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체육 수업 개선을 위한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5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통합체육 수업 경험을 토대로 어려움과 개선의 노력을 실천한 ‘나’와 ‘우리’의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로 통합체육 수업 운영의 구체적인 사례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우리’...

      이 연구는 통합체육 수업 경험을 토대로 어려움과 개선의 노력을 실천한 ‘나’와 ‘우리’의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로 통합체육 수업 운영의 구체적인 사례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통합체육 수업에 관한 집필을 위해 모였으며 통합체육 수업에 대한 철학과 개선의 노력을 함께 공유하고 실천한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우리가 경험한 통합체육 수업의 어려움은 첫째, 우리는 통합체육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없이 장애학생 수업 참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고 이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기존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자료는 보통 장애 유형별 중심으로 제시되어 있어 실제적인 통합체육 수업 운영을 위한 자료들이 부족하였다. 셋째, 학교별 일반학생 중심의 체육 수업 운영으로 인해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장소, 용·기구, 수업 설계 등 통합적인 수업 여건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통합체육 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은 첫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자발적인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유형을 구분 짓지 않는 수준별 수업으로 모둠 활동 안에서 협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 셋째, 통합체육 수업과 평가의 일체화를 위해 과정 중심의 세부적인 활동에 관한 기록과 피드백이 필요하다. 끝으로, 이 연구가 효율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교현장의 체육교사들에게 실천적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As the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I’ and ‘We’ who practiced efforts to improve difficulties based on experienc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oncrete cases of operating the inclusive ...

      Purpose: As the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I’ and ‘We’ who practiced efforts to improve difficulties based on experienc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oncrete cases of operating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Methods: ‘We’ got together to write abou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case data of sharing and practicing the philosophy and improvement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Results: In the difficulti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we experienced, first, we put various efforts for encourag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class without in-depth understanding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working as a burden to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econd, the existing material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usually focusing on each type of disabilities, so there were not many materials for the actual oper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rd, due to the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focusing on ordinary students in each school,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the conditions of inclusive class such as place, tool/instrument, and class design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overcoming such difficulti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first, the teachers should have voluntary will and efforts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ism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classes focusing on collaboration within group activities through graded class without dividing the type of disabilities. Third, there should be records and feedbacks on process-centered detailed activities for the unific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evalu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cultiva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study and practice such efficien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 fie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통합체육 수업의 어려움
      • Ⅳ. 효율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노력
      • Ⅴ. 요약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통합체육 수업의 어려움
      • Ⅳ. 효율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노력
      • Ⅴ.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철, "학습자 중심 체육수업 운영 경험에 관한 자기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139-157, 2020

      2 최승오, "특수체육의 역할과 미래 방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1-15, 2013

      3 이경준, "통합체육의 사각지대(死角地帶)Ⅰ: 통합체육의 실현가능성" 한국체육학회 45 (45): 93-108, 2006

      4 이경준, "통합체육에 대한 장애인의 인식"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69-85, 2005

      5 정도영, "통합체육수업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뇌성마비 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노형규,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일반체육교사의 준비요건 탐색: 미국 공립학교에 대한 체험적 탐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07-130, 2007

      7 한옥주, "통합체육 수업에서 협력교수를 통해 얻게된 특수체육교사와 일반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공주대학교 2015

      8 국립특수교육원, "통합체육 수업 이렇게 – 고등학교편-" 국립특수교육원 2020

      9 김도연, "통합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13 (13): 803-822, 2009

      10 강유석, "초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 극복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02-120, 2012

      1 정현철, "학습자 중심 체육수업 운영 경험에 관한 자기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7 (27): 139-157, 2020

      2 최승오, "특수체육의 역할과 미래 방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1-15, 2013

      3 이경준, "통합체육의 사각지대(死角地帶)Ⅰ: 통합체육의 실현가능성" 한국체육학회 45 (45): 93-108, 2006

      4 이경준, "통합체육에 대한 장애인의 인식"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69-85, 2005

      5 정도영, "통합체육수업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뇌성마비 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노형규,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일반체육교사의 준비요건 탐색: 미국 공립학교에 대한 체험적 탐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07-130, 2007

      7 한옥주, "통합체육 수업에서 협력교수를 통해 얻게된 특수체육교사와 일반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공주대학교 2015

      8 국립특수교육원, "통합체육 수업 이렇게 – 고등학교편-" 국립특수교육원 2020

      9 김도연, "통합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13 (13): 803-822, 2009

      10 강유석, "초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 극복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102-120, 2012

      11 김은경, "초등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 과학수업 인식 및 지원요구에 대한 초점집단면담 연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1 (11): 125-157, 2018

      12 김보연, "체육교사의 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93-108, 2010

      13 연지원,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통합체육수업 기피와 소외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체육대학교 2015

      14 정현철, "중・고등학교 체육과 과정중심 평가 개선방안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25 (25): 45-59, 2020

      15 윤현수, "중학교 경력 체육교사의 첫 통합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37-52, 2017

      16 장유진, "중복장애 남중생의 통합 체육수업 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 23 (23): 77-94, 2019

      17 국립특수교육원,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기초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6

      18 오광진, "정상화 원리에 기반한 일반학교 통합체육문화의 문제점과 장애학생의 실존성 탐색"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63-80, 2010

      19 이수재, "장애학생의 통합체육수업 기피현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0 박현철, "자폐 학생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 통합체육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0 (20): 59-69, 2012

      21 이인경, "일반학교 교사를 위한 통합체육 교수-학습지도전략: 용인대학교" 3 : 13-34, 2005

      22 윤석민, "일반체육교사의 통합체육지도역량이 비장애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8 (58): 361-370, 2019

      23 고문수, "인성 함양을 위한 팀 활동 체육수업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해석적 실행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9 (19): 17-34, 2015

      24 강유석, "수업컨설팅을 통한 통합체육교사의 전문성 형성과 변화"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61-80, 2013

      25 김태중,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수업 참여가 장애인식 변화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117-132, 2020

      26 고문수, "대학 교수의 체육수업 운영 ‘하루 일과’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15-32, 2016

      27 이만석, "교수적합화를 통한 장애아동의 통합체육 단일대상연구" 한국체육학회 50 (50): 243-259, 2011

      28 Matthew Patey, "Two Studies of Inclusive and Augmented Physical Education"

      29 Perlita Vickroy, "Principal support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30 Chien-Yu Pan, "Physical activity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of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5 : 733-741, 2011

      31 Bradley J. Bakera, "Collaborative self-study: Lessons from a study of wearable fitness technology and physical activity" 20 : 114-127, 2017

      32 교육부, "2018 특수교육 통계"

      33 이희연,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용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교육과정 재구성 및 교수·학습 방법 다양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269-291,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