학생들의 직접 체험에서 출발하는 유형에 이르기까지 4가지로 제안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회욱, "하우 위 싱크 :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학이시습 2011

      2 이유선, "철학의 재구성" 아카넷 2010

      3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4 김태길, "우송 김태길 전집: 윤리 문제의 이론과 사회 현실, 존 듀이의 사회 철학" 철학과현실사 2010

      5 Hughes, J. A, "사회연구의 철학" 한울 2000

      6 모경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7

      7 노희정, "듀이의 반성적 사고와 문제해결형 도덕수업"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179-197, 2016

      8 서재천, "듀이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일 고찰" 53 (53): 1-27, 2016

      9 이동원, "듀이의 반성적 사고과정에 따른 사회과 수업구성논리의 재음미" 10 (10): 157-172, 2003

      10 박철홍, "듀이의 경험개념에 비추어 본 사고의 성격: 이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 작용"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79-104, 2011

      1 정회욱, "하우 위 싱크 :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학이시습 2011

      2 이유선, "철학의 재구성" 아카넷 2010

      3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4 김태길, "우송 김태길 전집: 윤리 문제의 이론과 사회 현실, 존 듀이의 사회 철학" 철학과현실사 2010

      5 Hughes, J. A, "사회연구의 철학" 한울 2000

      6 모경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17

      7 노희정, "듀이의 반성적 사고와 문제해결형 도덕수업" 한국윤리교육학회 (39) : 179-197, 2016

      8 서재천, "듀이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일 고찰" 53 (53): 1-27, 2016

      9 이동원, "듀이의 반성적 사고과정에 따른 사회과 수업구성논리의 재음미" 10 (10): 157-172, 2003

      10 박철홍, "듀이의 경험개념에 비추어 본 사고의 성격: 이성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 작용"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79-104, 2011

      11 Fairfield, P, "듀이와 인문학 교육" 씨아이알 2018

      12 박수원, "듀이 경험 이론에서 두 가지 사고 방법의 의미와 교육적 시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5-103, 2018

      13 조용환,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1-21, 2012

      14 박철홍, "경험으로서 예술 1, 2" 나남 2016

      15 박철홍, "경험으로서 예술 1, 2" 나남 2016

      16 박철홍, "‘하나의 경험’에서 작용하는 사고의 특성에 비추어 본 탐구의 성격: 반성적 사고 단계의 앎에 대한 분석"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67-95, 2013

      17 Hunt, P. H, "Teaching High School Social Studies:Problems in Reflective Thinking and Social Understanding" Harper & Row Publishers 1968

      18 Kincaid, H.,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7" Routledge 558-561, 1998

      19 Bleazby, J., "Overcoming Relativism and Absolutism: Dewey’s ideals of truth and meaning in philosophy for children" 43 (43): 453-466, 2011

      20 박준영, "John Dewey의 반성적 사고와 교육" 한국교육사상학회 23 (23): 273-290, 2009

      21 Alexander, T. A., "John Dewey’s Theory of Art, Experience, and Natu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7

      22 Dewey, J, "John Dewey: The Middle Works, 1899-1924"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0

      23 Dewey, J,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05-352, 1986

      24 Dewey, J,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43-262, 1984

      25 Dewey, J,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1

      26 Johnston, J. S., "Inquiry and Education: John Dewey and the Quest for Democrac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06

      27 Engle, S. H,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Studies" Teachers College Press 1988

      28 Garrison, J., "Dewey, Qualitative thought, and Context" 9 (9): 391-410, 1996

      29 Barr, R., "Defining the Social Studie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