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국시대 이전 고창과 화순의 고인돌 입지를 통한 한국 풍수사상 연구 = The Study of Korea Feng Shui Idea through the Dolmen Site of Gochang and Hwasun before the Three Kingd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5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first step to study the Korea Feng shui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re is a feng shui idea embedded in the dolmen sites. That is the periode on before and after the Three Kingdoms(Goguryeo, Baekje, Silla). In the dolmen site of Gochan...

      This is the first step to study the Korea Feng shui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re is a feng shui idea embedded in the dolmen sites. That is the periode on before and after the Three Kingdoms(Goguryeo, Baekje, Silla). In the dolmen site of Gochang(고창 고인돌), the wind is blocked and water can be obtained(藏風得水), the place where the water goes out is very narrow, the water guiding chain(水口關鎖), and the end point of the mountain range appear(龍盡處). In the capital of Silla, as in the ruins of the dolmens in the Gochang(고창) and Hwasun(화순), it is possible to find a unique catch on the Korea. It satisfies the feng shui requirement of the place where the water goes out is very narrow, the water guiding chain(水口關鎖), and the end point of the mountain appear(龍盡處). It is a place where mountains and water flow from the south to the north(得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백, "한국풍수지리설의 기원" 14 : 1994

      2 이몽일, "한국풍수사상사 연구" 일지사 1991

      3 박희연, "한국고인돌문화에 대한 한 고찰" 46 : 1983

      4 "청오경"

      5 "지리오결"

      6 민병삼, "유가의 풍수원리" 명산출판사 2016

      7 "디지털화순문화대전"

      8 민병삼, "도선국사 물형풍수" 명산출판사 2016

      9 "금랑경"

      10 조기호, "고창 고인돌입지 특성 분석" 7 (7): 47-66, 2003

      1 이기백, "한국풍수지리설의 기원" 14 : 1994

      2 이몽일, "한국풍수사상사 연구" 일지사 1991

      3 박희연, "한국고인돌문화에 대한 한 고찰" 46 : 1983

      4 "청오경"

      5 "지리오결"

      6 민병삼, "유가의 풍수원리" 명산출판사 2016

      7 "디지털화순문화대전"

      8 민병삼, "도선국사 물형풍수" 명산출판사 2016

      9 "금랑경"

      10 조기호, "고창 고인돌입지 특성 분석" 7 (7): 47-66, 2003

      11 "고찰고인돌박물관"

      12 이정철, "고인돌을 통해본 남한의 청동기문화 전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13 조기호, "고인돌시대 한반도 자생풍수 입지" 18 : 2003

      14 "고인돌 유적지"

      15 이병도, "高麗時代의 硏究-특히 圖讖思想의 發展을 中心으로-" 을유문화사 1947

      16 朴時翼, "風水地理說 發生背景에 關한 分析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