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적용 놀이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경험 탐색 = Exploring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in Design Thinking Based 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31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sign thinking as a teacher support program according to the child-centered and play-based curriculum by exploring the play experiences that apply design thinking to early childhood ...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design thinking as a teacher support program according to the child-centered and play-based curriculum by exploring the play experiences that apply design think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For this, an in-service teacher who had a high will to design play and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 and the data collected after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Creswell's triangulation technique.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experience of play execution applying design thinking, first, in the initial stage of design play, ‘experience difficulties in applying design play’ and ‘experience new play in design while having fun together’. Second, in the design play execution stage, ‘experience that crosses the infant-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 ‘experience discovering novelty through trial and error’, ‘experience that inspires play with limited autonomy’, and ‘fix the teacher themselves’ ‘Experience that breaks down notions’ appeared. Third,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major roles according to design play was ‘coordinating work time’, ‘becoming a volunteer and observer in play’, and ‘configuring a space for imagination and collaboration’.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of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play environment builder for design play, as well as a case that shows that design thinking play has an application value as an educational approach for the implementation of a toddler/play-centered curriculum. We want to make it meaningf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의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놀이 경험을 탐색해 봄으로써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 지원프로그램으로서의 디자인 사고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살...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의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놀이 경험을 탐색해 봄으로써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 지원프로그램으로서의 디자인 사고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디자인 놀이 실행 의지가 높고 연구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현직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 후 수집된 자료를 Creswell의 삼각검증(triangulation)기법을 활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놀이 실행 경험을 탐색한 결과, 첫째, 디자인 놀이 시작 단계에서는 ‘디자인 놀이 적용에 대한 어려움경험하기’, ‘함께 즐기며 디자인 속 새로운 놀이를 경험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디자인 놀이 실행단계에서는 ‘유아-교사중심 교수법을 넘나드는 경험하기’, ‘시행착오를 통해 새로움을 발견하는 경험하기’, ‘자율성 제한으로 놀이에 영감을 주는 경험하기’, ‘교사 스스로 고정관념을 허무는 경험하기’로 나타났다. 셋째, 디자인 놀이 실행에 따른 교사의 주요 역할에 대한 인식은 ‘일과시간 조율하기’, ‘놀이 속 지원자와 관찰자 되기’, ‘상상력과 협업을 할 수 있는 공간 구성하기’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 활용 놀이가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육적 접근법으로서의 적용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사례이자 디자인 놀이를 위한 놀이 환경 구성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