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폐경 여성에서 운동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5073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한국 폐경 여성에서 운동이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폐경 여성 1,105명을 대상으로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기를...

      연구목적: 한국 폐경 여성에서 운동이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폐경 여성 1,105명을 대상으로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기를 이용하여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상 폐경여성들의 나이, 월경력, 신장, 체중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에게 운동에 관하여 자가 기입식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결과: 하루에 걷는 거리가 1 km 이상인 군과 미만인 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요추와 대퇴부의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위험도가 덜 걷는 군에서 30% 정도 증가하였다. 하루에 오르는 계단의 수가 20개 이상인 군과 미만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지만 요추와 대퇴부의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위험도가 계단수가 적은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주일간에 운동시간이 2시간 이상인 군과 1시간 미만인 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요추와 대퇴부의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위험도가 운동 시간이 적은 군에서 40∼50% 정도 증가하였다. 나머지 설문 문항중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결론: 운동은 골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골소실 방지나 골량의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그 효과는 운동강도나 크거나 운동시간이 길수록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and femur sites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in 1105 Korean menopausal women, mean+SD age 55.8+7.0 years, all healthy and free of me...

      Objectives: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and femur sites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in 1105 Korean menopausal women, mean+SD age 55.8+7.0 years, all healthy and free of medications affecting bones, including estrogen. We explored physical activ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Bone mineral density (BMD) of lumbar and femur regions and body composition were measured by dual X-ray absorptiometry. Types, duration and other variable measures of exercise were assessed by questionnaire. Results: A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more than 1 km daily walking showed 30% less risk of osteopenia or osteoporosis than women with less than 1km. A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more than 20 step climbing showed tendency of less risk of osteopenia or osteoporosis than women with less than 20. A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doing exercise more than 2hours/week showed 40-50% less risk of osteopenia or osteoporosis than women doing exercise less than 1hour/week. Other variable measures of exercis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higher intensity and longer duration of exercise is more effective for bone sparing than lower intensity and shorter duration of exerci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