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部下의 成熟度에 따른 效果的인 리더쉽 類型에 關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45259

      • 저자
      • 발행사항

        경기 :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 1997. 8

      • 발행연도

        199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i, 85 p. ; 26cm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組織體란 두 사람 이상이 모여 共同目標를 達成하고자 하는 有機體이다. 이러한 組織의 目標達成에 貢獻하기 위해서는 組織構成員들의 協同心을 最大한 發揮할 수 있게 하는 效果的인 리더...

      組織體란 두 사람 이상이 모여 共同目標를 達成하고자 하는 有機體이다. 이러한 組織의 目標達成에 貢獻하기 위해서는 組織構成員들의 協同心을 最大한 發揮할 수 있게 하는 效果的인 리더쉽이 必要한 것이다. 더 나아가 組織內에서 리더는 部下들에게 共同目標를 향하여 潛在的인 能力을 發揮할 수 있게 하는 雰圍氣를 助成하여야 하며, 部下들의 士氣昻揚에 關心을 가져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리더쉽을 效果的인 經營管理自體와 同一視하는 경향이 있으며, 오늘날 組織內의 리더의 役割에 많은 關心
      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리더쉽에 대하여는 社會科學의 어느 分野보다도 많은 硏究努力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效果的인 리더쉽에 대한 共通된 理論과 確固한 結論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 組織에서의 실제 適用도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동안의 리더쉽에 대한 硏究는 特性理論(Trait theory )에서 시작하여 行動理論(Behavioral theort ), 狀況理論(Situational theory )에 이르기까지 무수한 리더쉽 理論이 등장했으며 最近의 硏究方向은 唯一한 最善의 리더쉽 理論은 存在하지 않으며 리더쉽은 리더가 그를 둘러싼 모든 狀況과의 適切한 結合을 통해서만 可能하다는 狀況理論(Situational theory )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本硏究는 허어시(Her sey )와 블랜차아드(Blanchard)의 狀況理論 (Situational theory )을 中心으로 空軍學軍士官候補生의 成熟度와 이들의 敎育을 擔當하고 있는 訓育官들의 리더쉽 類型을 分析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效果的인 리더쉽 類型을 밝히는데 그 目的이 있었다.
      本硏究를 위해 韓國航空大學校에 在學중인 空軍學軍士官候補生140명(1년차 : 70명, 2년차 : 70명)과 訓育官要員5명을 調査對象으로 하였다. 또한 허어시(Her sey )와 블랜차아드(Blanchard)가 開發한 「成熟度- 行動類型綜合測定尺度」(Maturity Style Match Rating Form)를 사용하여 空軍學軍士官候補生들의 成熟度를 測定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리더 有效性및 適應性測定表」(Leader Effectiveness and Adaptability Description : LEAD)를 사용하여 訓育官들의 리더쉽 類型을 測定하였다.
      資料分析을 통한 주요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1. 空軍學軍士官候補生의 成熟度는 1년차(3학년)와 2년차(4학년)가 差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訓育官의 리더쉽 類型은 1년차(3학년)와 2년차(4학년)를 對象으로 差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空軍學軍士官候補生의 成熟度에 따른 訓育官의 效果的인 리더쉽 類型은 差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結論的으로 空軍學軍士官候補生의 狀況, 즉 成熟水準에 알맞은 리더쉽 類型을 發揮하여 敎育成果를 效率的으로 達成하기 위해서는 空軍學軍士官候補生의 成熟水準把握과 成熟水準의 變化에 따라 融通性있게 適切한 리더쉽을 發揮할 수 있도록 리더쉽 訓練이나 敎育이 持續的으로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rganization is a organic - body in which more than two men seek to achieve a commom goal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is goal of the organization, there needs the effective leadership that is able to make the members of the orga...

      The organization is a organic - body in which more than two men seek to achieve a commom goal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is goal of the organization, there needs the effective leadership that is able to make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ork with the maximum spirit of cooperation. Moreover, the leader in the organization has to creat the spiritual conditions that can make their potential ability bloom in achieving the common goal, have the concerns about the exaltation of their morale For this reason, there is a trend that identifies the leadership with the effective management itself, and today there is rising much interest m the leader's role in the organization.
      Although there are more studies m the area of leadership than any other area in social science, the common theory and distinct conclusion about the effective theory are not yet established, and it is very difficult indeed to apply them to the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Until now there is innumerable the ones of leadership in the leadership theories, from Trait theory, Behavioral theory to Situational theory, while major theory, such as Situational theory says that there is no one best leadership theory, and it can be applied only through binding all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T
      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maturity of the Air Force RO.TC (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students on the basis of Hersey and Blanchard's Situational Theory and suggest the effective leadership model from tha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 group of 140 Air Force R.OT.C students in Hankuk Aviation University (first grade : 70, second grade: 70) and their 5 instructors And with the 「Maturity Style Match Rating Form」 which Hersey and Blanchard created, the maturity of the students was measured, then with the LEAD (leader effectiveness and adaptability description) questions the leadership model of the instructors
      From those analyses produced like these results :
      1.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aturity between the first grade (junior) and the second grade (senior) of the RO.T.C students.
      2.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adership model of instructors between the first grade (junior) and the second grade (senior).
      3.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leadership models of instructor in accordance with the maturity of the students.
      Conclusively, in order to develop a leadership model proper to RO.T.C students' conditions, i.e, maturity level, and to achieve the instruction goal, this study suggest continuous leadership training and instruction, so that a good leadership may be properly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maturity level and with the change of their maturity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0
      • 第1章 序論 = 1
      • 第1節 硏究의 目的 = 1
      • 第2節 硏究方法 및 範圍 = 2
      • 第2章 리더쉽의 理論的 背景 = 4
      • 목차 = 0
      • 第1章 序論 = 1
      • 第1節 硏究의 目的 = 1
      • 第2節 硏究方法 및 範圍 = 2
      • 第2章 리더쉽의 理論的 背景 = 4
      • 第1節 리더쉽의 本質 = 4
      • 1. 리더쉽의 意義 및 重要性 = 4
      • 2. 리더쉽의 槪念 = 7
      • 第2節 리더쉽의 機能 및 硏究의 接近方法 = 9
      • 1. 리더쉽의 機能 = 9
      • 2. 리더쉽 硏究의 接近方法 = 10
      • 第3節 리더쉽의 類型 = 14
      • 1. H Jennings 의 分類 = 14
      • 2. K. Lewin의 分類 = 14
      • 3. E. Ghiselli와 C. Brown의 分類 = 17
      • 4. G. Terry의 分類 = 18
      • 第4節 Hersey와 Blanchard의 리더쉽 狀況理論 = 19
      • 1. 狀況的 리더쉽 模型에 대한 說明 = 19
      • 2. 狀況的 리더쉽 模型의 通用 = 31
      • 第3章 實證的 硏究 = 41
      • 第1節 硏究模型 및 假說의 設定 = 41
      • 第2節 變數의 操作的 定義 및 說問紙의 構成 = 43
      • 1. 變數의 操作的 定義 = 43
      • 2. 設問紙의 構成 = 44
      • 第3節 調査對象 및 分析方法 = 47
      • 1. 調査對象 = 47
      • 2. 標本의 分析 = 47
      • 3. 調査方法 = 49
      • 4. 分析方法 = 49
      • 第4章 分析 結果 = 53
      • 第1節 空軍學軍士官 候補生의 成熟度 分析 = 53
      • 1. 職務遂行 成熟度 = 53
      • 2. 心理的 成熟度 = 55
      • 第2節 訓育官의 리더쉽 類型 分析 = 58
      • 1. 設問紙 應答 內容 分析 = 58
      • 2. 訓育官의 리더쉽 類型 = 60
      • 第3節 訓育官의 效果的인 리더쉽 類型 = 62
      • 1. 現實態 = 62
      • 2. 問題點 = 63
      • 3. 改善方向 = 63
      • 第5章 結論 = 65
      • 參考文獻 = 68
      • ABSTRACT = 71
      • 부록 =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