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진성, "제임스 케힐의 중국 회화 연구: 양식사를 넘어 사회경제사적 회화사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6) : 194-223, 2007
						
						
				
				  
				
			
			
		
	
		
			
			
				
				
						
							2 양정무, "인터뷰: 신미술사학" 6 : 113-151, 1998
						
						
				
				  
				
			
			
		
	
		
			
			
				
				
						
							3 Rees, A. L, "신미술사학" 시공사 1998
						
						
				
				  
				
			
			
		
	
		
			
			
				
				
						
							4 홍선표, "새로운 방법의 모색, 한국미술사학의 과제" 한국미술사학회 268 (268): 37-54, 2010
						
						
				
				  
				
			
			
		
	
		
			
			
				
				
						
							5 김영나, "미술이론의 역사와 신미술사학" 7 : 7-24, 1997
						
						
				
				  
				
			
			
		
	
		
			
			
				
				
						
							6 안휘준, "미술사학과 나,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미술사학의 정립과 확산" 1 : 18-60, 2006
						
						
				
				  
				
			
			
		
	
		
			
			
				
				
						
							7 강태희, "미술사의 추억" 서양미술사학회 (22) : 9-34, 2004
						
						
				
				  
				
			
			
		
	
		
			
			
				
				
						
							8 권영필, "미술사와 인문학적 가치" 한국미술사학회 268 (268): 5-35, 2010
						
						
				
				  
				
			
			
		
	
		
			
			
				
				
						
							9 전동호,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정체성"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4) : 8-31, 2005
						
						
				
				  
				
			
			
		
	
		
			
			
				
				
						
							10 조주연, "미술사, 신미술사, 시각문화연구" 한국미학회 (58) : 113-151, 2009
						
						
				
				  
				
			
			
		
	
		
	
		
	
		
	
		
	
		
	
		
	
		
	
		
	
		
	
		
	
		
	
		
	
		
	
		
	
		
	
		
	
		
	
		
	
		
	
		
	
		
	
		
	
		
	
	 
	
		
		
			
				
				
						
							1 장진성, "제임스 케힐의 중국 회화 연구: 양식사를 넘어 사회경제사적 회화사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6) : 194-223, 2007
						
						
				
				
				
			
		
	
		
			
				
				
						
							2 양정무, "인터뷰: 신미술사학" 6 : 113-151, 1998
						
						
				
				
				
			
		
	
		
			
				
				
						
							3 Rees, A. L, "신미술사학" 시공사 1998
						
						
				
				
				
			
		
	
		
			
				
				
						
							4 홍선표, "새로운 방법의 모색, 한국미술사학의 과제" 한국미술사학회 268 (268): 37-54, 2010
						
						
				
				
				
			
		
	
		
			
				
				
						
							5 김영나, "미술이론의 역사와 신미술사학" 7 : 7-24, 1997
						
						
				
				
				
			
		
	
		
			
				
				
						
							6 안휘준, "미술사학과 나,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미술사학의 정립과 확산" 1 : 18-60, 2006
						
						
				
				
				
			
		
	
		
			
				
				
						
							7 강태희, "미술사의 추억" 서양미술사학회 (22) : 9-34, 2004
						
						
				
				
				
			
		
	
		
			
				
				
						
							8 권영필, "미술사와 인문학적 가치" 한국미술사학회 268 (268): 5-35, 2010
						
						
				
				
				
			
		
	
		
			
				
				
						
							9 전동호,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정체성"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4) : 8-31, 2005
						
						
				
				
				
			
		
	
		
			
				
				
						
							10 조주연, "미술사, 신미술사, 시각문화연구" 한국미학회 (58) : 113-151, 2009
						
						
				
				
				
			
		
	
		
			
				
				
						
							11 한국미술사학회, "문화사와 미술사" 일지사 1996
						
						
				
				
				
			
		
	
		
			
				
				
						
							12 Burke, Peter, "문화사란 무엇인가" 길 2005
						
						
				
				
				
			
		
	
		
			
				
				
						
							13 Bryson, Norman, "Visual Culture: Images and Interpretations"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94
						
						
				
				
				
			
		
	
		
			
				
				
						
							14 Deal,William E, "Theory for Art History: Adapted from Theory for Religious Studies" Routledge 2005
						
						
				
				
				
			
		
	
		
			
				
				
						
							15 Clark, T. J, "The conditions of artistic creation" 
						
						
				
				
				
			
		
	
		
			
				
				
						
							16 Cahill, James, "The Painter's Practice: How Artists Lived and Worked in Traditional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17 Adams,Laurie Schneider, "The Methodologies of Art: An Introduction" HarperCollins Publishers 1996
						
						
				
				
				
			
		
	
		
			
				
				
						
							18 Preziosi, Donald, "The Art of Art History: A Critical An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9 Lee,Sonya, "Surviving Nirvana: Death of the Buddha in Chinese Visual Cultur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0
						
						
				
				
				
			
		
	
		
			
				
				
						
							20 Clunas,Craig, "Superfluous Things: Material Culture and Social Status in Early Modern Chi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1
						
						
				
				
				
			
		
	
		
			
				
				
						
							21 Wang,Eugene, "Shaping the Lotus Sutra: Buddhist Visual Culture in Medieval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5
						
						
				
				
				
			
		
	
		
			
				
				
						
							22 Preziosi,Donald, "Rethinking Art History: Meditations on a Coy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9
						
						
				
				
				
			
		
	
		
			
				
				
						
							23 Clunas, Craig, "Pictures and Visuality in Early Modern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24 Clunas, Craig, "Empire of Great Brightness: Visual and Material Cultures of Ming China, 1368-1644"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25 Zerner, Henry, "Editor's Statement: The Crisis in the Discipline" 42 (42): 279-, 1982
						
						
				
				
				
			
		
	
		
			
				
				
						
							26 Belting, Hans, "Das Ende der Kunstgeschicht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7 Wu Hung, "Body and Face in Chinese Visual Culture" 
						
						
				
				
				
			
		
	
		
			
				
				
						
							28 Powers,Martin, "Art and Political Expression in Early China" Yale University Press 1991
						
						
				
				
				
			
		
	
		
			
				
				
						
							29 Hatt,Michael, "Art History: A Critical Introduction to Its Method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6
						
						
				
				
				
			
		
	
		
			
				
				
						
							30 Minor, Vernon Hyde, "Art History's History" Prentice Hall 1994
						
						
				
				
				
			
		
	
		
			
				
				
						
							31 Fernie,E.C, "Art History and Its Methods: A Critical Anthology" Phaidon Press 1995
						
						
				
				
				
			
		
	
		
			
				
				
						
							32 조인수, "20세기 구미 학계의 중국회화사 연구" 1 : 100-129, 2002
						
						
				
				
				
			
		
	
		
			
				
				
						
							33 전영백, "1970년대 이후 영국‘신미술사(New Art History)’의 방법론: 클락(T. J. Clark)과 폴록(G. Pollock)의 미술사 담론의 형성과 영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9) : 272-303,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