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일관계 접근과 단절의 동태성에 관한 연구 : 북일수교회담사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luctuation of approach and estrangement at the North Korea-Japan relation : an analysis on the history of Nor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43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yungyang Declation」 , announced in 2002 has an attribute of 'Grand Compromise' which include almost controversial issue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But the North Korea-Japan relation is deteriorating at an alarming rate, and amity has no...

      The 「Pyungyang Declation」 , announced in 2002 has an attribute of 'Grand Compromise' which include almost controversial issue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But the North Korea-Japan relation is deteriorating at an alarming rate, and amity has not been accomplished yet. Which situations have decided approach and estrangement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relation? And What are the decisive variables? A case of the Nor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has been being progressed since 1991, is the most potent international negotiation case that can settle those problems.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clarify some conditions and patterns of the approach and estrangement at the North Korea-Japan relation from 1990 to 2006. In this dissertation, the history of nomalization talks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and three decisive variables are presented; (1) the Japanese party and Diet member diplomacy, (2) an alignment with the North Korea-United State and the North Korea-South Korea relations, (3) and pressure from Japanese domestic politics and general opinion.
      During the history of nomalization talks, the approach of North Korea-Japan relation tends to occur when there are cooperative Japanese party and Diet member, an alignment with the North Korea-United State and North Korea-South Korea relations and the proper functions of Japanese domestic pressure. On the contrary to the approach, the estrangement of the North Korea-Japan relation tends to occur when there are no cooperative politician, the asymmetry with the North Korea-United State and North Korea-South Korea relations and the aggravation of Japanese domestic pressure.
      Considehng these variables, we can estimate the North Korea-Japan amity would be accomplished when there are domestic demands for amity, cooperative politicians who lead the nomalization talks and the guarantee of alignment with the North Korea-United State and North Korea-South Korea relations.
      But actually, there is a bare possibility of that situation. Because, even though the nomalization talks is resumed by cooperative politicians, there will be little chance that Japanese domestic pressure is reorganized friendly. And the United State may constrain the North Korea-Japan relation to make it stay in the lower part of the North Korea-United State relation. In conclusion, because these three variables could not function as motive power concurrently, the approach at the North Korea-Japan relation could not be connected to the accomplishment of am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 Ⅰ. 서론 : 문제제기 = 1
      • Ⅱ. 연구방법 = 2
      • 1. 비교분석방법의 사용 = 2
      • 2. 북일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 4
      • 목차 = i
      • Ⅰ. 서론 : 문제제기 = 1
      • Ⅱ. 연구방법 = 2
      • 1. 비교분석방법의 사용 = 2
      • 2. 북일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 4
      • 1) 역사적 관점에서의 연구 = 4
      • 2) 협상론적 차원에서의 연구 = 6
      • 3) 국제정치적 요인 중심의 연구 = 9
      • 4) 일본 국내정치적 요인 중심의 연구 = 12
      • 5) 북일수교 이후의 경제협력에 관한 연구 = 13
      • Ⅲ. 북일수교회담 제1기(제1차~8차 수교회담) = 17
      • 1. 회담의 개최배경 = 17
      • 2. 회담의 전개과정 및 쟁점 = 21
      • Ⅳ. 북일수교회담 제2기(제9차~11차 수교회담) = 37
      • 1. 회담의 개최배경 = 37
      • 2. 회담의 전개과정 및 쟁점 = 40
      • Ⅴ. 북일수교회담 제3기(제1차 정상회담~12차 수교회담) = 45
      • 1. 회담의 개최배경 = 45
      • 2. 회담의 전개과정 및 쟁점 = 46
      • Ⅵ. 북일수교회담 제4기(제2차 정상회담~13차 수교회담) = 50
      • 1. 회담의 개최배경 = 50
      • 2. 회담의 전개과정 및 쟁점 = 52
      • Ⅶ. 제1~4기 북일수교회담의 비교분석 = 62
      • 1. 수교회담 개최의 배경 : 정당/의원외교의 산물 = 62
      • 2. 쟁점사항 비교 = 64
      • 1) 기본문제와 보상문제 = 64
      • (1) 기본문제 : 과거사 청산문제의 지속 = 64
      • (2) 보상문제 : 청구권에서 경제협력자금으로 = 65
      • 2) 국제문제와 쌍방의 관심문제 = 66
      • (1) 국제문제 : 고립에 대한 경계 = 66
      • (2) 쌍방의 관심문제 : 일본인 납치문제의 쟁점화 = 71
      • 3. 회담의 결렬원인 : 북미관계의 추종과 납치문제의 증폭 = 74
      • Ⅷ. 북일관계 접근과 단절의 요인과 조건 = 81
      • 1. 북일관계 접근의 상황 = 82
      • 2. 북일관계 단절의 상황 = 84
      • Ⅸ. 결론 : 북일수교회담사를 통해 본 북일관계의 변화 = 86
      • 부록-1 조일관계에 관한 조선로동당, 일본의 자유민주당, 일본사회당의 공동선언 = 89
      • 부록-2 조일회담 재개를 위한 합의서 = 92
      • 부록-3 「북일평양선언」 = 94
      • 부록-4 일본인 납치문제에 관한 미 의회 법률안 「H. CON. RES.168」 = 96
      • 〈참고문헌〉 = 104
      • ABSTRACT =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