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제교육의 정체성과 문제점 = The Identity and Problems of Economic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2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identity of economic education to see if the current school and out-of-school economic education were operating according to its identity, and based on that, we sorted out the problems surrounding economic education and ...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identity of economic education to see if the current school and out-of-school economic education were operating according to its identity, and based on that, we sorted out the problems surrounding economic education and then looked for solutions. The ultimate purpose of economic education is to foster economic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 the process of economic socialization. Thus, the identity of economic education can be defined as economic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e fundamental cause of confusion in economic education to this day is that the Education Ministry has been overly engrossed in the connection of economic education and has organized a content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s of economics at univers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 education, out-of-school economic education was better than school economic education. And the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solutions to address three problem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y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identity of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used as a criterion or framework for judgment related to economic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제교육의 정체성을 탐색하여 현행 학교 및 학교 밖 경제교육이 그것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경제교육을 둘러싼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

      본 연구에서는 경제교육의 정체성을 탐색하여 현행 학교 및 학교 밖 경제교육이 그것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경제교육을 둘러싼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향을 모색하였다. 경제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경제사회화 과정을 통한 경제적 민주시민성의 함양에 있다. 따라서 경제교육의 정체성은 경제적 민주시민성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오늘날까지 경제교육에서 발생하고 있는 혼란과 혼선의 근본 원인은, 교육부가 그동안 과도하게 경제교육의 연계성에 매몰되어 대학의 경제학원론에 준해서 그 내용체계를 편성해 왔기 때문이다. 현행 경제교육의 실태를 정체성에 입각해서 파악해 본 결과, 학교 밖 경제교육이 학교 경제교육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학교 경제교육은 한 학년에 집중적으로 몰려있거나 한 학기에 마치기 힘든 내용체계, 교사와 학생들의 경제영역 및 과목에 대한 부정적 인식,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는 현실적인 제약조건 등이 복합적·중층적 작용하여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학교 밖 경제교육은 사회경제적인 변화까지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로 경제교육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상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도출된 문제점은 교육과정과 콘텐츠의 문제, 교사와 강사의 문제, 협력체계 구축의 문제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와 관련한 시급한 과제는 2015 개정의 내용체계를 정체성에 맞춰 대폭 축소·개편하는 것이고, 두 번째 문제와 관련한 시급한 과제는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을 경제적 민주시민성의 관점에서 개편하는 것이며, 세 번째 문제와 관련한 시급한 과제는 학교 경제교육을 하루빨리 정상화하여 그것이 중심축이 되고 학교 밖 경제교육은 평생교육 차원에서 언제든지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는 경제교육과 관련한 판단의 준거나 틀로 경제교육의 정체성을 적극 활용해 줄 것을 제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택희, "학교 밖 경제교육의 발전 방안-지역경제교육센터를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13 (13): 289-312, 2011

      2 한경동, "학교 밖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경제교육학회 13 (13): 181-203, 2006

      3 전창완, "학교 밖 경제 교육의 실천과 반성" 한국경제교육학회 15 (15): 111-136, 2008

      4 안현효, "탈자폐경제학과 대안적 경제교육 교육과정 - 다원주의 접근의 사례분석 -" 한국경제교육학회 20 (20): 67-89, 2013

      5 김정숙, "지역경제교육센터의 현황과 과제" 173-188, 2018

      6 기획재정부, "지역경제교육센터 전국 확대 등을 통해 경제교육 강화-기재부"

      7 전창완, "우리나라 경제환경의 변화와 경제적 시민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243-270, 2004

      8 淺野榮一, "어떻게 사회과학을 할 것인가" 도서출판 한마당 1982

      9 교육부, "사회적경제 인재 양성 종합계획 발표"

      10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1 조택희, "학교 밖 경제교육의 발전 방안-지역경제교육센터를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13 (13): 289-312, 2011

      2 한경동, "학교 밖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경제교육학회 13 (13): 181-203, 2006

      3 전창완, "학교 밖 경제 교육의 실천과 반성" 한국경제교육학회 15 (15): 111-136, 2008

      4 안현효, "탈자폐경제학과 대안적 경제교육 교육과정 - 다원주의 접근의 사례분석 -" 한국경제교육학회 20 (20): 67-89, 2013

      5 김정숙, "지역경제교육센터의 현황과 과제" 173-188, 2018

      6 기획재정부, "지역경제교육센터 전국 확대 등을 통해 경제교육 강화-기재부"

      7 전창완, "우리나라 경제환경의 변화와 경제적 시민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243-270, 2004

      8 淺野榮一, "어떻게 사회과학을 할 것인가" 도서출판 한마당 1982

      9 교육부, "사회적경제 인재 양성 종합계획 발표"

      10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11 김경모, "경제학의 구조, 경제적 사회화, 경제적 민주시민성" 26 : 43-56, 1996

      12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경제배움e"

      13 "경제교육지원법"

      14 경제교육단체협의회, "경제교육단체협의회 명부 및 조직도"

      15 박형준, "경제 관련 사회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91-97, 2015

      16 Engle, S. H.,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Teachers Colleage Press 1988

      17 한국교육통계연감편찬위원회, "2017 한국교육통계연감" 2017

      18 최종민, "2015 개정 경제과목 교육과정의 변화" 한국경제교육학회 24 (24): 75-99, 2017

      19 최종민, "2015 개정 경제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한국경제교육학회 25 (25): 33-46,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7 1.01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